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ID/PW찾기
실시간문자상담
* 연락처
게시판
공지사항
1:1 학습문의
일시정지 요청
합격후기 게시판
>
동영상 관련 문의
교육상담
02-812-5669
365일 운영 10:00 ~ 24:00
기술지원센터
02-812-4035
1:1원격지원
입금계좌
078-209658-04-010
기업은행 (예금주 : 최정원)
학습문의 전체게시판
홈 > 게시판 > 에너지관리기사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에너지취급기능사
과정안내 및 수강신청에 대한 궁금한 내용을 남겨 주세요. 학습질문 및 학습자료 요청은 수강중인 회원님께 제한됩니다.
교수님에게 직접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49099 교수님께 실기 커리큘럼 질문 드립니다. ekz***** 2022-01-19 20
안녕하세요 김계호 교수님,
현재 교수님 필기 수업 듣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교수님 필기 강의 다 듣고 현재 5개년치 (2021-2017) 기출 2번 정도 다 풀어보고 학습한 상태입니다
남은 기간 동안 2개년 이상 더 학습하여 3월 필기시험 준비하려고 합니다

교수님께 실기 커리큘럼 질문을 드리고 싶어 이 글을 작성했는데
실기 대비도 지금부터 하면 좋을지 1회차에 필기 확실히 합격하는것을 보고 실기를 준비하면 좋을지 고민중에 있습니다
현재 필기는 가상으로 풀어보면 합격 컷 이상의 점수가 나오지만 엄청 높은 점수가 나오지는 않습니다
작년부터 실기 유형이 바뀌다 보니 마음이 급하여 지금부터 실기를 준비 해야할지...
아니면 필기를 확실히 합격하고 2달만에 준비해도 충분할지 피드백 부탁드리겠습니다
(교수님 강의로 개념부분은 확실히 이해하고 습득해놓은상태입니다)

답글 수정 삭제
49103 [답변] 교수님께 실기 커리큘럼 질문 드립니다. 김계호 교수 2022-01-19 28
답변입니다)

 1. 5개년치 기출 2번 정도 다 풀어 보셨군요.
    3월 필기시험을 응시하는데 있어 시간이 아직 충분하니
    5개년 기출문제를 다시 푸는 것도 좋겠지만 최소한 2012년도 정도부터는 풀어 보는 게 좋겠습니다.

 2. 5개년 기출문제를 풀었다면 내용은 파악했을 것으로 판단하며
    바쁘다면 그 전의 기출문제 중 중복된 것 빼고 풀어 보길 권합니다.

 3. 실기시험은 필기 보다는 공부양은 적지만 주관식이기 때문에
    난이도가 훨씬 높습니다.
    하지만 필기시험 마치는대로 실기시험을 준비하는 것이 집중력을  
    높이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4. 실기시험은 필기시험 점수가 높은 수험생들이 준비하기에는 훨씬 유리합니다.
    왜냐하면 기본적인 내용은 필기내용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그 외에
    내용들이 출제가 됩니다. 실기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 중 필기를 본강의를 듣지 
    않으신 분들과 필기시험을 힘들게 통과하신분들이 실기를 준비하면서 굉장히 힘들어 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5. 그리고 이번 실기 시험에서는 전에 출제되지 않았던 필기내용 중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시행규칙 등도 출제가 되면서 출제 범위가 넓어진 건 사실입니다.

 6. 하지만 실기 공부 스케줄을 필기 시험 직후부터 잡아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얼마만큼 집중력을 가지고 공부하는냐의 싸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시간은 충분히 될겁니다. 나름대로 자신에 맞는 스케줄을 잘 짜서 준비하시면 되겠습니다


    모쪼록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083 에너지관리기사 14년도 1회 1번~ 강의가 없습니다. seo******** 2022-01-11 7
안녕하세요 에너지관리기사 14년도 1회 1번~ 강의가없습니다.

14년도 1회 강의 35번~부터 있는데 

1번~34번 강의가 없는데 확인 부탁드립니다.

답글 수정 삭제
49084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14년도 1회 1번~ 강의가 없습니다. las****** 2022-01-12 12

안녕하세요. 에디스트입니다. 

