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8707 | [답변] 2010년 3회 기출문제 1번의 4 문의(이론 습배기 가스량) | 김계호 교수 | 2021-10-16 | 1855 |
답변입니다) 습배기가스 계산시 적용해야 하는 것은 연료속의 성분으로 원소분석과 배기가스분석 중에서 원소분석에 해당하는 값을 대입해야 합니다. 배기가스 성분은 공기비를 구할 때 필요한 값입니다 참고로 연료속 원소 성분 중 질소(N2)성분은 보통 1% 미만으로 작은 값입니다. 따라서 풀이과정은 이상이 없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704 | 공연비 구하기 | 122**** | 2021-10-16 | 1857 |
항상 빠른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2014년 1회 7번문제의 공연비 구하기와 2020년4회 17번문제의 공연비 구하는 방법이 왜 틀린가요? 2014년 공연비 = 이론산소량 / 0.21 2020년 공연비 = 공기질량 / 연소질량 |
||||
48706 | [답변] 공연비 구하기 | 김계호 교수 | 2021-10-16 | 1857 |
답변입니다) 2014년 1회 문제 풀이가 잘못됐습니다. 대단히 죄송합니다. 문제를 보완해서 우선 올려 드리고 이 부분은 매우 중요하니 즉시 이번 월요일에 재촬영하여 신속히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시험대비 차원으로 문제를 2가지로 만들었으며 공연비에 관한 연습문제까지 새로 만들어서 올립니다. (공연비에 관한 연습문제 등은 재촬영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기출문제) 2014년 1회 7번- 7. C1.16H4.32의 연료를 완전연소시 다음 질문에 답하시오 1) 연료 1Nm^3 연소시 이론공기량(Nm^3) 2) 공연비 참고) 공연비(air fuel ratio) = 공기의 질량/연료의 질량 계산과정) CmHn + (m+n/4)O2 = mCO2 + n/2 H2O에서 C1.6H4.32 + (1.16+4.32/4)O2 = 1.16CO2 + 4.32/2 H2O 1) 이론공기량(A0)= (1.16+4.32/4)/0.21 = 10.67Nm^3 2) 공연비 = 공기의질량/연료의질량= (1.16+4.32/4)x32/0.232(12x1.16+4.32) = 16.94 답) 1) 이론공기량(A0)= 10.67Nm^3 2) 공연비= 16.94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699 |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 han****** | 2021-10-15 | 1856 |
특강필답형 p378 51번문제 Gd=(m-0.21)A0+1.867C+0.7S+0.8N 에서 1.867C+0.7S+0.8N 부분은 1) 문제마다 다른데 공식으로 모두 외워야 하는지 2) 아니면 어떤 방식이 있는지 즉, 어떤 때는 항목이 나오고 어떤 때는 항목이 나오지 않고 하는데 그 기준은 ? 3) 또한 각 항목앞에 나와있는 숫자는 어떤 규칙에 의하여 나오는 것인지 무조건 외우려고 하니 종류가 많아 잘외워지지가 않습니다. 이에 따른 공부하는 보다 쉬운 방법이 없을까요? |
||||
48700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 김계호 교수 | 2021-10-15 | 1857 |
답변입니다) 2차 실기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입장에서 가장 힘든것이 지금처럼 수많은 공식을 외워야 한다는 것입니다. 1. 문제마다 공식으로 외워야 하는지? 연소공학에서 지금 질의하신 것처럼 실제건연소가스량(Gd)= (m-0.21)A0+1.867C+0.7S+0.8N 입니다. 여기에다 습연소 가스량 같은 경우는 H20도 들어가죠. 나온 결과식의 법칙은 동일합니다. 1) C 분자량 12 : 22.4/12 = 1.867 (Nm^3/kg) 2) S 분자량 32 : 22.4/32 = 0.7 (Nm^3/kg) 3) N2 분자량 28 : 22.4/28 = 22.4/28 = 0.8 (Nm^3/kg) 4) (m-0.21)A0 에서 0.21은 질소가 공기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21%)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해서 나온 결과식을 가지고 계산문제를 출제하는데 이 결과식을 모르면 안되겠죠. 2. 그리고 위 문제는 액체와 고체에 해당되고 기체연료인 경우에는 또 다른 공식이 있습니다. 그래서 연료의 종류별로 공식을 외워야 하는 것입니다. 힘드시겠지만 자꾸 반복해서 문제를 풀면서 공식을 자연스럽게 외우는 수 밖에 없습니다 3. 규칙은 1)에서 설명해 드린 내용입니다. 실기 시험은 필기시험을 합격하신 분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수준이 있다고 판단하여 거기에 준하는 문제를 주관식(계산식)으로 출제하는 것입니다. 정말 이런 문제는 1)에서 처럼 규칙에 의해 나온 결과식을 이해한다고 하더라도 정해진 시간에 문제를 풀려면 시험장에서 외운 공식을 적재적소에 쓸 수 있도록 연습하는 방법 외에는 없을겁니다. 4.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5. 본 강의를 듣고 있는 분들 중에는 전공하고는 먼, 나이 드신 분들도 열심히 해서 합격하신 분들도 많습니다. 힘들더라도 참고 한번 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696 | 에너지관리기사 | han****** | 2021-10-14 | 1855 |
