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8211 | [답변] 2019년도 2회차 12번 문제에서 | 김계호 교수 | 2021-07-27 | 1857 |
답변입니다) PB = PC+r3h3 가 잘못됐네요. r3h3가 아래 방향으로 작용하는데 부호가 틀렸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205 |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94번 문제 해설에서 | cks******* | 2021-07-26 | 1855 |
Pt + ((0.9 x 1000 x 0.3)÷10000) = 1.0332 + ((13.55 x 1000 x 0.2)÷10000) Pt = 1.0332 + ((13.55 x 1000 x 0.2)÷10000) - ((0.9 x 1000 x 0.3)÷10000) Pt = 1.2772 = 1.28kg/㎠ 혹시 이렇게 되어야 맞는게 아닌지 문의드립니다. 높이가 0.3m로 계산되어야 하고 대기압은 1.0332kg/㎠로 계산되어야 하는거 아닌가 해서요 |
||||
48206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94번 문제 해설에서 | 김계호 교수 | 2021-07-26 | 1855 |
답변입니다) U자형 액주계에서 대기에 개방된 경우는 대기압을 고려하지 않고 액체의 압력만 계산합니다. 만약 밀폐된 상태에서 atm등의 표시가 된 경우에는 질의하신 것처럼 1.0332kg/cm^2 계산해 줘야 합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208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94번 문제 해설에서 | cks******* | 2021-07-27 | 1855 |
그렇다면 Pt + ((0.9 x 1000 x 0.3)÷10000) = ((13.55 x 1000 x 0.2)÷10000) Pt = ((13.55 x 1000 x 0.2)÷10000) - ((0.9 x 1000 x 0.3)÷10000) Pt = 0.244kg/㎠ 이게 맞는건가요? |
||||
48210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94번 문제 해설에서 | 김계호 교수 | 2021-07-27 | 1855 |
답변입니다) 1. Pt+(0.9x1000x3)/10000 = (13.55x1000x0.2)/10000 Pt = 0.001kg/cm^2 으로 나옵니다. 다시 한번 확인 해보십시오 2. 그리고 요즘 출제되는 단위는 SI단위로 많이 출제되므로 이 문제는 아래와 같이 문제를 변형하여 다시 촬영 예정입니다. 곧 강의 편에 올리겠지만 미리 확인하여보시기 바랍니다 문294) 수직관 속에비중(S)이 0.9인 기름이 흐르고 있는 액주계를 설치 하였을 때 Pt의 값은 몇 Pa인가? 계산과정) Pt + 0.9x1000 = 13.55x1000x0.2 Pt = 13.55x1000x0.2 - 0.9x1000x3 = 10kg/m^2 = 10kg/m^2x9.8N/kg = 98Pa 혹시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201 | 역귀환배관방식 문의 | 122**** | 2021-07-24 | 1856 |
에너지관리기사 동영상강의 문제풀이 529페지 14번 문제에서 역귀환배관방식에사용되는 난방설비는? 온수난방 설비에 적용이라 하셨는데요 강의시에는 523페이지 증기난방설비의 귀환관의 종류에 나옴니다 그러면 증기난방이 정답 아닌가요? 어떻게 이해하여야 되나요? |
||||
48202 | [답변] 역귀환배관방식 문의 | 김계호 교수 | 2021-07-24 | 1856 |
답변입니다) 역귀환방식(복관식, 역환수방식)은 온수용 방열기에 공급되는 2개의 라인(송수주관, 환수주관) 으로 설치되는 배관 방식입니다. 내용은 온수라인으로 되어 있는데 증기난방 쪽에 잘못 배치 돼 있네요. 즉시 온수난방 쪽으로 옮기도록 하겠습니다. 따라서 질문하신 역귀환 배관방식에 대한 문제의 정답은 온수난방이 그대로 맞습니다.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213 | [답변] 역귀환배관방식 문의 | 122**** | 2021-07-28 | 1856 |
답변 감사합니다 | ||||
48192 | you**** | 2021-07-19 | 1856 | |
교수님 더위와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수고가 많으십니다. 저는 기계와 화학분야의 비전공 즉 상경계열입니다. 지난 4월부터 6월말까지 인강 1회를 듣고 노트정리를 다하고 기출문제(2021. 2회)를 푸는 과정에서 넘 놀란 것은 전혀 아는 문제가 없다는 사실입니다. 2021. 4회 시험을 위한 공부계획을 다시 세우려고 상담을 드립니다. 저는 7월초부터 지금까지 계측기에 대한 인강을 다시 들었습니다. 인강을 다시 들으면 새롭게 이해되는 부분이 많아서 좋은데 문제는 시험날짜가 많이 남지 않아서 이 방법도 좋지 않은 것 같기도 해서 고민이 많습니다. 여쭈고 싶은 내용은 저의 이러한 공부 상태에서 최적의 공부방법이 무엇인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물론 선택과 책임은 저한테 있으니 부탁드립니다. (기출문제를 반복해서 플어보려고 해도 넘 모르니까 답답하기만 합니다,.,) 너무 수준 낮은 질문이라서 망설이다가 염치불구하고 글을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수강생 올림 |
