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8671 | 2021년 1회 10번 문제 | ytj**** | 2021-10-12 | 1861 |
공식에 대입하면 루트J/kg이 나오는데 그게 m/s 인가요?? | ||||
48674 | [답변] 2021년 1회 10번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1-10-12 | 1866 |
답변입니다) 단열팽창과정에서의 공식은 V=루트2gh에서 변형된 공식이기 때문에 결과식의 단위는 m/s로 외워야 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670 | 2021년 1회 6번 문제 | ytj**** | 2021-10-12 | 1859 |
계산과정 마지막에 *60*1000 해주실때 이 단위가 *60s/min*1000kg/m^3가 맞나요??? |
||||
48673 | [답변] 2021년 1회 6번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1-10-12 | 1858 |
답변입니다) 질의하신 내용 중 단위가 *60s/min*1000kg/m^3도 맞지만 여기서는 단위를 맞추려면 *60s/min*1000 L/m^3 가 맞겠죠? (같은 의미입니다 물 1L = 1kg이므로)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669 | 2020년 4회 16번 연습 문제 2 | ytj**** | 2021-10-11 | 1855 |
비교 회전도 구할떄 60의 단위가 60s/min 인가요? | ||||
48672 | [답변] 2020년 4회 16번 연습 문제 2 | 김계호 교수 | 2021-10-12 | 1856 |
답변입니다) 맞습니다 비교회전도의 단위가 m m^3/min rpm 이므로 min으로 환산한 것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667 | 2020년 4회 11번 문제 | ytj**** | 2021-10-11 | 1855 |
연관류율 W/m^2k가 맞나요??? W/m^2도씨 아닌가요??? | ||||
48668 | [답변] 2020년 4회 11번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1-10-11 | 1858 |
답변입니다) 물론 시험에서 유체의 온도는 도씨로 제시되고 열관류율은 75W/m^2K로 제시 되었는데, 열관류율 75W/m^2 도C 와 75W/m^2 K 의 의미는 똑같습니다. 앞에서도 수없이 설명했지만 온도차이에서는 1도C 와 1K는 같습니다. 위 설명에서 단위면적당 1도C올리는데 75W 의미와 단위면적당 1K올리는데 75W의미는 똑같습니다. 가급적 단위가 똑같이 통일되어 출제되면 좋겠지만 이렇게 출제 되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은 문제입니다. 결론적으로 두 단위의 의미는 똑같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663 | 2020년 2회 12번 문제 | ytj**** | 2021-10-11 | 1855 |
계산과정에 절대온도 계산할때 +273.15로 하셨는데 +273으로 하면 안되나요?? |
||||
48665 | [답변] 2020년 2회 12번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1-10-11 | 1856 |
답변입니다) 단위를 환산할 때 가끔 걱정을 많이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금처럼 K = 도씨 + 273 ? 273.15? 또는 1kcal = 4.2kJ 또는 4.17kJ 또는 4.168kJ? 같은 경우로 이외에도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얘기해서 채점관은 어떤 기준으로 채점하는지는 모릅니다. 하지만 제가 항상 강조하는 얘기가 있습니다. 채점관이 채점하는 대상은 완벽히 준비된 사람의 시험지가 아니라 어느 정도 부족하고 다 채워지지 않은 사람들의 시험지입니다. 시험을 치르는 수험생 K= 도씨 + 273 을 쓴 사람과 도씨+273.15를 쓴사람은 절대온도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그러면 그 수험생들은 당연히 맞았다고 하는 게 맞는 것 아닐까요? 그러므로 273과 273.15로 계산한 답은 당연히 미세하게 차이가 나겠죠. 그래도 모두 정답이라고 보는 편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전혀 문제될 게 없다고 생각합니다. 대신 답안을 작성할 때 소수 둘째자리까지 나타내시오 같은 경우에는 그대로 따라야 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660 | 에너지 관리기사 실기 | jbk*** | 2021-10-11 | 1855 |
예상문제 특강필답형 230문제중 98번 다음 조성의 석탄가스를 연소시켰을 때의 이론 습연소가스량 구하는 식에서 연소생성물중 메탄 앞에 3이 들어가는 이유가 궁굼합니다. |
||||
48661 | [답변] 에너지 관리기사 실기 | 김계호 교수 | 2021-10-11 | 1856 |
답변입니다) 기체연료의 이론습연소가스량을 구할 때 탄화수소계열 가스의 연소가스량은 CmHn인 경우 앞에 (m+n/2)을 붙입니다 메탄(CH4)인 경우 : 1+4/2 = 3 그러므로 3CH4가 됩니다 에탄(C2H4)인 경우 : 2+4/2 = 4 그러므로 4C2H4가 됩니다. 만약에 주어진 성분이 없으면 제외하면 됩니다 다른방법) 연소반응식을 써서 산출하는 법 (연소후의 반응물질량 합산) 1) CH4+2O2 = CO2 + 2H2O (CO2앞의 1 + H2O앞의 2 = 3CH4) 2) C2H4 + 3O2 = 2CO2 + 2H2O (CO2앞의 2 + H2O앞의 2 = 4C2H4)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656 | 2019년 3회 12번 문제 | ytj**** | 2021-10-11 | 1857 |
4.186의 단위가 뭔가요?? | ||||
48658 | [답변] 2019년 3회 12번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1-10-11 | 1865 |
답변입니다) 상당증발량(Ge) 계산할 때 Ge= G(h2-h1) / 2238 로 계산합니다 여기서 h1은 급수엔탈피로 보통 주어지는데 예를들어 20도씨에서의 급수엔탈피는 80kJ/kg이라고 하면 그냥 h1대신에 80kJ/kg을 넣으면 됩니다. 만약 지금처럼 급수엔탈피가 주어지지 않으면 20x4.186 또는 20x4.2로 계산하여 값을 넣어 줘야합니다 왜냐하면 열정산에서는 급수엔탈피를 모를 경우 급수온도 값으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20도씨인 경우 20kcal/kg이 되는데 여기서는 kJ을 요구하므로 1kcal = 4.186kJ이기 때문에 20x4.186kJ/kg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실제로 이러한 문제는 필기 시험을 준비할 때 열정산 편에서 다뤘던 문제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655 | 에너지기사 2016년도 3회 9번문제 질문있습니다. | dud***** | 2021-10-11 | 1859 |
필답형 2016년 3회 9번문제 강의내용중 풀이된 계산식의 단위는 Kcal 이라고 하셨는데 문제에서 요구하는 식인 KJ/h 으로 변환시 3600을 대입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1Kcal = 4.18KJ 이기 때문에 4.18을 대입하는게 아닌가하여 질의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