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ID/PW찾기
실시간문자상담
* 연락처
게시판
공지사항
1:1 학습문의
일시정지 요청
합격후기 게시판
>
동영상 관련 문의
교육상담
02-812-5669
365일 운영 10:00 ~ 24:00
기술지원센터
02-812-4035
1:1원격지원
입금계좌
078-209658-04-010
기업은행 (예금주 : 최정원)
학습문의 전체게시판
홈 > 게시판 > 에너지관리기사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에너지취급기능사
과정안내 및 수강신청에 대한 궁금한 내용을 남겨 주세요. 학습질문 및 학습자료 요청은 수강중인 회원님께 제한됩니다.
교수님에게 직접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49376   [답변] 랭킨 사이클의효율 pbh**** 2022-04-09 11
 답변 감사합니다. 226번 문제에 설명이 돼어 있어서 이해 돼었습니다. 그런데 226번 문제 처럼 조건이 나와 있으면 모르겠는데, 조건이 나와 있지 않으면 220번 문제로 풀어야 하는지요?
답글 수정 삭제
49377    [답변] 랭킨 사이클의효율 김계호 교수 2022-04-09 7
 답변입니다)

  1. 사실 아시다시피 2차시험은 정답은 물론 문제도 공개 되질 않아
     문제 복원은 전부 수험생의 기억에 의존하다보니 문제의 내용이
     다소 불합리한 점이 있습니다.

  2. 질의하신 것처럼 펌프일은 무시한다라는 조건이 붙으면 226번 처럼 풀면 됩니다

  3. 펌프일은 무시한다라는 조건이 없는데 펌프일을 무시한 공식으로 풀어 틀리는 것 아닌가하는
     우려가 있다면 그냥 속 시원하게 220번의 공식으로 풀면 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364 10년 3회차 8번하고 13년 1회차 7번질문입니다 akg***** 2022-04-07 10
10년 3회차문제는 발열량으로 나누고

13년 1회차문제는 발열량으로 안나누는데 어떻게 구분하나요?
답글 수정 삭제
49365 [답변] 10년 3회차 8번하고 13년 1회차 7번질문입니다 김계호 교수 2022-04-07 15
 답변입니다)

  1. 연료 절감률을 구하는 방법
  
     1) 10년 3회차 8번 문제
        공기예열기를 설치하면 배기가스를 통해 바깥으로 빠져나가는 열량을 절감(=연료절감)하므로
        연료의 저위발열량으로 나눈 것입니다

     2) 13년 1회차 7번문제
        급수온도를 높이게 되면 온도를 높이는 것만큼 증기의 공급열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료의 저위발열량이 아닌 증기의 공급열량으로 나눈 것입니다

  2. 연료의 절감률을 계산하는 방법은 위와같이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357 이거 3개 같은말인가요??? akg***** 2022-04-05 7
관내 배관저항 감소 
배관계통 마찰저항 감소
관내 유체저항감소
답글 수정 삭제
49360 [답변] 이거 3개 같은말인가요??? 김계호 교수 2022-04-05 7
 답변입니다)

  1. 배관내에서 유체저항이 감소되면  그에따른
     배관의 마찰저항이 감소되게 됩니다

  2. 따라서 질의하신
     (배)관내 배관저항감소= 배관계통 마찰저항감소 = (배)관내 유체저항감소
     로 모두 동일한 의미가 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355 교수님 21년도 2회 13번..대수평균온도 49.33 or (273+49.33)으로 해야하 yng**** 2022-04-05 11
교수님 21년도 2회 13번..대수평균온도 49.33 or (273+49.33)으로 해야하는지요?
열관류율은 댄위가 절대온도로 나왔는데 분모를49.33으로 해야하는지 (273+49.33)으로 해야하는지요?
답글 수정 삭제
49359 [답변] 교수님 21년도 2회 13번..대수평균온도 49.33 or (273+49.33)으로 해야하 김계호 교수 2022-04-05 11
 답변입니다)

  1. LMTD 는 대수평균온도가 아니라 대수평균온도차 입니다
     따라서 온도차는 1도C = 1K  입니다

  2. 10도C = 283K (10+273K) 이고,
     온도차가 10도C인 경우 
    (예를들어 20도C-10도C 는 293K-283K = 10K가 됩니다)
     따라서 온도차는 도C=K  가 됩니다 

  3. 질문하신 대수평균온도차가 49.33도C = 49.33K 가 됩니다

  4. 따라서 273을 더하면 안됩니다

  5. 그리고 질의 하신 내용 중 
     열관류율 단위는 = kcal/m^2 h C = kcal/m^2 h K  가 됩니다
     (왜냐하면 여기서 온도차는 도C = K이기 때문입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353 2021년 1회 6번 문제 kok***** 2022-04-05 16
48636~48639번 질문과 연관입니다.

