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ID/PW찾기
실시간문자상담
* 연락처
게시판
공지사항
1:1 학습문의
일시정지 요청
합격후기 게시판
>
동영상 관련 문의
교육상담
02-812-5669
365일 운영 10:00 ~ 24:00
기술지원센터
02-812-4035
1:1원격지원
입금계좌
078-209658-04-010
기업은행 (예금주 : 최정원)
학습문의 전체게시판
홈 > 게시판 > 에너지관리기사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에너지취급기능사
과정안내 및 수강신청에 대한 궁금한 내용을 남겨 주세요. 학습질문 및 학습자료 요청은 수강중인 회원님께 제한됩니다.
교수님에게 직접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48942 라몽트 노즐을 설치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yng**** 2021-11-14 1855
수관보일러에서  라몽트노즐을 설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답글 수정 삭제
48943 [답변] 라몽트 노즐을 설치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김계호 교수 2021-11-14 1855
답변입니다)

 시험치르느라 수고 많이 하셧습니다.

 라몽트 보일러는 강제 순환식 수관식 보일러 입니다.
 여기에서 라몽트 노즐을 설치하는 이유는 
 수관속 보일러수/관수 가 균등하게 순환하기 위해서 입니다

  모쪼록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8944   [답변] 라몽트 노즐을 설치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lee****** 2021-11-14 1855
물이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기 위해서  도 정답가능할까요?
답글 수정 삭제
48947    [답변] 라몽트 노즐을 설치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김계호 교수 2021-11-14 1855
 답변입니다)
   오늘 고생 많았습니다.

   라몽트 노즐의 설치 목적은 위에서도 설명해드린 바와 같이
   균일한 보일러수 순환 입니다.

   제가 채점관이라면 이정도 같으면 정답으로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채점관의 재량에 맡기셔야 하겠네요.

   이번 시험 열심히 하셨으니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8940 필기 535쪽 50번 zam*** 2021-11-14 1855
50번 문제 답이 3번과 4번 모두 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답글 수정 삭제
48941 [답변] 필기 535쪽 50번 김계호 교수 2021-11-14 1855
 답변입니다)

 1. 50번의 문제가 다음과 같은 내용이 맞는 것입니까?
    
    50. 실제기체의 거동이 이상기체의 법칙으로 표현될 수 있는 상태는? 
         1) 압력이 낮고 온도가 임계온도 이상인 상태
         2) 압력과 온도가 모두 낮은 상태
         3) 압력은 임계온도 이상이고 온도가 낮은 상태
         4) 압력과 온도가 모두 임계점 이상인 상태

 2. 이상기체(=완전기체)란 분자간 상호작용이 0인 기체를 말하며
    이것은 가상적인 기체를 의미합니다.
    현실에 존재하는 실제기체가 완전히 같아질 수는 없겠지만 
    이상기체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려면 압력은 낮고, 온도는 높아야
    합니다. 즉, 고온저압이 되어야 합니다.

 3. 질문하신 3번은 임계점 이상의 압력이면 고압이 된다는 의미이고,
    4번은 고온고압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4. 따라서 답은 1번이 맞습니다.

 5. 만약 이해가 안되거나 다른 질문에 대한 답변이라면 다시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8938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han****** 2021-11-13 1855
2010년 3회 1번문제 5) 실제습배기가스량 계산시 (m-1)A0를 사용했고, 
 2020년 1회 9번문제 2) 실제습연소가스량  계산시 (m-0.21)A0를 사용했는데
 상기 두 문제가 같은 종류의 문제인대 왜 풀이가 다른지요?  이와같은 문제가 나올경우 어떤 기준으로 풀어야 하는지 설명당부드립니다.

답글 수정 삭제
48939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문의 김계호 교수 2021-11-13 1857
 답변입니다)

  1. 지난번에 자세히 설명해 드렸는데 완전히 이해가 안되신 것 같습니다.

  2. 주관식 풀이법은 꼭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문제도 결국은 같은 방식이지만 풀이 과정을 세분화 한 것입니다. 

  3. 다시한번 상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이 문제는 어떤 유형이든 100% 출제된다고 보셔야 합니다 !!!!!

  4. 우선, 지난 번에 설명 해드린대로
     실제습연소 가스량(Gw) = 이론습연소가스량(Gow) + 과잉공기량(A-Ao)  
     (이 공식은 기억이 나시죠? (기억이 안나면 앞에 질문한 것들을 찾아 보십시오) )
     따라서
     Gw = Gow + (A-Ao) = Gow + (m-1)Ao   
     (왜냐하면, A-Ao = mAo - Ao = (m-1)Ao  가 됩니다)    : 공기비(m) = A/Ao   그러므로  A = m*Ao  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면 이 공식은 2010년 3회 1번의 5) 공식과 같아집니다
     그런데 여기서 이론습연소가스량(Gow)는 주어진 값이 아니라 위 4번의 공식을 가지고 풀어 낸 것입니다

  5. 위 4번의 공식에서 Gow = (1-0.21)Ao+1.867C + 0.7S + 0.8N2 + 1.244(9H+W) 입니다.  

