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8921 | [답변] (p436) 필답형 213번 위치수두가 왜 같은거죠? | yng**** | 2021-11-10 | 1855 |
EL과 GL 까지의 길이는 넓은 관이나 좁은 관이나 같지만 EL 에서 관의 내경까지 물의 깊이는 넓은 관이 좁은 관보다 길잖아요? 물양이 훨씬 많은대 위치 에너지가 같다니 이해가 안가요? |
||||
48928 | [답변] (p436) 필답형 213번 위치수두가 왜 같은거죠? | 김계호 교수 | 2021-11-10 | 1855 |
답변입니다) 1. 수평으로 연결된 관에서는 위치에너지는 같습니다. 2. 지금 질의하신 것은 넓은 관에서의 압력에너지가 당연히 크겠죠. 그리고 축소되는 관에서는 유속이 그만큼 빨라지는 것입니다. 유속이 빨라지는 것 만큼의 압력차가 형성되는 것이고 이것을 수치로 나타내는 것이 압력계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16 | (p448) 필답형 227번에서 Wt=90000*9.8/1000 에서... | yng**** | 2021-11-10 | 1855 |
(p448) 필답형 227번에서 Wt=90000*9.8/1000 에서.../1000 이 왜 붙었나요? 톤으로 환산하기위해서요? | ||||
48918 | [답변] (p448) 필답형 227번에서 Wt=90000*9.8/1000 에서... | 김계호 교수 | 2021-11-10 | 1855 |
답변입니다) 1. 공부하시면서 단위 때문에 힘드시죠? 분모측 R = 0.26kJ/kg*k에서 J=N*m입니다 그러니까 이렇게 환산할 수 있습니다 R= 0.26kJ/kg*k = 0.26kN*m/kg*k = 0.26*1000J/kg*k = 0.26*1000 N*m/kg*k...... 2. 분자에서 보면 90000 kgf*m = 90000kgf*m x9.8N/kgf x 1/1000 (kN/N) 이 되어 (KN*m=kJ) 가 남아 분모와 단위 정리가 되겠죠? 다시말해, 1/1000은 N을 KN으로 바꿔서 분모의 0.26kJ/kg*k = 0.26kN*m/kg*k 와 단위가 정리 되기 때문입니다 3. 만약에 분자에서 1/1000을 안하면 분모의 0.26kJ/kg*k = 0.26*1000 N*m/kg*k 로 고쳐서 정리 해도 됩니다 4. 단위 문제이니 다시 한번 확인 해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11 | 실기2021년2회18번과2021년1회1번과 관련하여 18번에서 유체의 가속도를 구하라면 | yng**** | 2021-11-09 | 1861 |
교수님 실기2021년2회18번과 2021년1회1번 과 관련하여 18번에서 유체의 가속도를 구하라면 어떻게 나오나요? | ||||
48915 | [답변] 실기2021년2회18번과2021년1회1번과 관련하여 18번에서 유체의 가속도를 구하라면 | 김계호 교수 | 2021-11-09 | 1860 |
답변입니다) 1. 18번 문제는 앞의 1번 문제 처럼 축방향의 거리를 알 수없는데 가속도를 구할 수 있나요? 2. 문제의 내용이 다른 문제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10 | 에너지관리기사 교재 443쪽 46번 질문 | zam*** | 2021-11-09 | 1855 |
에너지관리기사 교재 443쪽 46번 질문 공급차단은 게이트 밸브가 되어야 하는 것 아닌가 질문합니다. 정답과 강의에서 모두 스톱밸브로 되어 있어 질문드립니다. |
||||
48914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교재 443쪽 46번 질문 | 김계호 교수 | 2021-11-09 | 1855 |
답변입니다) 1. 질의 하신대로 게이트밸브(슬루스밸브)의 주목적은 차단용이 맞습니다 2. 글로브밸브(스톱밸브)는 조절용 및 차단용 입니다. : 주용도는 조절용이지만 차단용으로도 쓰이는 것입니다 3. 여기서 공급(또는 조절용) 및 차단용으로 언급되면 글로브밸브가 맞습니다 4. 정리하자면 게이트밸브는 차단용, 글로브밸브는 유량조절용이나 차단용 으로 외우셔야 합니다 5. 질의하신 문제에서는 증기 공급이 조절의 개념도 들어가 있는 것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09 | 실기 2014년 1회 12번 헬름홀츠 자유에너지 값? | yng**** | 2021-11-09 | 1857 |
교수님 실기 2014년 1회 12번 헬름홀츠 자유에너지 값? 을 묻는 문제에서 필기교재(P78)에는 dF=-SdT-PdV 라고 잠깐 나오는데요. 그식으로는 이 문제를 못푸나봐요? 혹시 깁스의 자유에너지를 구하시요? 그런 문제도 나올수 있죠? 어떻게 대처하나요? |
||||
48913 | [답변] 실기 2014년 1회 12번 헬름홀츠 자유에너지 값? | 김계호 교수 | 2021-11-09 | 1858 |
답변입니다) 1. 글쎄요, 짧은 시간에 너무 방대한 양을 공부하시는 것 보다는 지금 정도의 공부 깊이라면 시험을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듯합니다 2. 굉장히 나름대로 깊이 있게 공부하셨다는 생각이 듭니다. 3. 간혹 물리학 문제도 출제가 되곤하는데 그것까지 깊이있게 다루기는 한계가 있음을 양해해 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05 | (압력계의 비중량-유체비중량)/유체비중량 이란 말씀이시죠? | yng**** | 2021-11-09 | 1855 |
(압력계의 비중량-유체비중량)/유체비중량 이란 말씀이시죠? | ||||
48907 | [답변] (압력계의 비중량-유체비중량)/유체비중량 이란 말씀이시죠? | 김계호 교수 | 2021-11-09 | 1855 |
답변입니다) 1. 예, 그런 의미입니다. 2. 쉽게 정리하자면 (큰 비중량-작은 비중량)/작은비중량 = (큰비중량/작은 비중량) - 1 이 되는 것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08 | [답변] (압력계의 비중량-유체비중량)/유체비중량 이란 말씀이시죠? | yng**** | 2021-11-09 | 1855 |
감사합니다. 압력게의 비중량이 유체의 비중량보다 작아서는 계측이 되지않게군요 저와 같은 전철을 밟지 않도록 다음 교재에서는 본문을 넣어주십사 부탁드립니다 |
||||
48912 | [답변] (압력계의 비중량-유체비중량)/유체비중량 이란 말씀이시죠? | 김계호 교수 | 2021-11-09 | 1902 |
답변입니다) 1. 오늘 너무 많은 공부를 하다보니 정신이 없겠지만, 압력계의 비중량이란 말은 틀린 말입니다. 2. U자관에서 공기가 누르는압력, 물(또는 수은)이 누르는 압력의 차이가 형성되겠죠? 그 높이가 액주계의 높이가 되는 것입니다. 3. 둘의 압력차로 인해 형성된 액주계의 높이차를 눈금으로 보기 쉽게 나타낸 것이 압력계의 눈금입니다. 4. 따라서, 압력계의 눈금 = 델타 P = P1-P2 가 되는 것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898 | 실기 2011년 2회 6번 (p477) 재열기는 팽창변을 말씀하사는 건가요? | yng**** | 2021-11-09 | 1855 |
교수님 실기 2011년 2회 6번 (p477) 재열기는 팽창변을 말씀하사는 건가요? 그렇다면 왜 재열기라고 부르죠:? 단열팽창후 저온 저압이 되는데. 응축기 발생열량으로 난방하는 거죠? 냉동사이클로 봐도 입열 출열식이 같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