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9249 | 단답이 이론할때랑 과년도랑 좀많이다른데 아무거나해도되나요 | akg***** | 2022-03-15 | 10 |
수격현상방지대책 좀 많이다른데 괜찬나요 유체역학에서 감마하고 로하고 같다고하시는데 단위같은건가요? |
||||
49250 | [답변] 단답이 이론할때랑 과년도랑 좀많이다른데 아무거나해도되나요 | 김계호 교수 | 2022-03-15 | 16 |
답변입니다) 수격현상 방지법이 이론과 필답형 때가 많이 다르다? 라는 질의가 잘 이해가 안되는군요. 구체적인 내용을 올려 주셨으면 답변하기가 쉬울 것 같습니다 질의하신 내용 중에서 수격현상 방지법으로는 상당히 많습니다만 주로 배관계통에서 생기는 응축수가 증기와 함께 흐르면서 배관의 꺽어진 부분을 강하게 부딪치면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방지법으로는 응축수를 제거하는 방법을 찾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에 대한 대책으로는 아래와 같이 다양합니다 1) 송기하기 전에 반드시 드레인을 통하여 응축수를 배출한다 2) 보온을 철저히 하여 응축수 발생을 방지한다 3) 배관계통에 증기트랩을 설치하여 응축수를 배출한다 4) 배관에 적정 구배를 통하여 응축수가 체류하지 않도록 한다 5) 배관에 드레인 포켓을 설치하여 응축수를 배출한다 6) 주증기 밸브를 천천히 연다 7) 프라이밍(Priming)이나 포밍(Foaming)을 방지 8) 기수 분리기나 비수 방지관을 설치한다 9) 보일러 드럼내에서의 수위를 적정하게 유지한다 등이 있습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어느 부분이 다른 지 좀 더 구체적으로 올려 주시면 다시 답변하여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추가 질문을 올리 셨는데 유체역학에서 단위를 구분할 때에는 비중량과 밀도는 당연히 다릅니다 1) 비중량(감마) = 무게/단위체적 (kgf/m^3) 2) 밀도(로) = 질량/단위체적 (kg/m^3) 따라서 비중량(감마) = 밀도(로) x 중력가속도(g) 가 됩니다 결론적으로 밀도에 중력가속도가 작용한 것이 비중량이다 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에너지관리를 공부할 때에는 두 단위의 의미를 정확히 구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위에서 보시는 것 처럼 구분하면서 까지 할 필요는 없다는 차원에서 설명 해드린 것입니다 좀더 정확한 구분을 원하시면 위의 내용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244 | 실기 452쪽 아황산나트륨 화학식질문입니다 | akg***** | 2022-03-14 | 7 |
2Na2SO3에서 2Na2SO4가 되려면 1/2O2를 더해야되는게아닌가요??? O2더하면 2NA2SO5가 되는거아닌가요? 저온부식할때 SO2에 1/2O2더해서 SO3가 되던데요 그리고 이화학식처음보는것같은데 과년도에 있는화학식만 외우면될까요 |
||||
49247 | [답변] 실기 452쪽 아황산나트륨 화학식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2-03-14 | 7 |
답변입니다) 1. 2Na2SO3 + O2 = 2Na2SO4 반응식에서 하나씩 뜯어 놓고 보면 다음과 같은 것입니다 2(Na2+SO3) + O2 = 2(Na2 + SO4) 윗식에서 계수 2는 Na2의 계수가 아니라 전체의 계수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씩 숫자를 맞춰보면 (물론 이런 분자식은 없지만 반응전후의 질량은 같아야 하기 때문에 맞춰보는 것입니다) 4Na + 2S + 6O + 20 = 4Na + 2S + 8O 4Na + 2S + 8O = 4Na + 2S + 80 따라서 좌변과 우변의 질량이 같은 것이 확인되죠? 2. 그럼 이 식은 올바른 반응식이 되는 것입니다 3. 분자식 앞에 있는 계수를 잘못 이해하고 계셔서 그런 것 같은데 천천히 설명 해드린 내용을 읽어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 하여 주십시오 4. 그리고 질의 하신 내용도 똑같은 방식으로 계산해보면 (앞에 계수가 없으니까 간단 합니다) SO2 + 1/2 O2 = SO3 S + 2O + (1/2 *2) O = S + 3O S + 3O = S + 30 따라서 좌변과 우변의 질량이 같으므로 올바른 반응식입니다 5. 아황산가스(SO2)가 저온부식되어 최종적으로 황이 검출되는 과정은 S+ O2 = SO2 SO2 + 1/2O2 = SO3 (무수황산) SO3 + H2O = H2SO4 (진한황산) 의 3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실제로 시험에서 아황산가스가 황산이되는 과정을 식으로 써보라는 시험이'출제된 적이 있으므로 이 과정을 꼭 외워야 합니다 6.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242 | 열설비설계 | kim**** | 2022-03-12 | 6 |
