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9497 | 보일러의 점화불량 원인 질문 | okh**** | 2022-05-08 | 14 |
인녕하세요? 에너지관리기사 수강생 오경훈 입니다. 지난 5월 7일 에너지관리기사 실기시험을 보았는데, 60점에서 점수가 머물고 있어 아래와 같이 문의를 드립니다. 1. 제1회 실기시험 기출문제 : 보일러의 점화불량 원인 5개를 작성하세요. 2. 답안 작성 내용 1) 연료가 전혀 없는 경우 2) 연료속에 불순물과 이물질이 매우 많은경우 3) 연료 분사노즐이 고장나거나 필터 고장시4) 공연비가 매우 부적정하게 혼합된 경우 4) 공연비(공기와 연료의 비율)가 매우 부적정하게 혼합된 경우 5) 버너의 심각한 노후화로 고장 발생시 3. 질의사항 : 답안작성 내용중 "공연비 부적정과 버너의 노후화로 고장 발생시"(답안자료의 3,4번 항목) 답안작성내용이 정답으로 인정받을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직장생활하며 공부하다 보니, 너무 쉬운 문제를 틀린 것 같아 가슴이 아픕니다. 이 문제의 정답 여부에 합격 여부가 결정되어 질의를 드리오니, 검토하신후 알려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5월 되십시오. |
||||
49501 | [답변] 보일러의 점화불량 원인 질문 | 김계호 교수 | 2022-05-08 | 20 |
답변입니다) 1. 가장 쉬운 문제를 놓친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아무래도 직장생활하면서 시간을 내서 공부한다는 것이 상당히 힘드셨을겁니다. 2. 질의하신 내용 중 보일러 운전시 점화불량의 원인은 1) 연료의 노즐이 막힌 경우 2) 전압의 이상 3) 버너의 무화 불량 4) 점화 버너의 가스압력 이상 5) 공기비 조정 불량 6) 점화용 트랜스 불량 7) 보염기의 위치 불량 8) 공기압력이 너무 낮거나 높음 등으로 교재에 있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시험에서 답을 쓴 내용을 확인해 보니 3) 연료분사 노즐이 고장나거나 필터 고장시도 충분히 정답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실제로 산업현장에서 필터가 막힘도 연료의 공급이 불량하기 때문에 상당히 자주 발생합니다. 필터 고장보다는 필터 막힘이라고 섰으면 훌륭한 답이 될 수 있었을텐데 그래도 기대할만한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 이것도 2개로 나눠서 썼으면 더 좋았을 것 같습니다 4) 공연비도 적정하지 않으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원래는 적정공기비가 아닌 경우에도 점화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듯이 공연비도 공기비와 연관이 있으니 가능할 것 같습니다. 한번 기대를 가지고 기다려 보시기 바랍니다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510 | [답변] 보일러의 점화불량 원인 질문 | okh**** | 2022-05-09 | 10 |
교수님! 한줄기 희망을 주셔서 고맙습니다. 에너지관리기사 합격 여부가 1점에 의해 좌우될 것 같습니다. 이제는 겸허한 마음으로 하늘의 뜻을 기다리겠습니다. 그동안 좋은 강의를 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한 나날이 되시기를 기원드립니다. |
||||
49503 | [답변] 보일러의 점화불량 원인 질문 | hwa***** | 2022-05-09 | 13 |
교수님 혹시 연료펌프 불량 화염검출기 불량 점화코일 불량 공기비 불량 연소실 온도가 너무 낮음 이건 어떨까요? |
||||
49505 | [답변] 보일러의 점화불량 원인 질문 | 김계호 교수 | 2022-05-09 | 14 |
답변입니다) 1. 연료펌프 불량, 화염검출기 불량, 점화코일 불량 등은 우리가 다루는 점화불량의 직접적인 원인에 일반적으로 해당되지는 않지만 점화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들이라고 생각됩니다. 2. 왜냐하면, 점화불량의 원인에는 착화트랜스의 일정 전압이 나오지 않는 경우도 해당됩니다. 그러니까 점화코일의 문제도 채점관의 판단에 따라 정답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리라 봅니다. 3. 그런데 여기서 연소실 온도는 아닙니다. 연소실 온도가 너무 낮으면 매연발생의 원인이 되기 때문입니다 4. 그리고 점화불량과 실화는 다른 것입니다. 점화(착화)불량은 처음에 보일러에 불을 붙일 때 상황이고, 실화는 한창 가동 중에 불이 어떤 이유로 꺼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화염검출기는 실화의 원인에 더 가깝다고 판단됩니다 5. 그래서, 필답형 시험을 치르고 난 후 자신의 점수가 높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낮게 나온다든지, 자신의 점수가 무척 낮을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아주 높게 나온 이유가 채점관의 재량 등에 의한 바로 그런 것 때문입니다. 6. 기대를 가지고 한번 기다려 보시기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506 | [답변] 보일러의 점화불량 원인 질문 | hwa***** | 2022-05-09 | 15 |
감사합니다. 교수님 | ||||
49495 | 열설비설계 | kim**** | 2022-05-08 | 12 |
열설비설계의 보일러취급 문제중 65번 문제는 지문이 잘못되지않았나 생각됩니다. 보일러에서 저수위로 인한 사고의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것은? 라고 되어 았는데 "보일러 저수위 사고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것은?"라고 바뀌어야 할것 같은데 검토부탁합니다. |
