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ID/PW찾기
실시간문자상담
* 연락처
게시판
공지사항
1:1 학습문의
일시정지 요청
합격후기 게시판
>
동영상 관련 문의
교육상담
02-812-5669
365일 운영 10:00 ~ 24:00
기술지원센터
02-812-4035
1:1원격지원
입금계좌
078-209658-04-010
기업은행 (예금주 : 최정원)
학습문의 전체게시판
홈 > 게시판 > 에너지관리기사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에너지취급기능사
과정안내 및 수강신청에 대한 궁금한 내용을 남겨 주세요. 학습질문 및 학습자료 요청은 수강중인 회원님께 제한됩니다.
교수님에게 직접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49174 [답변] 게산식 김계호 교수 2022-02-25 21
 
  먼저, 앞에서 풀어 드린 대로 하니까 답이 나왔습니까?

  
  윗 질의에 대한 계산과정입니다)

  160  ▷  ALPHA  ▷  = (아래 검은색 = 이 아니라, 위의 붉은색 = )   ▷ 80 X ( 1 + 0.002 (    
  
  ▷ ALPHA  ▷  X  (붉은색X임)    ▷  - 0     ▷  )     ▷  )   (보시는 것처럼  ) )  를 두번해야 함)

        
  ▷ SHIFT    ▷ SOLVE    ▷  =   (맨 밑의 검은색 = 임)


  그렇게 하고난 후 기다리면 X=500 이 나옵니다.  그것이 t2 값이 되는 것입니다

   
   (항상 계산기에서 방정식의 근을 구할 때 맨 마지막에는 위에서 보는 것 처럼

     ▷ SHIFT    ▷ SOLVE    ▷  =    의 과정을 거친 후 잠시 기다리면 답이 나옵니다


    천천히 몇 번 해보시고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어렵더라도 포기하지 마시고 해보십시오. 충분히 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169 문의 드립니다. jsl******* 2022-02-24 16
과년도 문제풀이 
690쪽 문제 31 
풀이 ; 교축과정은 등엔탈피 과정(=단열과정)이다. 에서  교수님의 강의에서는 등엔트로피과정이라 했습니다. 엔탈피입니까,  엔트로피가 맞나요?
믄제 31 답이 2번이 정답입니까. 문제32 동영상강의때 등 엔트로피 = 단열과정 = 교축과정 이라 했습니다.
문제 31번 , 문제32번 설명 부택드립니다.

714쪽 문제 32번 , 729쪽 문제95번 계산기 조작벙법 알려주셔요.

나이66세에 공부하려니 매우 어렵습니다, 미안, 죄송합니다..

*계산문제에서 공식을 암기하여도 어느공식을 대입하는지 몰라서 어리벙벙할때가 많습니다.
 에너지 관리기사 책자에 나오는 공식들이 정리한 기사 계산공식를 공부초보자들이 볼수있는 곳은 없나요. 
답글 수정 삭제
49171 [답변] 문의 드립니다. 김계호 교수 2022-02-24 12
답변입니다)
 1. 먼저 가장 중요한 것 부터 정리하자면
    
    1) 교축과정 : 등엔탈피 과정
    2) 등엔트로피과정 : 단열과정  입니다  

        이건 워낙 시험에 자주 출제 되므로 꼭 외워야 하는 내용입니다.

 2. 그런데 질의하신 내용은 이상적인 교축과정에 관한 문제입니다.
    이상적인 교축과정은 단열상태에서 압력강하가 발생하는 등엔탈피과정으로
    실제론 존재할수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교축과정 = 등엔탈피과정 이지만
    이상적인 교축과정에서는 = 등엔탈과정(단열상태에서) 의 의미가 추가되는 것입니다. 

