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9683 | [답변] 22년 2회 에너지관리기사 필기 24번 문제 질문입니다 | mar****** | 2022-07-10 | 3 |
감사합니다. 이론을 건너띄고 과년도로 바로 가서 이런문제가 생기네요. 이론으로 다시가서 공부해야겠습니다. | ||||
49679 | 교수님 22년 제 2회 에너지관리기사 필기 2번 문제(과년도 교재) | mar****** | 2022-07-09 | 7 |
풀이에 있는 식 (1.2*0.21)*5/0.21 +3+4 =30.57 Nm3/Nm3 이렇게 나왔있는데, 제가 계산기로 누르면 자꾸 13이 나옵니다. 혹시 (1.2-0.21)*5/0.21+3+4가 아닌지요? 이렇게 하면 30.57이 나오네요. |
||||
49680 | [답변] 교수님 22년 제 2회 에너지관리기사 필기 2번 문제(과년도 교재) | 김계호 교수 | 2022-07-09 | 6 |
답변입니다) 1. 질의 하신 내용중 Gw = (m-0.21)A0+CO2+H2O = (1.2-0.21)x5/0.21 +3+4 가 맞습니다 2. 교재 원본을 확인해보니 교재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부호가 바뀌었네요. 3. (m - 0.21) 이므로 (1.2 - 0.21) 이 맞습니다 4. 이 부분은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677 | 에너지관리기사 이론교재 35쪽 18번 계산질문 | mar****** | 2022-07-09 | 5 |
교수님 계산기로 계산하면 11kg/cm2를 MPA로 환산하면 공학기압 사용시:1:0.098=11:X 표준기압 사용시:1.0332:0.1013=11:X 제가 계산하면 1.078 MPA로 나옵니다만, 문제의 답은 1.099입니다 . 풀이에선 1:0.1013=10:x 인데 저는 이해가 안가는것이 공학기압 1를 사용하였는데 왜 MPA은 표준대기압을 기준으로 계산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0.098이 아니고 0.1013으로 사용한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
||||
49678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이론교재 35쪽 18번 계산질문 | 김계호 교수 | 2022-07-09 | 6 |
답변입니다) 1. 질의하신 내용을 검토해보니, 풀이과정 중에서 2) 게이지압력 1 : 0.098 = 10 : x x= 0.98 MPa (또는, 1.0332 : 0.1013 = 10 : x x= 0.98 MPa) 로 하는 것이 맞습니다 2. 표준 대기압을 이용하거나 공학 기압을 이용하거나 답은 비슷하게 나옵니다 3. 풀이 과정에서 1) + 2) = 0.099 + 0.98 = 1.079 MPa 가 맞습니다 질의하신 내용으로 풀면 다음과 같습니다 A. 여기서 11 kg/cm^2 으로 계산하다 보니 양쪽 값이 차이가 발생하는데, 절대압력 = 대기압+게이지 압력 = 740/760 x 1.0332 + 10 = 11.006 kg/cm^2 (760 : 1.0332 = 740 : x) (공학기압으로 풀어도 답은 비슷하게 나옵니다. 735.5 : 1 = 740 : x 이므로 740/735.5 x 1 + 10 = 11.006 kg/cm^2 이 나옵니다) B. 따라서 11.006 kg/cm^2으로 풀면 어느 방법으로 풀든 답은 비슷하게 나옵니다 C. 공학기압 사용시 1 : 0.098 = 11.006 : x x= 1.079 MPa 표준대기압 사용시 1.0332 : 0.1013 = 11.006 : x x= 1.079 MPa 위 내용은 금번 촬영시에 즉시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675 | 교수님 계산기 질문입니다 | mar****** | 2022-07-09 | 9 |
아무생각없이 인기모델이길래 FX-85ES PLUS 이모델을 샀어요 그런데 Solve로 푸는 문제가 있던데 이계산기는 Solve가 없는거 같습니다, 이문제 포기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계산기를 새로 사야할까요? 출제 비중이 높으면 계산기 새로 사겠습니다 그리고 계산기 동영상 보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
||||
49676 | [답변] 교수님 계산기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2-07-09 | 7 |
답변입니다) 1. 열역학 이나 연소 공학 등에서 방정식으로 푸는 문제가 자주 출제 되는 것은 맞습니다. 2. SOLVE 기능을 이용하면 빠르고 정확하게 풀 수 있습니다만, 방정식 관련 문제가 출제되면 계산 과정을 이항 하면서 풀어도 상관 없다고 생각하며 굳이 별도로 살 필요는 없겠습니다. 3. 계산기 동영상은 수강생 중에서 원하는 분들에게는 열어주도록 협조가 돼 있습니다. 4. 사무실에 이에 관련하여 문의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670 |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학습문의(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 kyg**** | 2022-07-08 | 14 |