||||
49500 | [답변] 열설비설계 | 김계호 교수 | 2022-05-08 | 10 |
답변입니다) 1. 질의하신 대로 보일러 저수위사고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이 문맥상 더 매끄럽겠군요 2. 저수위 제어장치의 고장, 급수장치 고장, 수저 분출장치 고장은 보일러내의 수위가 저수위로 내려가게 되어 그로 인한 사고를 유발한다는 의미입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494 | 열설비설계 | kim**** | 2022-05-08 | 8 |
5편 열설비설계 의 1-5 보일러 보존 중 4번 청소방법을 설명하였는데 청소방법중 외부청소와 내부청소로 구분하였는데 어떻게 다른지 알수가 없네요. 모두 보일러 내부청소 하는것으로 보이는데 외부청소는 보일러 외부청소를 하는건가요? |
||||
49499 | [답변] 열설비설계 | 김계호 교수 | 2022-05-08 | 7 |
답변입니다) 1. 보일러 내부청소는 관내부청소를 의미하는 것이고 외부청소는 관외부및 드럼등을 청소하는 것입니다 2. 1)관내부청소 : 약품 및 세관 작업을 주로 의미하고 튜브클리너로도 작업을 합니다 2) 외부청소 : 스팀쇼킹법, 수세, 쇼트클리닝 등을 통해서 관 밖의 표면을 두드리거나 검뎅을 증기로 씻어 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수관보일러의 외부청소는 수트블로워를 실시하여 검뎅, 카본등을 씻어 내는데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중요한 청소법입니다 3. 연관은 관내부에 연소가스, 관외부에 물이 흐르고, 수관은 관내부에 물, 관외부에 연소가스가 흐르기 때문에 청소법은 서로 다릅니다.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부식부분을 제거하는 화학적 청소법은 연관에서는 외부청소, 수관에서는 내부청소법에 해당됩니다 4.. 정리하자면 내부청소 및 외부청소는 관 안밖을 구분하여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490 | 계산과정 적을때 질문입니다 | akg***** | 2022-05-06 | 15 |
16년3회차 9번보면 ln*0.15/0.1 적은부분에 내경 20cm에 반지름이 10cm인건 당연히 아는건맞는데 0.2*0.5이렇게 표시안하고 0.1로 바로 표시해도되는건가요? |
||||
49492 | [답변] 계산과정 적을때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2-05-06 | 11 |
답변입니다) 1. 질의하신 내용이 반지름을 계산할 때 지름x0.5 로 해야 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나온 값을 적어도 되는 것인가? 라는 질문이시죠? 2. 전체 적인 계산 과정만 들어 가면 상관 없습니다 3. 정확하게 계산식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질의 하신 것처럼 자신에게 편리한 방법으로 계산하는 것은 무방할 것입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481 | 과년도 문제 풀이중 2020년 4회차 실기 필답형 16번 다음에 나오는 연습문제1번에 관 | mul***** | 2022-05-02 | 15 |
과년도 문제 풀이중 2020년 4회차 실기 필답형 16번 다음에 나오는 연습문제1번에 관하여 질문 드립니다. 문제에서 단서 조항으로 단, 펌프의 효율은 70%이고, 속도수두는 무시한다. 라고 되어있으니 관마찰 저항 의 달시공식 적용시 속도수두(v제곱/2g) 항을 무시해야 되지않느냐 하는 질문입니다. 속도 수두항을 무시하고 계산하면 총 손실 수두의 계산 결과가 달라지는데 교수임의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 합니다. 010-9047-9100 배학수 드림 [email protected] |
||||
49482 | [답변] 과년도 문제 풀이중 2020년 4회차 실기 필답형 16번 다음에 나오는 연습문제1번에 관 | 김계호 교수 | 2022-05-02 | 12 |
답변입니다) 1. 질의하신 내용을 몇 번 읽어보니 충분히 그렇게 생각할 수 있는 질문이라 생각됩니다. 2. 문제를 수험생의 기억에 의존하다보니 복원과정에서 불합리한 내용이 종종 생깁니다. 이 문제도 속도 수두는 무시한다 라는 표현보다는 그 외 기타 손실은 무시한다 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3. 그런데 Darcy의 공식은 관마찰손실을 수두로 나타낸 공식입니다. 여기에다 엘보와 밸브의 배관상당길이가 주어지면 달시의 공식은 당연히 적용하는게 맞다고 판단됩니다. 4. 또한,16번 문제는 출제자의 의도가 달시의 공식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물어보는 문제로 판단됩니다. 5. 사실 이 풀이과정도 주어지지 않은 기타 손실은 무시하고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풀이한 것으로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신대로 속도수두를 무시하는 것이 조건에 들어갈 경우 오해의 소지가 충분히 있으므로 이 문제의 조건을 좀더 합리적으로 보완해야 할 필요성을 검토 후 보완토록 하겠으며, 본 문제의 풀이과정은 교재 내용대로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469 | 13년 3회 5번 | kok***** | 2022-04-30 | 11 |
1. 40%의 수분을 함유한 5톤의 재료 - 이런 의미 아닌가요? 40% (2000kg 수분 + 3000kg 건조 재료) ---> 10% (333.33kg 수분, 3000kg 건조 재료) 2. 정답의 KJ/hr에서 /hr는 어디서 온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미리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