4정 열설비설계 핵심예상문제 59번 풀이과정은 이해가 되나 정답은 1784mm가 아니고 2184mm되므로 검토부탁합니다. |
||||
49243 | [답변] 열설비설계 | 김계호 교수 | 2022-03-13 | 9 |
답변입니다) d = 1.128* 루트(0.15/0.04) = 2.184m = 2184mm 가 나오는군요. 이 부부분은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235 | 열설비설계 | kim**** | 2022-03-12 | 7 |
수고하십니다 교재 열설비설계 4장 열설비설계 핵심예상문제 7번풀이와 관련 압력과 인장응력의 단위에 하나는 제곱센티미터이고 하나는 제곱미리미터인데 통일 시켜야 되지않나요? 이문제에서는 미리미터로 환산하여 계산하여야 할것 같은데.. 검토부탁합니다 |
||||
49236 | [답변] 열설비설계 | 김계호 교수 | 2022-03-12 | 9 |
답변입니다) 1. 질의하신대로 단위를 모두 통일하여 식을 세우면 압력 : kg/mm^2, 두께 : mm, 인장응력 : kg/mm^2, 직경 : mm 인경우 응력(kg/mm^2) = PD/2t 가 됩니다. 따라서 t = PD/2*응력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2. 하지만, 현장에서는 압력 : kg/cm^2, 두께 mm, 인장응력 : kg/mm^2, 직경 : mm 로 많이 사용합니다 이럴경우 응력(kg/mm^2) = PD/100*2t = PD/200t (왜냐하면 1kg/cm^2 = 1/100 kg/mm^2 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t = PD/200*응력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느 식을 써도 상관없습니다. 다만 이 경우 주어지는 단위에 대해 신경을 써야 합니다 3. 따라서 질의하신 내용은 이미 단위를 환산하여 2 ⇒ 200 으로 변환한 것입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 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233 | 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 pbh**** | 2022-03-11 | 24 |
미지수 방정식을 그대로 따라 했는데, 저는 2가 안 나오고 X? 가 나오죠 | ||||
49239 | [답변] 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 김계호 교수 | 2022-03-12 | 24 |
답변입니다) 1. 어떤 식을 따라했는데 안나온겁니까? 2. 식을 적으면 계산 순서를 나열해 드리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240 | [답변] 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 pbh**** | 2022-03-12 | 18 |
X + 3 = 5 를 강의 한 돼로 따라 했는데, X?로 나오네요. | ||||
49241 | [답변] 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 김계호 교수 | 2022-03-12 | 20 |
답변입니다) 1. ALPHA ▶ X ▶ + 3 ▶ ALPHA ▶ = (붉은색 표시) ▶ SHIFT ▶ SOLVE ▶ = (검은색 표시) 으로 하면 X=2 가 나옵니다 2. 안되면 다시 질의 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245 | [답변] 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 pbh**** | 2022-03-14 | 15 |
맨끝에 SOLVE 누르면 X? 가 나와요. 계산기 기종은 CASIO fx-570MS 입니다. 혹시 계산기 기종 하고도 관계가 있나요? |
||||
49248 | [답변] 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 김계호 교수 | 2022-03-15 | 12 |
답변입니다) 식을 다 세운 후 마지막에 SHIFT - SOLVE - = 까지 했는데 안나옵니까? = 을 눌렀나요? 추가) FX-570 MS 시리즈 와 본 강의에 사용된 FX-570 ES 시리즈를 사진으로 비교해 보니까 기능이 거의 비슷한데 가지고 계신 MS 시리즈는 분수 표시 등이 안되는 걸로 나와 있고, 방정식 SOLVE 기능은 똑같이 있는데 왜 안되는지 이해가 안되는군요. |
||||
49251 | [답변] 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 pbh**** | 2022-03-15 | 12 |
SHIFT-SOLVE-까지 누르면 X? 가 나와요. 분수까지 할려면 교수님이 갖고 있는 기종으로 구매 해서 해 볼께요.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