제가 사용하는 계산기는 fx 570입니다. 공부하면서 방정식을 세워서 해보는데 안되네요 교수님 계산과정 등 자세한 설명부탁드립니다. |
||||
49671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학습문의(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 김계호 교수 | 2022-07-08 | 14 |
답변입니다) 1. 안되는 방정식을 올려 주시면 계산 과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2. 에너지 관리에서 계산기로 안되는 방정식을 올려 주시면 이해하기가 쉬울 것 같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9672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학습문의(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 kyg**** | 2022-07-08 | 12 |
네 갑사합니다. 방정식이 있을때 어떻게 계산기에서 입력하고 처리되는지 제가하면 안되어서요 방정식은 첨부로 올리겠습니다. |
||||
49673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학습문의(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 김계호 교수 | 2022-07-08 | 13 |
답변입니다) 1. 방정식을 풀 때 다음과 같은 절차를 지켜야 합니다 1) 계산기로 구하고자 하는 방정식을 똑같이 만들어야 합니다 2) 방정식에서의 = 은 붉은 ALPHA 버튼을 누른 다음 좌측 맨위에서 두 번째 에 있는 붉은 =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3) 식을 똑 같이 세운 다음 방정식 값을 구할 때에는 SHIFT ⇒ SOLVE ⇒ = 을 눌러야 하는데 이 때 = 은 오른쪽 맨 밑에 있는 = 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2. 그러면 질의하신 문제를 통해서 풀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1.255 ⇒ ALPHA ⇒ = (붉은색 = 임) ⇒ 3 X 1.56 ⇒ ln ⇒ ㅁ/ㅁ (좌측 위에서 3번째 버튼 분수키) ⇒ ALPHA ⇒ X (붉은색 X임) ⇒ REPLAY ▽ ⇒ (20+273) ⇒ REPLAY ▷ ⇒ ) 3. 이렇게 하면 방정식과 똑같이 만들어 졌습니다 4. 이 상태에서 SHIFT ⇒ SOLVE ⇒ = (오른쪽 맨 아래의 검은색 = 임) 5. X = 383.11 이 나옵니다 천천히 해 보시고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 관리 김계호- |
||||
49674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학습문의(공학용 계산기 사용법) | kyg**** | 2022-07-08 | 7 |
감사합니다. 답변주신대로 해보겠습니다. |
||||
49697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학습문의(공학용 계산기 사용하는데 오류납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 kyg**** | 2022-07-12 | 11 |
답변주신대로 해보았습니다 그런데 방정식 입력하고 나서 마지막으로 shift solve를 치면 첨부와 같이 에러가 나오네요 제가 어디서 잘못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첨부올림니다. |
||||
49662 |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529쪽 2014년 3회 9번 질문 | zam*** | 2022-07-06 | 9 |
원관 손실열량 길이가 없어 4파이로 계산해야 되는 것이 아닌가 해서 질문들립니다. 답에는 길이를 1m로 보고 2파이로 계산되어 있습니다. |
||||
49664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529쪽 2014년 3회 9번 질문 | 김계호 교수 | 2022-07-06 | 8 |
답변입니다) 1. 주어진 문제의 조건이 중공 원관의 1m당 손실 열량은 몇 W 인지를 묻는 문제입니다 2. 따라서 길이 L에 1m의 값을 넣고 계산합니다 3. 다시 한번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 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