 3. 계산기 조작문제
    이런 계산문제는 한단계씩 이항하면서 풀어도 되지만 
    계산기를 방정식으로 놓고 풀면 신속하고 정확하게 풀 수 있습니다
    (fx-570ES PLUS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1) P714  문제32번
       
       계산기에 똑같이 입력합니다
      0.565 ⇒ ALPHA ⇒ = (빨간표시의 = 을 누름)  ⇒  ( ⇒ ㅁ/ㅁ (분수표시 버튼임) ⇒ 1  ⇒  REPLAY  ⇒  ALPHA  ⇒  X (빨간색X)  
      
   ⇒  PEPLAY  ⇒   )  ⇒ X^ㅁ (X의 제곱버튼을 의미함)   ⇒  1.4-1  ⇒  SHIFT ⇒  SOLVE  ⇒  =
    
      잠시 기다리면 8.01   이 나옵니다


   2) P729    문제 95
      계산과정은 앞과 비슷합니다

       2.5 ⇒ ALPHA ⇒  = (빨간표시의 =을 누름)  ⇒  ㅁ/ㅁ  (분수표시 버튼)  ⇒  ALPHA   ⇒   X  (빨간색 X)
      
    ⇒ X 30  ⇒  PEPLAY  ⇒   2 X 80 - 1.2 X  ⇒ ALPHA   ⇒  X  (빨간색 X)  ⇒ REPLAY ▷  (REPLAY  우측부분을 누름)
  
    ⇒ + 2   ⇒  SHIFT  ⇒   SOLVE   ⇒   =   
  
    기다리면 2.614   가 나옵니다

  4. 계산기는 처음하면 힘들 수 있습니다.
     방정식은 이 방식으로 해야 많은 시간이 절약될 수 있고 정확합니다
     몇 번 해보시고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5. 공식을 별도로 정리한 부분은 없습니다만
     본 강의 내용을 끝까지 해낸다는 마음으로 공부하시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습니다.
     모쪼록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 에너지관리  김계호 -





      





답글 수정 삭제
49168 핵심예상문제 46번 kim**** 2022-02-23 6
안녕하세요?
열설비재료및 관계법규중 배관및 밸브 편
핵심예상문제 46번에관한 질문입니다.
스톱밸브는 유량조절용 밸브이고 게이트밸브가 차단용이라고 강의하시고
본문제 46번에서는 공급 차단용으로 스톱밸브라고 하셨는데
검토부탁드립니다.
답글 수정 삭제
49170 [답변] 핵심예상문제 46번 김계호 교수 2022-02-24 12
답변입니다)

 1. 기본적인 내용으로는

  1) 스톱밸브: 주목적은 유량조절용으로 저압용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그런데 질의하신 것처럼 최고 사용압력이 0.7MPa 이상(약7kg/cm^2 정도의 저압부터 사용한다는 의미)
               증기를 공급, 차단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스톱밸브가 정답입니다.
               이 밸브는 사용시 압력의 저하가 심하기 때문에 주목적이 차단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지만
               이렇게 저압에서  유체를 공급하고 차단 하는 용도로는 스톱밸브가 맞습니다.
               극단적으로 유체를 차단용으로 주목적으로 사용하는 밸브는 뭐냐? 이 경우 게이트밸브가
               맞습니다만, 나머지 공급, 조절 분배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스톱밸브가 맞습니다
               
     (기출문제 2014년 4회 79번 p350)
      유량조절용 및 차단용으로 묻는 문제이지만 이것 역시 정답은 스톱밸브(글로브밸브)입니다.

 2) 게이트밸브 : 차단용
    이 문제는 실기시험에서도 다음과 같이 출제된적이 있습니다.
    유체를 완전히 열거나 닫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밸브는?
    이 경우 게이트밸브(슬루스밸브) 가 정답입니다.

 3) 좀 혼동스런 문제 같지만 질문의 내용에 미세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런 유형의 문제는 자주 접해 답이 머릿속에 자리잡도록 하는 게 중요합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165 강관과 주철관 비교건 kim**** 2022-02-22 10
안녕하세요?
배관 및 밸브 강의중에 
강관과 주철관을 비교하면서 탄소함유량으로 설며하셨는데
교수님 강의할때 강관은 탄소함유량이 2%이상,주철관은 2%이라로
구분하셨는데 책 557 쪽 주철관설명난에는 반대로 적혀있는데
정확한 설명부탁드립니다...
답글 수정 삭제
49166 [답변] 강관과 주철관 비교건 김계호 교수 2022-02-22 9
 답변입니다)

  1. 먼저, 공부하시는데 혼동을 드려 죄송합니다.
     P557 교재의 내용이 맞습니다

  2. 동영상은 촬영중 2%에 대한 설명이 뒤바껴서 설명하였는데
     다시 촬영하여 바로 잡도록 하겠습니다

  3. 정리하면
      1) 강(steel) : 탄소함유량이 2% 이하 
      2) 주철(cast iron) : 탄소함유량이 2% 이상으로 단단하고 취상이 있는 성질

     로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161 21년도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4회차 jin**** 2022-02-19 18
21년도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4회차 인강을 듣고 있습니다.