에너지관리기사 필기 과년도 14년도 1회 1번강의는 

21번 강의 : 2013년 4회 에너지관리기사 81번 ~ 

15분 15초부터 1회차 강의가 이어집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수정 삭제
49070 자격증 대체건 jsl******* 2022-01-05 17
보일러 산업기사 자격증을 에너지산업기사로 갱신이 되는줄 알고있습니다.
 에너지산업기사로( 에너지관리사로 갱신되나요 ?)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선임할수있습니까. 
 바쁘신데 미안합니다.
답글 수정 삭제
49071 [답변] 자격증 대체건 김계호 교수 2022-01-05 28
답변입니다)

 1. 보일러 산업기사가 에너지관리산업기사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따라서 자동 갱신이 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검사대상기기관리자 조종범위는
    1) 에너지관리기사 : 용량  ~ 30t/h 를 초과하는 모든 보일러 조종 가능
    2)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용량 ~ 30t/h 이하인 보일러 까지

    큐넷의 my page 에 들어가 보면 이미 자격증 갱신이 돼 있을 겁니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 확인해보십시오

 2. 기계설비유지관리자
    1. 특급   1) 기사 + 10년 경력
              2) 산업기사 + 13년 경력

    2. 고급   1) 기사 + 7년 경력
              2) 산업기사 + 10년 경력

    3. 중급   1) 기사 + 4년 경력
              2) 산업기사 + 7년 경력 

    4. 초급   1) 기사 + 경력 X
              2) 산업기사 + 3년 경력

   자격수첩 발행에 관한 수수료 및 구비서류는 기계설비협회에 문의 해보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059 과년도 문제풀이 관련(2012. 1회 열설비설계 96번) ssj**** 2022-01-02 7
대향류 열교환기에서 온도효율을 물어보는 문제에서

이론강의에서는 실제이동열량/최대가능열량 (Tc2-Tc1) / (Th1-Tc1) 이라고 하셨는데
과년도 문제에서는 답이 다르네요

어떤것이 맞는건가요??
답글 수정 삭제
49060 [답변] 과년도 문제풀이 관련(2012. 1회 열설비설계 96번) 김계호 교수 2022-01-02 9
답변입니다)
 
 1. 에너지관리기사 문제 중 간혹 출제 오류로 인해 해답이 틀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2. 이 문제도 그런 문제의 하나입니다.
    본 교재는 2년전에 내용을 수정하여 본문 내용으로 강의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본문 내용에 나와있는대로 공식을 외우시면 되겠습니다.
    만약 이런 문제가 또 나온다면 그냥 출제자측에서 제시한 정답대로 외워서
    답을 써도 무방하겠습니다.

 3. 이 문제는 더 이상 반복출제되지 않는데 정답은 3번으로 되어 있습니다만
    정확하게 구분하자면
    1) 저온측 온도효율(Ec) = (Tc2-Tc1) / (Th1-Tc1)
    2) 고온측 온도효율 (Eh) = (Th1-Th2) / (Th1-Tc1)  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054 공식 공학계산기 풀이 jsl******* 2022-01-01 21
             
                 0.4/1.4
  1-(1/15)             = 1-(1 a b/c)^(0.4 a b/c1.4) = 0.538

              1.4
  1-(1/5)       = 1-(1  a b/c ^1.4 = 0.894

    * 계산기 조작순서 상세히 부탁드립니다.

   저 계산기 CASIO fx-350MS 입니다.

   공부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으면 좋게습니다.
답글 수정 삭제
49058 [답변] 공식 공학계산기 풀이 김계호 교수 2022-01-01 18
 답변입니다)
  계산기는 fx-570 ES PLUS 기종으로 설명합니다.
  (혹시 계산기가 다르더라도 하는 방식은 비슷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1 -(1/15) ^ 0.4/1.4  계산 순서
  
     1 - ( ▶ 분수버튼 ▶ 1 ▶ REPLAY 버튼(아래방향) ▶ 15  ▶ REPLAY 버튼(오른쪽방향)  ▶  ) 
    
     ▶ X^ㅁ 버튼   ▶  분수버튼   ▶ 0.4   ▶ REPLAY 버튼(아래방향) ▶  1.4   ▶ =     하면   0.538이 나옵니다  

  
 
  2. 1 -(1/5) ^ 1.4  계산순서
    
     1 - (  ▶ 분수버튼  ▶  1  ▶  REPLAY버튼(아래방향) ▶  5   ▶  REPLAY버튼(오른쪽방향)   ▶  )

     ▶   X^ㅁ 버튼   ▶  1.4    ▶  =      하면 0.894가 나옵니다


  위 과정대로 해보시면 됩니다.
  (위에서 X^ㅁ  은  x^3, x^4  처럼 몇제곱을 나타내는 표시입니다,   또 분수버튼은  ㅁ/ㅁ 표시로 된 버튼입니다)


