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8832 | 에너지관리기사 2010 년 1회차 3번문제 질문있습니다. | dud***** | 2021-11-02 | 1859 |
문제에서 제시된 내용은 보일러수 2000톤 안에 용존산소9ppm인데 아황산나트륨량 : 산소량(아황산나트륨과 결합 산소량?) = X : 9ppm 으로 계산하는 이유 궁금합니다. X 의 구해진값은 어떤값이며 왜 보일러수의양과 곱해지는지 궁금합니다. |
||||
48834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2010 년 1회차 3번문제 질문있습니다. | 김계호 교수 | 2021-11-02 | 1859 |
답변입니다) 1. 보일러수 속의 용존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아황산나트륨을 사용합니다. 아황산나트륨은 반응식에서 보는 것처럼 2Na2SO3 + O2 = 2Na2SO4로 됩니다 이 때 황산나트륨2X126kg 에 산소는 32kg의 비로 결합합니다. 질의하신 X의 값은 보일러수 2000톤속에 산소 9ppm이 녹아 있을 때 아황산나트륨의 농도가 되는 것입니다 2. 아황산나트륨은 2000톤의 보일러수 속에 70.875ppm 으로 투입되므로 2000(ton)x1000(kg/ton)x 70.875(ppm)/1000000(ppm) 으로 계산되는 것입니다 3. 다시 말하면, 2000톤 속의 보일러수에 용해된 70.875ppm의 농도로 녹아 있는 아황산나트륨은 141.75kg 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30 | 과년도 문제풀이 질문입니다 | j10**** | 2021-11-02 | 1855 |
안녕하세요.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강의를 수강중인 이용일입니다. 과년도 14년 1회 7번 문제 공연비 계산시 공기의 질량에는 공기비 적용이 없는데요. 20년 4회 17번 문제에선 지문에 공기비가 주어져서 그런지 공기의 질량계산시 공기비를 적용하셨어요.궁금해서요. 저는 에너지분야 전공자는 아닙니다. 짧은 식견으로 준비하려니 걱정이 크네요. 그리고, 단위적용이 아주 힘이드네요. 혹시 단위 요약이나 예문을 들어설명하신게 있으시면 메일부탁드리면 실례가 될런지요. 60초반수강생입니다. 부탁드립니다. 늘 건강하시고요. 감사합니다. |
||||
48831 | [답변] 과년도 문제풀이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1-11-02 | 1855 |
답변입니다) 1. 2014년 1회 7번 문제는 풀이상 오류가 있어 이번에 새로 촬영하여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그리고 문제의 내용도 보완하였고 또 그에 따른 연습문제도 별도로 2문제를 실었으니 동영상을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해가 안되시면 질의하여 주시면 상세히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2. 공부하시는 수강생분들께서 이용일님처럼 단위변환 및 통일 등에 있어 힘들어 하여 요 근래 촬영한 문제 및 풀이는 대부분 계산과정에 단위를 전부 넣어서 상세히 풀이 하고 있습니다. 3. 죄송합니다만 별도의 단위 요약은 위에서 설명해드린 것 말고는 없네요 4. 공부하시면서 어떤 문제든 단위계산이 힘든 문제는 게시판에 올려 주십시오. 최선을 다해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5. 기존 수강생들도 단위 계산에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직접 게시판에 올리면 상세히 단위 풀이과정을 설명해드리고 있습니다. 어떤 문제든 상관없으니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6. 질의하실 때에는 한꺼번에 여러개 동시에 질의하시게 되면 답변도 길어지고 읽기도 힘들어지므로 가급적 한문제씩 별도로 올려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28 | 2021년 1회 7번 문제 | ytj**** | 2021-11-02 | 1858 |
스프링 안전밸브 누설원인 5번째 답이 밸브시트에 이물질 낀 경우라고 하셨는데 밸브와 시트가 아니고 밸브시트라고 쓰는게 맞나요???? |
||||
48829 | [답변] 2021년 1회 7번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1-11-02 | 1857 |
답변입니다) 1. 밸브시트 (valve seat) 란 밸브(valve) 면과 집적 밀착하여 압력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 즉, 밸브가 앉는 자리를 의미합니다. 2. 그러므로 정확하게 표현하면 산업현장에서 보일러 안전검사를 받을 때 스프링식 안전밸브를 분해한 상태에서 검사를 받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때, 검사목적은 밸브가 밀착하는 밸브시트의 사이가 오래동안 작동되지 않아 달라붙는 현상(고착현상)을 방지하여 보일러 파열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3. 정리하자면, 1) 밸브(valve)와 밸브시트(valve seat) 사이에 이물질이 낀 경우 증기 누설의 원인이 되고 2) 밸브와 밸브시트 사이가 고착된 경우에는 안전밸브의 작동이 원활치 않아 파열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시험에서 중요하게 출제될 수 있는 것들입니다 4. 밸브시트(valve seat)의 정의는 보일러 뿐만 아니라 자동차 등 안쓰이는 곳이 없으니 인터넷에 valve seat 의 정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24 | 에너지관리기사 2020년 17번 문제 질문있습니다 | dud***** | 2021-11-01 | 1857 |