  6. 따라서 두 식을 가지고 풀어보면
      Gw = Gow + (m-1)Ao 
         = (1-0.21)Ao+1.867C + 0.7S + 0.8N2 + 1.244(9H+W) + (m-1)Ao   : 맨 뒤의 값을 앞으로 옮기면
           
         = (1-0.21)Ao +(m-1)Ao+1.867C + 0.7S + 0.8N2 + 1.244(9H+W)  : 앞의 식을 전개하면 
         = 0.79Ao + mAo-Ao +1.867C + 0.7S + 0.8N2 + 1.244(9H+W)   : 앞의식을 계산하면
         = mAo-0.21Ao + 1.867C + 0.7S + 0.8N2 + 1.244(9H+W)   : 앞의 식에서 Ao로 묶어내면
         = (m-0.21)Ao + 1.867C + 0.7S + 0.8N2 + 1.244(9H+W)  가 됩니다.

      그러면, 이 공식은 질문하신 2020년 1회9번 문제와 비교해 보십시오. 
      똑같지 않습니까?

  7. 결국, 두 개의 공식은 같은 것입니다.
      
  8. 이 문제는 에너지관리를 공부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문제들 중의 하나 입니다.
     이 문제는 무조건 100% 나올겁니다. 꼭 풀이과정을 외워주시기 바랍니다

  9.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8936 과년도 문제 문의드립니다. han****** 2021-11-12 1855
2019년 3회 p604 연습문제 풀이과정중 실제터빈일을 구할때 h5값이 3269.1인데 계산시 3169.1을 사용했는지 궁금합니다.
 숫자가 오타가 아닌지요? 오타가 아니라면 왜  h5값과 틀리게 계산했는지 설명부탁드립니다.
답글 수정 삭제
48937 [답변] 과년도 문제 문의드립니다. 김계호 교수 2021-11-12 1855
답변입니다)

 1. 그렇네요. 3269.1 이 아니라 3169.1 이  맞습니다

 2. 출판사에서 원고를 옮기는 과정에 잘못이 있었네요.
     즉시, 수정토록 요청하였습니다

 3. 꼼꼼하게 찾아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8932 에너지관리기사 2017년도 4회차 11번 질문있습니다. dud***** 2021-11-12 1858
2017년도 4회차 11번 
풀이과정중  문제에 터빈출력이 kw로 주어졌는데 860을곱하셔서
Kw로 주어져도 860을 곱해서 열량으로 바꿔도 되는건가해서 질의드립니다.

제가 직접  풀어본 풀이과정은 첨부파일로  올렸습니다.
답글 수정 삭제
48934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2017년도 4회차 11번 질문있습니다. 김계호 교수 2021-11-12 1859
답변입니다)

 1. 푸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질의 하신 방법으로 
    풀어도 가능한 방법입니다.

 2. 다 잘하셨는데 풀이 중에서 밑에서 3번째 풀이 부터 틀렸습니다

 
 3. 틀린 부분(밑에서 3번째부터) 풀이 합니다

    500000 KW = X * 146300 (kJ/ton)
    
    (1W = 1J/s, 1KW = 1KJ/s. 1kWh= 3600KJ 이므로 1KW= 3600KJ/h)
    500000 KW = X * 146300 (kJ/ton)
    500000  * 3600 (KJ/h) = X * 1463000 (KJ/ton)
    X = 500000 * 3600 (KJ/h) / 1463000 (KJ/ton)  
   ( 이 부분에서 분모와 분자가 뒤바꼈습니다, 그리고 KW를 KJ/h로 환산을 해 줘야 약분이 가능하죠?)
      = 1230 (ton/h)

   잘 풀었는데 마지막 부분에서 착각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천천히 보시고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8935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2017년도 4회차 11번 질문있습니다. dud***** 2021-11-12 1856
감사합니다. 

이해했습니다.
답글 수정 삭제
48929 과년도 문제 풀이 han****** 2021-11-10 1855
2016년도 2회 문제 12번에서  급수가열량 계산식에서 물의 비열이 1인데 왜 4.18을 곱했는지 궁금합니다.
답글 수정 삭제
48930 [답변] 과년도 문제 풀이 김계호 교수 2021-11-10 1855
답변입니다)

 1. 물의 비열은 단위에 따라 달라집니다
    물의 비열은 1kcal/kg*C = 4.18kJ/kg*C 입니다
    (왜냐하면, 1kcal = 4.18kJ 이기 때문입니다)

 2. 이 문제는 배기가스 비열이 1kJ/kg*C로 주어 졌기 때문에
    단위 통일 차원에서 물도 4.18 kJ/kg*C 값을 취해 줘야 합니다

 3. 단위가 표준단위(kJ, W)를 사용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물의 비열은 4.18kJ/kg*C를 꼭 암기 해야 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제목 내용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