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8936 | 과년도 문제 문의드립니다. | han****** | 2021-11-12 | 1855 |
2019년 3회 p604 연습문제 풀이과정중 실제터빈일을 구할때 h5값이 3269.1인데 계산시 3169.1을 사용했는지 궁금합니다. 숫자가 오타가 아닌지요? 오타가 아니라면 왜 h5값과 틀리게 계산했는지 설명부탁드립니다. |
||||
48937 | [답변] 과년도 문제 문의드립니다. | 김계호 교수 | 2021-11-12 | 1855 |
답변입니다) 1. 그렇네요. 3269.1 이 아니라 3169.1 이 맞습니다 2. 출판사에서 원고를 옮기는 과정에 잘못이 있었네요. 즉시, 수정토록 요청하였습니다 3. 꼼꼼하게 찾아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32 | 에너지관리기사 2017년도 4회차 11번 질문있습니다. | dud***** | 2021-11-12 | 1858 |
2017년도 4회차 11번 풀이과정중 문제에 터빈출력이 kw로 주어졌는데 860을곱하셔서 Kw로 주어져도 860을 곱해서 열량으로 바꿔도 되는건가해서 질의드립니다. 제가 직접 풀어본 풀이과정은 첨부파일로 올렸습니다. |
||||
48934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2017년도 4회차 11번 질문있습니다. | 김계호 교수 | 2021-11-12 | 1859 |
답변입니다) 1. 푸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질의 하신 방법으로 풀어도 가능한 방법입니다. 2. 다 잘하셨는데 풀이 중에서 밑에서 3번째 풀이 부터 틀렸습니다 3. 틀린 부분(밑에서 3번째부터) 풀이 합니다 500000 KW = X * 146300 (kJ/ton) (1W = 1J/s, 1KW = 1KJ/s. 1kWh= 3600KJ 이므로 1KW= 3600KJ/h) 500000 KW = X * 146300 (kJ/ton) 500000 * 3600 (KJ/h) = X * 1463000 (KJ/ton) X = 500000 * 3600 (KJ/h) / 1463000 (KJ/ton) ( 이 부분에서 분모와 분자가 뒤바꼈습니다, 그리고 KW를 KJ/h로 환산을 해 줘야 약분이 가능하죠?) = 1230 (ton/h) 잘 풀었는데 마지막 부분에서 착각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천천히 보시고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35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2017년도 4회차 11번 질문있습니다. | dud***** | 2021-11-12 | 1856 |
감사합니다. 이해했습니다. |
||||
48929 | 과년도 문제 풀이 | han****** | 2021-11-10 | 1855 |
2016년도 2회 문제 12번에서 급수가열량 계산식에서 물의 비열이 1인데 왜 4.18을 곱했는지 궁금합니다. | ||||
48930 | [답변] 과년도 문제 풀이 | 김계호 교수 | 2021-11-10 | 1855 |
답변입니다) 1. 물의 비열은 단위에 따라 달라집니다 물의 비열은 1kcal/kg*C = 4.18kJ/kg*C 입니다 (왜냐하면, 1kcal = 4.18kJ 이기 때문입니다) 2. 이 문제는 배기가스 비열이 1kJ/kg*C로 주어 졌기 때문에 단위 통일 차원에서 물도 4.18 kJ/kg*C 값을 취해 줘야 합니다 3. 단위가 표준단위(kJ, W)를 사용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물의 비열은 4.18kJ/kg*C를 꼭 암기 해야 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24 | 실기(P408) 141번 : 연관의 최소두께에서 | yng**** | 2021-11-10 | 1855 |
실기(P408) 141번 : 연관의 최소두께에서 10.2는 어디서 나오거예요? | ||||
48927 | [답변] 실기(P408) 141번 : 연관의 최소두께에서 | 김계호 교수 | 2021-11-10 | 1858 |
답변입니다) 1. 연관의 최소두께 공식에서 t = PD/700 + 1.5 에서 압력 P의 단위는 kg/cm^2 입니다. 2. 압력의 단위가 KPa, 또는 MPa 등으로 주어지면 단위 환산을 해야 합니다 3. 1MPa = 10.2kg/cm^2 이고 1KPa = 0.0102kg/cm^2 입니다 주어지는 단위에 따라 맞게 환산 해야 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23 | 실기(P412) 151번 : 답이 1.36 인데 왜 36% 이죠? | yng**** | 2021-11-10 | 1855 |