1. 에너지관리기사 단답형 및 필답형 문제 문의사항 : p364 11번 문제와 p440 220번 문제가 랭킨사이클 효율 문제인데 왜 풀이 방법이 다른지, 즉 어느 방법이 맞는지 여부 답변입니다 1. 보일러 효율은 2가지 방법으로 풀수가 있습니다 1) 입출열법 : 유효출열 /입열 2) 손실열법 : 1 - 무효열/입열 마찬가지로 랭킨 사이클 효율도 두가지 방법으로 푼 것입니다.==> 답변을 주셨는데 2가지방법중 어느것으로 풀으나 관계가 없다는 건가요? |
||||
48698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 김계호 교수 | 2021-10-14 | 1855 |
답변입니다) 두가지 방법 중 어느 방법으로 풀어도 상관없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693 | 2011년 2회 10번문제 | ytj**** | 2021-10-14 | 1855 |
답이 360이 아니고 463.25도C 아닌가요??? |
||||
48694 | [답변] 2011년 2회 10번문제 | 김계호 교수 | 2021-10-14 | 1855 |
답변입니다) 그렇네요 463.27 도C 가 나오네요 지금까지 재촬영분은 빼고 정오표로 보내 드리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691 | 2020년1회차 12번문제 풀이과정 | adu***** | 2021-10-14 | 1855 |
1초에1사일클이면 시간동안 행하여지는 일량은 3600을 곱해야 맞지 않나요? 문제에서 KW로 지정되어있긴한데 문제가 잘못된건가요? |
||||
48692 | [답변] 2020년1회차 12번문제 풀이과정 | 김계호 교수 | 2021-10-14 | 1855 |
답변입니다) 풀이과정이 좀 잘못됐군요. 복원된 문제는 문제 될 만한 부분이 없고 풀이과정만 다시 요약해드리겠습니다. 이 부분은 별도로 재촬영 예정입니다 지문) 기존 동일 참고) 1KWh = 3600KJ, 1KW= 3600kJ/h 풀이) 카르노 사이클의 효율은 0.625 까지는 동일 함 W = 0.625 X 1200(KJ/cycle) x 60(cycle/min) x 60(min/h) / 3600(kJ/kWh) = 750 kW -천천히 확인해보시고 이해가 안되면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688 | 에너지관리기사 단답형 및 필답형 문제 문의사항 | han****** | 2021-10-14 | 1855 |
에너지관리기사 단답형 및 필답형 문제 p368 21번 1,000,000을 곱해주어 ppm을 만들어 주었는데요, 1,000,000단위가 무었이며 어떤때는 1/1,000,000을 해주는지 궁금합니다. p 376 문제 45번 에서 166.66 kgf/cm2=1.666kgf/mm2로 단위변환을 했는데요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설명 부탁드립니다. |
||||
48690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단답형 및 필답형 문제 문의사항 | 김계호 교수 | 2021-10-14 | 1855 |
답변입니다) 1. ppm이란 백만분율로 어떤 값을 1/100만 으로 표시한 것입니다. 1500kg 속에 어떤 물질이 30g 들어 있었다면 우선 단위를 통일하면 1500kg = 1500 x 1000 g 입니다 여기서 ppm으로 위 값에서 1,000,000 을 곱하면 됩니다 즉 ppm = 30g/1500x1000g x 1,000,000 = 20ppm이 나오는 것입니다 만약에, 위 문제를 거꾸로 만들어보면 1500kg속에 20ppm의 물질이 녹아 있다면 몇g이 녹아 있는가? 라고 할 수 있겠죠? X = 1500x1000(g)x20 / 1,000,000 = 30g 이 나옵니다. 이 경우에는 1/1,000,000을 해 줘야겠죠? 2. 1cm = 10mm 입니다 따라서 1cm^2 = 1cm x 1cm = 10mmx10mm = 100mm^2 입니다 166.66 kgf/cm^2 = 166.66kgf/100mm^2 = 1.66kgf/mm^2 가 됩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687 | 에너지관리기사 단답형 및 필답형 문제 문의사항 | han****** | 2021-10-14 | 1855 |
1. 에너지관리기사 단답형 및 필답형 문제 문의사항 : p364 11번 문제와 p440 220번 문제가 랭킨사이클 효율 문제인데 왜 풀이 방법이 다른지, 즉 어느 방법이 맞는지 여부 답변입니다) 1. 보일러 효율은 2가지 방법으로 풀수가 있습니다 1) 입출열법 : 유효출열 /입열 2) 손실열법 : 1 - 무효열/입열 마찬가지로 랭킨 사이클 효율도 두가지 방법으로 푼 것입니다.==> 답변을 주셨는데 2가지방법중 어느것으로 풀으나 관계가 없다는 건가요? 2. 과년도문제풀이 문의사항 : p511 2번 문제에서 427을 곱해주었는데 단위가 무엇있지 궁금하구요, 또 어떤 때는 1/427을 곱해주던데 그이유는 무엇인지요? |
||||
48689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단답형 및 필답형 문제 문의사항 | 김계호 교수 | 2021-10-14 | 1855 |
답변입니다) 1. 보일러 효율은 2가지 방법으로 풀수가 있습니다 1) 입출열법 : 유효출열 /입열 2) 손실열법 : 1 - 무효열/입열 마찬가지로 랭킨 사이클 효율도 두가지 방법으로 푼 것입니다. 2. Q(kcal) = A W(kg*m) 여기서 A=1/427(kcal/kg*m) 로 일의 열당량입니다 W(kg*m) = J Q (kcal) 여기서 J = 427(kg*m/kcal) 로 열의 일당량입니다 열은 일로, 일은 열로 변환이 가능한데 단위를 통일시켜주기 위한 값입니다. 구하는 단위에 따라 달라지는 것입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