   만약, 위와 같이 해서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045 검사대상기기 관리자 선 해임 신고시 zam*** 2021-12-29 8
선해임 신고시 법령상 시도지사, 실제로는 공단이사장에 하게 되어 있는데,
문제 보기에 두 개 다 표기 되어 있다면 누구로 하는게 맞나요?
답글 수정 삭제
49046 [답변] 검사대상기기 관리자 선 해임 신고시 김계호 교수 2021-12-29 8
답변입니다)

 1. 질의하신 내용은 다음과 같이 법에 정해져 있습니다
    에너지이용합리법 제 40조 3항
    ③ 검사대상기기설치자는 검사대상기기관리자를 선임 또는 해임하거나 검사대상기기관리자가 퇴직한 경우에는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개정2018. 4. 17.>

 2. 그런데 시도지사라고 하면 광역시장과 도지사를 의미하는데 검사대상기기관리자 선해임 신고는
    실제로 광역시청 및 도청에서 접수하지 않고 한국에너지공단 지부에 가서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과정은 시도지사가 위임 받은 권한을 다시 한국에너지공단으로 위임 한 것으로
    선해임 신고는 한국에너지공단에서 합니다.

 3. 하지만 2016년도 출제된 문제에서 보듯이 정답은 시도지사로 되어 있습니다.
    법적인 권한의 위임은 시도지사 까지로 보시면 됩니다.
    한국에너지 공단은 이에 관련된 전문가로 업무적 편의상 위임된 것으로
    시험문제에 똑같이 출제된다면 시도지사로 하시면 됩니다.

 4. 단, 검사대상기기 사용중 사고시에는 한국에너지공단에 통보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또는 시도지사에게 보고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041 보일러의 저수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저수위 검출 방식" 질문 okh**** 2021-12-28 9
교수님!
 지난 한해동안 좋은 강의를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1년 제4회 실기시험을 보았는데, 준비가 부족하여 51점으로 낙방하여 내년에 다시 도전하려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내년에는 꼭 합격하여 교수님의 은혜에 보답해드리겠습니다.

 2021년 4회 에너지관리기사 문제중 보일러의 저수위 사고 방지를 위한 "저수위 검출 방식"을 3개 작성하라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교재 660페이지, 기출문제 7번)
 수위 제어방식과 수위 검출방식이 같은 의미인지 궁금하여 문의를 드리니 시간되실 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 문제의 정답이 다음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지 애매하여 문의를 드립니다.

 제1안 : 저수위 제어방식 작성 (1요소식, 2요소식, 3요소식, 모듈식)

 제2안 : 저수위 경보방식 (플로트식, 전극봉식, 열팽창식, 차압식)

 즐거운 오후 되세요.

답글 수정 삭제
49042 [답변] 보일러의 저수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저수위 검출 방식" 질문 김계호 교수 2021-12-28 13
답변입니다)
 
 1. 조금만 더 힘내시면 내년에 좋은 결과가 있을것으로 믿습니다

 2. 시험문제에서 제어계의 수위제어방식 묻는 문제에서는
     1) 1요소식, 2요소식, 3요소식, 모듈식으로 답해야 합니다
     * 만약, 수위 검출방식으로 나왔다고 하더라도 이렇게 답을 쓰는 게 맞습니다 

 3. 만약에 저수위 경보장치의 종류를 묻는다면
    1) 플로트식    2) 전극식    3) 열팽창식  으로 답을 해야 합니다

 4. 이 문제가 어떻게 보면 단어에 대한 말장난 같은 느낌도 듭니다.
    또한 수험생들이 위 문제를 바꿔가면서 출제하면 헷갈리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5. 가장 확실한 방법은 필기시험에서 그동안 출제됐던 내용을 가지고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이대로 정리하시면 됩니다.
     만약, 이 답이 틀린다면 필기시험에 출제됐던 문제들도 다 틀렸다는 얘기입니다

 6. 간혹, 수험생 중 다른 시중 책자와 겹쳐서 공부하시면서 혼동하여 답을 그르치는 경우도 종종 보았습니다만
    이렇게 정리하시면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7. 그리고, 이에관련된 문제 풀이는 동영상편에 촬영돼 있습니다,
    꼭 강의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8. 내년에는 꼭 합격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043   [답변] 보일러의 저수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저수위 검출 방식" 질문 okh**** 2021-12-28 5
교수님!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내년에 꼭 합격해서 멋진 수기로 보답하여 드리겠습니다.
 행복한 연말연시 되세요.
답글 수정 삭제
제목 내용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