실기(P412) 151번 : 답이 1.36 인데 왜 36% 이죠? 1.36-1=36 그래서 36%인가요? 시럼에서는 1.36% 로 답하기 딱 좋은데요? |
||||
48926 | [답변] 실기(P412) 151번 : 답이 1.36 인데 왜 36% 이죠? | 김계호 교수 | 2021-11-10 | 1855 |
답변입니다) 1. 예를 들어 풍량이 100(m^3/min)인 송풍기의 풍량을 136(m^3/min)으로 증대시켰다면? 이 송풍기의 풍량은 기존보다 36m^3/min 증대한 것이 되겠죠? %로 36%가 상승한 것입니다 2. 질의하신 것처럼 1.36-1 = 0.36 = 36% 로 계산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22 | 실기(p380) 58번 (p501) 2번 : 엔탈피차*1000 과 2gJ*엔탈피차... | yng**** | 2021-11-10 | 1855 |
교수님 헷갈려서 공부못하겠네요^^ 실기(p380) 58번, (p501) 2번 : 엔탈피차*1000 과 2gJ*엔탈피차..... 에서 1000은 왜 곱하고 어떤 건 중력가속도*일당량 이 있고....도무지 알수가 없네요 시간은 없는데...그리고 위치에너지 재답변 해주세요 |
||||
48925 | [답변] 실기(p380) 58번 (p501) 2번 : 엔탈피차*1000 과 2gJ*엔탈피차... | 김계호 교수 | 2021-11-10 | 1855 |
답변입니다) 1. 년도별 주어지는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2. 잘 보십시오. P380의 문제는 단위가 kJ/kg 입니다, 그리고 p501의 문제는 단위가 kcal/kg입니다. 그런데 구하려고 하는 단위는 속도 이기 때문에 m/s로 구해야 합니다. 3. 1) P 380 의 58번 문제를 단계별로 풀면 W2 = 루트 2 * 9.8(m/s^2) * (3205-2994)(kJ/kg) * 1000(J/kJ) = 루트 2 * 9.8(m/s^2) * (3205-2994)(kN*m/kg) * 1000(N*m/kN*m) : (J=N*m) = 루트 2 * 9.8(m/s^2) * (3205-2994) * 1000 (N*m/kg) : (1kg = 9.8N) = 루트 2 * 9.8(m.s^2) * (3205-2994) * 1000/9.8 (N*m/N) : 9.8로 약분하면 = 루트 2 * (3205-2994)*1000 (m^2/s^2) = 649.615 (m/s) 가 나옵니다 따라서 KJ로 나오는 단위는 결국 9.8로 약분되기 때문에 9.8을 배제한 상태에서 계산하라고 동영상에서도 수차례 설명해드린 적이 있습니다. (중력가속도 9.8을 넣고 계산하려면 위과정의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2) 2013년도 기출문제는 엔탈피의 단위가 주로 kcal/kg의 단위로 나오던 때 였습니다 아무튼 이것도 위 방식처럼 m/s로 구하려면 W2 = 루트 2 * 9.8(m/s^2) * 120(kcal/kg) (여기서 단위를 통일하기 위해 열량을 일량으로 바꿔주기 위해 열의 일당량(J=427kg*m/kcal)을 곱함) = 루트 2* 9.8(m/s^2) * 427(kg*m/kcal) * 120(kcal/kg) = 루트 1004304 (m^2/s^2) = 1002 (m/s) 3) 시간상 풀이 과정이 이해가 안되시면 위 1)번의 풀이 과정을 익히십시오 4. 위치에너지 재답변? 어떤 설명을 원하시는지 구체적으로 써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8917 | (p436) 필답형 213번 위치수두가 왜 같은거죠? | yng**** | 2021-11-10 | 1855 |
교수님 p436) 필답형 213번 위치수두가 왜 같은거죠? 관경이 좁아지는데.... GL 에서 관 중심선의 높이가 같아서 인가요? | ||||
48920 | [답변] (p436) 필답형 213번 위치수두가 왜 같은거죠? | 김계호 교수 | 2021-11-10 | 1855 |
답변입니다) 1. 질문하신 내용은 유체역학의 베르누이 정리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2. 관이 축소된 지점을 보는 것이 아니라 관의 확대되는 부분과 축소된 부분의 중심선을 그어서 보면 바닥(GL)에서의 높이가 어느 지점에서나 같아지는 것입니다 3. 그러면 당연히 위치수두가 같겠죠? 4. 이해가 안되시면 교재속 좌측의 화살표를 축소된 관까지 연장해서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