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ID/PW찾기
실시간문자상담
* 연락처
게시판
공지사항
1:1 학습문의
일시정지 요청
합격후기 게시판
>
동영상 관련 문의
교육상담
02-812-5669
365일 운영 10:00 ~ 24:00
기술지원센터
02-812-4035
1:1원격지원
입금계좌
078-209658-04-010
기업은행 (예금주 : 최정원)
학습문의 전체게시판
홈 > 게시판 > 에너지관리기사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에너지취급기능사
과정안내 및 수강신청에 대한 궁금한 내용을 남겨 주세요. 학습질문 및 학습자료 요청은 수강중인 회원님께 제한됩니다.
교수님에게 직접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48823 2020년 2회 12번 문제 ytj**** 2021-11-01 1856
문제에서 k값을 구해서 대입 할때 
1.6612말고 1.66으로 대입해서 답을 구하면 틀린게 되나요????
답글 수정 삭제
48825 [답변] 2020년 2회 12번 문제 김계호 교수 2021-11-01 1855
답변입니다)

 제가 항상 수강생에게 강조하는 것이 있습니다.
 에너지 필답형 시험에서 계산문제는 수험생들이 문제의 푸는 과정을
 이해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과정입니다.


 풀이 과정만 이상없으면 전혀 걱정할 것 없습니다.
 지엽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절대로 신경 쓸 필요없습니다.

 정리하자면 1.6612 대신에 1.66으로 써도 됩니다.

 답은 472.37 도C 가 나왔지만 조금씩 달라질 수 있는 것입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8819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han****** 2021-10-31 1856
특강필답형 P397 문106번 저위 발열량 공식에서 -600(9H+W)를 사용하였는데
 필답형예상  P170 144번 에서 고위발열량에서는   -600(9H+W)를 생략한 공식을 사용했는지 궁금합니다.
답글 수정 삭제
48820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김계호 교수 2021-10-31 1856
답변입니다)

          1) 고위발열량(Hh) = 저위발열량(Hl) + 잠열(600(9H+W))
 그러므로 2) 저위발열량(Hl) = 고위발열량(Hh) - 잠열(600(9H+W))  가 됩니다.

 따라서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의 차이는 잠열(600(9H+W))의 차이가 됩니다.
 
 질의하신 P397의 문 106에서는 고위발열량(8100C+34000(H-O/8)+2500S) 에서 잠열(600(9H+W))를 뺀 것입니다.

 다시한번 천천히 읽어 보신 후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8815 2018년 2회 10번 jin**** 2021-10-31 1859
증발계수 =실제증발량/상당 증발량인데

3000/3110=0.96 맞지 않는지 문의드립니다. 

풀이 및 정닺은 3110/3000=1.04으로 되어 있어 문의드립니다ㅡ. 
답글 수정 삭제
48817 [답변] 2018년 2회 10번 김계호 교수 2021-10-31 1860
답변입니다)

 증발계수 = 상당증발량 / 실제증발량  입니다.
 풀이과정 및 답은 이상 없습니다.
 다시 한번 확인 해보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8811 2021년2회 13번 풀이과정 문의드립니다 122**** 2021-10-30 1858
항상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2021년2회 13번 풀이과정이 이해가 안갑니다

유량(Q) : 15.7이고, Q=Gcdt=KπDLdtm인데요 왜 15.7 = 4.18 x (40 - 20) 으로 시작되지 않고, 15.7 x 4.18 x (40 - 20) 으로 돼는지요?

그리고 G값은 안주어지면 1 인가요?

답글 수정 삭제
48812 [답변] 2021년2회 13번 풀이과정 문의드립니다 김계호 교수 2021-10-31 1858
답변입니다)

 1. 풀이과정에서 유량과 열량을 착각하신 것 같습니다.
    배관에서 단면적(A)X유속(V) 는 유량이 됩니다.
    Q= AV로 쓰면 혼란스러울 것 같아 유량=AV로 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밑의 풀이에서 Q = G C dT에서 Q는열량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Q가 중복되기 때문입니다.