저희책에는 차압이 120mmH2O인데

선생님 책에는 높이차 120mm로 나와있는건가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루트(2xg×120kg/cm제곱÷1000kg/m세제곱) 여기까지만 계산하고,

(1000/1.5-1)은 삭제되는게 맞는게 아닌지요.

정답은 19.1L/min
답글 수정 삭제
49354 [답변] 2021년 1회 6번 문제 김계호 교수 2022-04-05 13
답변입니다)

 1. 질문하신 오리피스 차압이 120mmH2O 라는 의미는 오리피스 전후의 압력차로 인해
    생기는 manometer(U자관 액주계)의 높이차가 120mm라는 의미이므로 같은 말입니다.

 
 2. 오리피스에서 유량을 구할 때 공식은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공식으로
   
    1) Q = A x K/루트(1-m^2) x 루트 2g x 델타P/r   
      (여기서 델타 P는 압력차 이므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Q = A x K/루트(1-m^2) x 루트 2g x (h x (r2-r1)/r1 ) x 60(s/min) x 1000(L/m^3)
         = A x K/루트(1-m^2) x 루트 2g x (h x (r2/r1 - 1 ) x 60(s/min) x 1000(L/m^3)  로 바꿔 쓸 수 있으며
      교재에서는  맨 마지막 식으로 계산한 것입니다

    2) 위 계산식에서는 오리피스내 유체가 공기이고 액주계의 액주가 물인 경우로
       r2 = 1000, r1 = 1.5로 계산하지만

    3) 만약, 오리피스내 유체가 물이고 액주가 수은인 경우에는
       r2 = 13.55x1000, r1=1x1000 으로 되어
      (r2/r1 -1) 은 (13.55/1 - 1)로 계산하게 되는 것입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348 21년4회차 실기 6번에 벤튜리미터라는게 관이 작아졋다가 커지는곳을 얘기하는건가요? akg***** 2022-04-03 6
21년4회차 실기 6번에 벤튜리미터라는게 관이 작아졋다가 커지는곳을 얘기하는건가요 문제를 읽어봐선 윗쪽을 구하는건지 아래쪽을 구하는건지 잘모르겟어요
답글 수정 삭제
49349 [답변] 21년4회차 실기 6번에 벤튜리미터라는게 관이 작아졋다가 커지는곳을 얘기하는건가요? 김계호 교수 2022-04-03 7
 답변입니다)

  1. 어느 한 부분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대구경에서 축소된 소구경관 까지 전체를 의미합니다.

  2. 대구경관과 소구경관의 구멍을 뚫어 관으로 연결하면 u자관이 형성되며
     압력차가 형성되어 차압을 읽을수 있는 것입니다

  3. 차압을 통해 유속을 구해 그것을 통하여 단면적을 곱하면 유량이 되는 것입니다

  4. 벤츄리관은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축소되는 기울기가 완만하게 지속됩니다

  5. 그런데 오리피스타입은 굉장히 기울기가 급하게 됩니다.
     따라서 압력손실이 크게 됩니다.
     차압식 유량계에서 기울기가 가장 급한 것은 오리피스 - 플로노즐- 벤츄리 순이 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330 13년3회차 5번 단위 질문입니다 akg***** 2022-03-28 11
(1428.57-357.14)KG X 2430KJ/KG 인데 단위가 KJ/H로 되는지 모르겟습니다
답글 수정 삭제
49331 [답변] 13년3회차 5번 단위 질문입니다 김계호 교수 2022-03-28 12
 답변입니다)

  1. 문제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질의 하신대로 단위가 빠졌군요

  2. 문제를 다음과 같이 보완토록 하겠습니다.
  
     -문제-
     건조기에서 4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시간당 건조할 5ton인 재료가 있다.
     이하는 동일함.

     -풀이과정의 단위는 다음과 같이 정리 되겠습니다-
      
     (1428.57-357.14)kg/h X 2430kJ/kg  = kJ/h  로 정리 됩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9317 실기21년4회차 6번 V2구하는거 솔브기능으로 못구하나요? akg***** 2022-03-26 12
V1=25V2라고해서 

베르누이 방정식에다 V2를 X로넣고 대입하면 답이안나오는데 솔브로 안될까요?

첨부파일에 식을 적엇습니다 이렇게 하니까 안되서 그런데 뭔가 틀렷나요?

답글 수정 삭제
제목 내용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