||||
48193 | [답변] | 김계호 교수 | 2021-07-19 | 1856 |
답변입니다) 에너지관리 기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은 상당수가 비전공자들 입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합격하시는 분들은 공통점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뭐가 뭔지 막막한데 2~3번 반복하다보면 감을 느끼고 그러다보면 자신감이 붙어 질문도 자주하게 되면서 합격권 안에 들어가게 됩니다. 그런데 막막하기 때문에 주저하고 그러다보면 시간은 흐르고 자신감을 상실하게 되다보면 시험을 치르기가 겁이나고 합격하기 어려운 상태가 됩니다. 결론은 딱 하나입니다. 하겠다는 마음가짐을 먹어야합니다. 전공하지 않은 분들에게 열역학, 연소공학은 당연히 너무 어렵지요. 그런데 몇번 반복해서 하다보면 될 것 같다는 느낌과 확신이 분명히 올겁니다. 그럼 공부하는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시간적으로 너무 여유가 없다면 기출문제 위주로 반복을 하십시오. 양이 너무 많다보니 2021년 부터 거꾸로 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기출문제는 적어도 10년 정도의 양을 반복해야 합니다. 우선 열역학과 연소공학은 계산문제가 어려우니 수차례 반복해서 문제를 풀어 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계측기 및 열설비, 설계 등은 주로 암기 과목이니 높은 점수를 받겠다는 마음으로 외워야 합니다. 실제 계측방법, 열설비재료 및 관계법규, 열설비설계 등은 몇 번 집중해서 풀어보면 고득점(80점이상)을 충분히 받을 수 있습니다. 문제는 열역학과 연소공학인데 좀 막히더라도 반복해서 풀어보시길 권합니다. 열역학과 연소공학은 그 중에 암기부분이 있습니다. 암기부분은 주로 기출문제에서 많이 출제되는 경향이 있으니 동영상 강의랑 연계해서 한번 열심히 해보시길 바랍니다. 열역학과 연소공학에서 과락이 많이 나옵니다. 그러므로 기출문제를 최대한 반복해서 공부하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습니다. 저도 강의를 하면서 이런 공부방법이 정상적인 방법은 아니란 걸 알면서도 너무 안타까움에 이렇게라도 해보라고 권하게 되는군요. 9월12일 1차 시험까지는 아직 50일 이상 남았습니다. 충분한 시간입니다. 제 기억으로는 1개월도 안남기고 합격하신 분들도 많습니다. 너무 포기하지 마시고 해보겠다는 마음이 우선이니 그렇게 해보시길 권하겠습니다. 아무쪼록 열심히 하셔서 포기하지 않고 해보길 잘했구나 라는 기쁨이 있길 기원하겠습니다. 힘을 내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194 | [답변] | you**** | 2021-07-19 | 1855 |
교수님, 마음은 급해지고 머리속에 기억되는 부분이 없다보니 사실 불안과 좌절이 교차되어 공부에 망서림도 있었는데 많은 시간을 내시어 많은 조언을 해 주시니 힘이 되고 다시 시작해 보겠다는 다짐이 생깁니다. 너무 너무 고맙습니다. 보내주신 내용을 몇 번이나 읽어 봅니다. 길을 안내해주셨으니 묵묵히 길 따라 정상까지 가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감사합니다. |
||||
48195 | [답변] | 김계호 교수 | 2021-07-19 | 1855 |
잘 생각하셨습니다. 모든게 마음먹기 나름이죠. 그리고 공부하시다 질문사항있으면 어떤 문제도 괜찮으니 올려 주시기 바랍니다. 최대한 도와드리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165 | 에관기 질문 입니다 | sht** | 2021-07-08 | 1855 |
회차랑 문제번호를 몰라서 사진으로만 질문해서 죄송합니다~ 중간에 1000을 곱해주는건 왜그런가요~? 무름표 해놧습니다 |
||||
48172 | [답변] 에관기 질문 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1-07-09 | 1855 |
답변입니다) 공기의 기체상수 R= 0.287 kJ/kg*K 입니다 여기서 kJ을 J로 고치기 위해 1000을 곱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구하려는 유속의 단위는 m/s입니다. J = N*m 입니다. 그러므로 1kJ = 1000J = 1000N*m가 되는 것입니다 천천히 읽고 이해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164 | 2014년 1회차 12번 에관기 질문입니다 | sht** | 2021-07-08 | 1856 |
계산과정이 이해가안가네요..교수님.. -AGRTln p1/p2 공식에 숫자가 어떻게 대입되는지 모르겟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