   (영어로 단위를 쓰는 과정에서 종종 그런 경우가 있습니다. d가 배관의 지름을 나타내지만
   열관류율 계산에서는 두께로 쓰입니다. 왜냐하면 온도차를 계산할 때 t를 쓰기 때문에 중복되기 때문입니다.

2. Q = G C dt 에서 G가 초당 배관을 통과하는 유량(=15.7kg/s) 입니다.

3. 문제를 푸는 과정을 이렇습니다.

   1) 배관의 입구 20 도C 에서 출구 40도C로 상승되면 물에서 발생하는 열량(Q1) = G C dt 
      = 15.7(kg/s)x4.18(kJ/kg*k)x(40-20)(도C) = 1312.52 kJ/s = 1312.52 kW  (1KW= 1kJ/s, 온도차에서는 1k와 1도C가 같으므로 약분 가능)

   2) 배관에서의 열량 1312.52 kJ/s = 1312.52 kW 이 배관 밖으로 전열하게되는데 
      이때의 열량 계산은 배관의 지름이 아닌 둘레를 통해서 발생하기 때문에 면적(A) = 파이*D*L이 됨.
      Q2 = K*A*델타tm = k*파이*D*L*델타tm = 10(kw/m^2*k)*파이*0.1m*L*49.33도C  (여기서 델타tm은 대수평균온도차로 풀이과정에서 계산 49.33도C)

   3) 배관에서 발생 열량 (Q1) = 배관밖으로 전열량 (Q2) 이므로 (Q=Q1=O2 이므로)
      Q = 1312.52(kw)= 10(kw/m^2*k)*파이*0.1m*L*49.33도C 
      L = 1312.52(kw)/10(kw/m^2*k)*파이*0.1m*49.33도C = 8.47m  (여기서도 온도차이기 때문에  1k와 1도C가 같으므로 약분 가능)

4. 상세하게 풀었으니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8807 특강 필답형 78번문제 질문있습니다. dud***** 2021-10-30 1861
<파일첨부> 풀이내용을 첨부하였습니다.

질문1. 1MPa 가 10.2  X  10^4  로 대입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질문2.   R값이 29.27이 대입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질문3.  계산과정과 다른풀이에 g 중력가속도의
             대입 하고 안하고의 구분이 궁금합니다.


P1V1대입 해서 풀이한방식은 P1값과 g의 대입 차이같네요
대입기준이 궁금 합니다.

답글 수정 삭제
48808 [답변] 특강 필답형 78번문제 질문있습니다. 김계호 교수 2021-10-30 1860
답변입니다)

 1. 이 계산식은 mks 단위로 푼 것입니다
    1) 1ata = 1kg/cm^2 = 98KPa
    2) 1atm = 1.0332 kg/cm^2 = 101.325KPa
       두 식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 풀든지 동일함
       1KPa = 1/98 kg/cm^2 = 0.0102 kg/cm^2
   따라서 1MPa = 1000KPa = 10.2 kg/cm^2 = 10.2x10^4 kg/m^2
   ( 이 계산과정이 어려우면 두번째 표준단위를 이용한 풀이법으로 풀어보기 바랍니다)

 2. 공기의 기체상수는 29.27 kg*m/kg*k = 0.287 kJ/kg*k
    (이 값은 29.27(kg*m/kg*k)x4.186(kJ/kcal)x1/427 (kcal/kg*m)     : 1/427 (kcal/kg*m) 일의 열당량
           = 0.287 kJ/kg*k  로 나옴

 3. mks 단위에서는 g가 들어가고
    Pa 로 주어진 경우 루트 안의 g값은 약분되어 없어지기 때문에 
    처음부터 계산할 때부터 g값을 빼고 계산하면 됩니다.
     이와 관련된 문제 및 풀이과정은 동영상 편에서 다양하게 풀이하였습니다.
     (No 48782, No48784 : 10월30일,   No48651, No48652 :10월10일)