4회차 문제 없이 인강만 들어서 공부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4회차 문제를 메일로 보내주실 수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email protected] 입니다.

답글 수정 삭제
49162 [답변] 21년도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4회차 las****** 2022-02-20 14

안녕하세요. 에디스트입니다.

지금 바로 전송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수정 삭제
49156 핵심예상문제12번 질의 kim**** 2022-02-18 9
안녕하세요.
에너지관리기사 계측방법중 압력계 핵심예상문제 12번의 오류를 검토해 보시기 바랍니다.
유체가 Pa 압력으로 위로 올라가 있는 모양이라서 Pa가 용기압력 P보다 높다고 보아야 합니다.
따라서 Pa=P+비중*gh가 되어야 할것 같은데 
반대로 되어있어서 검토부탁합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수정 삭제
49157 [답변] 핵심예상문제12번 질의 김계호 교수 2022-02-18 7
 답변입니다) 

  지적하신대로 그림상에서  Pa 〉P 가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Pa = P + rh = P + 밀도*g*h
 ∴ P = Pa - 밀도*gh 가 됩니다 

 이 부분은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145 과년도 문제풀이 관련(2018. 3회 9번) ssj**** 2022-02-17 10
9번 문제에서 습한 함진가스에 가장 부적당한 집진장치를 고르라는 문제입니다.

즉 건식 집진장치를 고르라는 문제로 보이는데

보기 1, 2 사이클론과 멀티클론 또한 건식집징장치로 알고있는데 4번 여과식 집진기가 정답이 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답글 수정 삭제
49147 [답변] 과년도 문제풀이 관련(2018. 3회 9번) 김계호 교수 2022-02-17 19
 답변입니다)
  
  1. 습한 함진가스라는 것은 가스 중에 먼지(입자상 물질)를 포함한 가스를 의미합니다.

  2. 만약 문제에서 단순히 가스에 부적당한 집진장치라고 한다면 정답이 없습니다(1, 2, 4번)
     이것을 처리하려면 습식 집진장치로만 가능합니다.

  3. 건식 집진장치로 가스 중에 습한 함진 성분을 제거 한다는 것은 가스는 처리할 수 없지만
     가스 중에 먼지는 제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4. 그러므로 먼지 성분은 건식집진장치로 가능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습한 함진이란 얘기는 먼지가 물을 많이 포함해서
     죽처럼 끈적끈적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5. 만약 이런 끈적끈적한 상태의 입자상 물질이 여과식 집진기를 통과한다면
     여과기속의 필터는 전부 막혀 버려서  다시 쓰기가 곤란해 집니다.
     단순히 먼지라면 여과식도 충분히 가능하지만 습한 함진가스에는 여과식이 부적당한 것입니다.
     사이클론 같은 경우에는 입자상 물질이 중력에 의해 밑으로 떨어지니 가능합니다. 

  6.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143 2022년 1회 필기시험 대비 모의시험 jsl******* 2022-02-16 13
2022년 1회 필기시험 대비 모의시험이 없나요?
답글 수정 삭제
49144 [답변] 2022년 1회 필기시험 대비 모의시험 김계호 교수 2022-02-16 12
답변입니다)

 1. 지금 공부하고 계신 과정만으로 충분합니다.
    전혀 걱정하지 마시고 강의 내용만 충분히 공부하십시오.

 2. 3회부터는 CBT 시험으로 대체 되고 더이상의 기출문제가
    없기 때문에 그때 부터는 CBT 대비 모의 시험이 제공됩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제목 내용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