2020년 17번 문제 공연비의 공기의질량 에대해 질문있습니다. 공기의질량 A 구하는과정의 이론공기량 계산과정에 분모에 114가 들어가야 하는것으로 이해하고 공부하였는데 포함되지않은 이유가궁금하여 질의드립니다. 풀이과정은 파일로 첨부하였습니다. |
||||
48826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2020년 17번 문제 질문있습니다 | 김계호 교수 | 2021-11-01 | 1856 |
답변입니다) 수강생의 파일 풀이과정을 보니까 다른 것은 다 완벽히 잘했습니다. 그런데 이론공기량을 푸는 과정에서 오류가 있었네요. 이론공기량(중량식)은 항상 연소반응식에서 산소의 값에서 구하는 게 맞습니다. 그런데 옥탄(C8H18)의 분자량(114)으로 나누었는데 또, 공연비 계산할 때 연료의 질량(114)로 나누었네요. 그럼 계산이 중복되는 것이지요? 공기비 구할 때에는 114가 빠지고 공연비= 공기질량/연료질량 계산할 때 114로 나누는 것이 맞습니다. 다시 한번 천천히 계산해 보시고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23 | 2020년 2회 12번 문제 | ytj**** | 2021-11-01 | 1856 |
문제에서 k값을 구해서 대입 할때 1.6612말고 1.66으로 대입해서 답을 구하면 틀린게 되나요???? |
||||
48825 | [답변] 2020년 2회 12번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1-11-01 | 1855 |
답변입니다) 제가 항상 수강생에게 강조하는 것이 있습니다. 에너지 필답형 시험에서 계산문제는 수험생들이 문제의 푸는 과정을 이해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과정입니다. 풀이 과정만 이상없으면 전혀 걱정할 것 없습니다. 지엽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절대로 신경 쓸 필요없습니다. 정리하자면 1.6612 대신에 1.66으로 써도 됩니다. 답은 472.37 도C 가 나왔지만 조금씩 달라질 수 있는 것입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19 |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 han****** | 2021-10-31 | 1856 |
특강필답형 P397 문106번 저위 발열량 공식에서 -600(9H+W)를 사용하였는데 필답형예상 P170 144번 에서 고위발열량에서는 -600(9H+W)를 생략한 공식을 사용했는지 궁금합니다. |
||||
48820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 김계호 교수 | 2021-10-31 | 1856 |
답변입니다) 1) 고위발열량(Hh) = 저위발열량(Hl) + 잠열(600(9H+W)) 그러므로 2) 저위발열량(Hl) = 고위발열량(Hh) - 잠열(600(9H+W)) 가 됩니다. 따라서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의 차이는 잠열(600(9H+W))의 차이가 됩니다. 질의하신 P397의 문 106에서는 고위발열량(8100C+34000(H-O/8)+2500S) 에서 잠열(600(9H+W))를 뺀 것입니다. 다시한번 천천히 읽어 보신 후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15 | 2018년 2회 10번 | jin**** | 2021-10-31 | 1859 |
증발계수 =실제증발량/상당 증발량인데 3000/3110=0.96 맞지 않는지 문의드립니다. 풀이 및 정닺은 3110/3000=1.04으로 되어 있어 문의드립니다ㅡ. |
||||
48817 | [답변] 2018년 2회 10번 | 김계호 교수 | 2021-10-31 | 1860 |
답변입니다) 증발계수 = 상당증발량 / 실제증발량 입니다. 풀이과정 및 답은 이상 없습니다. 다시 한번 확인 해보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11 | 2021년2회 13번 풀이과정 문의드립니다 | 122**** | 2021-10-30 | 1858 |
항상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1년2회 13번 풀이과정이 이해가 안갑니다 유량(Q) : 15.7이고, Q=Gcdt=KπDLdtm인데요 왜 15.7 = 4.18 x (40 - 20) 으로 시작되지 않고, 15.7 x 4.18 x (40 - 20) 으로 돼는지요? 그리고 G값은 안주어지면 1 인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