 4. 2019년 2회차 8번 문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와 관련한 질문과 계산과정이 아래와 같이 있으니 읽어 보면 이해가 될겁니다)

 5. 공기의 비열비, 정압비열을 이용하여 공기의 기체상수R을 구하여 286 J/kg*k가 나온  수강생의 풀이 과정은 맞습니다.
    만약 공기의 기체상수 값을 외우지 못했다면 지금처럼 풀면 됩니다

읽어보시고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8809   [답변] 특강 필답형 78번문제 질문있습니다. dud***** 2021-10-30 1859
감사합니다.  이해했습니다

1Mpa=  10.2kgf/cm^2 × 10^4  = kgf/m^2


그런데 단위제거하고 루트안에 kgf/m^2 남는 이유는 어떻게되나요
답글 수정 삭제
48810    [답변] 특강 필답형 78번문제 질문있습니다. 김계호 교수 2021-10-30 1859
답변입니다)

 루트안에 단위가 정리 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루트 안의 중력가속도(m/s^2), 압력(kg/m^2), 비체적(m^3/kg)을 정리하면 됩니다)

 V2 = 루트 2 x 9.8(m/s^2) x 1.4/(1.4-1) x 10.2x10^4 (kg/m^2) x 0.1931 (m^3/kg) x 상수
    
    = 루트 m^2/s^2
     
    = m/s  가 나옵니다

확인해보시고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8803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han****** 2021-10-30 1855
1. 연소 관련 문제풀이 시 계산식에서   (1-0.21)A0 또는 (m-0.21)A0 또는 (m-1)A0을 사용하는데 어떤 때  각각 사용하는지 
     기준을 정확히 모르니  혼동이되어 와우기가 어렵습니다.
     이해하는데 좋은 방법이 없는지요?
 2. 2012년 3회 9번문제
   - 분모 가 rqh인데 잘이해가 되지 않는데 전체적인 설명 부탁드립니다.
    ( 유량단위도 보이지 않는것 같고, 초단위 환산 등  ...)
 
답글 수정 삭제
48804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김계호 교수 2021-10-30 1856
답변입니다)

1. 1) (1-0.21)A0 : 이론건연소 가스량, 이론습연소 가스량
   2) (m-0.21)A0 : 실제건연소 가스량, 실제습연소 가스량
      따라서 이론습/건연소가스량은 (1-0.21)A0 이고
             실제습/건연소가스량은 (m-0.21)A0 임
   3) (m-1)A0 = m*A0 -A0 (공기비(m)= A/A0   그러므로 A=m*A0))
       = A-A0 = 실제공기량-이론공기량 = 과잉공기량 임.


2. (먼저 질문 중에서 분모가 아닌 분자가 rQH임)
   
   (1KW= 102 kg*m/s,  1h=3600s,  물 1ton=1m^3, 안전계수(여유율): 1.5 )
    효율= y= 펌프효율x모터효율= 0.7x0.85= 0.595   일 때)

  펌프용량(KW) = r Q H/102 y 
               = 1000(kg/m^3)x12(m^3/h)x 20(m)x1.5 / 102(kg*m/s)/KW)x3600(s/h)x0.595
               = 1.65 KW


상세하게 풀어 놓았습니다. 

천천히 확인 해보시고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8813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han****** 2021-10-31 1856
1. 답변관련 제3편 p464 1번문제 5)풀이에서 실제습배기가스량인데 (m-1)A0 사용,
     2011년 1회 3번에서는 (m-1)A0 사용,  p540 9번문제 1)풀이에서 배기가스량인데 (m-1)A0 사용하고있습니다.
     답변에서 연소가스량인경우에 (1-0.21)A0 또는 (m-0.21)A0 을 사용한다고하였는데 잘이해가 되지 않아 다시 질문드립니다.
답글 수정 삭제
제목 내용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