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ID/PW찾기
실시간문자상담
* 연락처
게시판
공지사항
1:1 학습문의
일시정지 요청
합격후기 게시판
>
동영상 관련 문의
교육상담
02-812-5669
365일 운영 10:00 ~ 24:00
기술지원센터
02-812-4035
1:1원격지원
입금계좌
078-209658-04-010
기업은행 (예금주 : 최정원)
학습문의 전체게시판
홈 > 게시판 > 에너지관리기사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에너지취급기능사
과정안내 및 수강신청에 대한 궁금한 내용을 남겨 주세요. 학습질문 및 학습자료 요청은 수강중인 회원님께 제한됩니다.
교수님에게 직접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51024 단열과정 공식 kim**** 2024-09-22 5
첨부의 단열과정 공식이  변화되는 과정을 알고싶습니다
답글 수정 삭제
51020 기체상수값 때마다 다른것좀 알고싶습니다 soj********* 2024-09-16 11
기체상수값이 주어지지 않은경우 어쩔땐 0.282  어쩔땐 0.082 등등  어떻게 대입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자세하게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할것 같습니다
답글 수정 삭제
51021 [답변] 기체상수값 때마다 다른것좀 알고싶습니다 김계호 교수 2024-09-17 22
답변입니다)

 1. 기체상수(R)는 분자의 몰수가 부피에 비례하므로(아보가드로 법칙)
    PxV/T = nxR 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2. 질의하신 내용은 적용하는 단위에 따라 각각의 수치가 달라지는데
    실질적으로 모두 같은 값으로 단위만 다른 것이고 주어지는 문제가 열역학적 함수, 
    또는 기체의 압력, 부피 변화에 관한 문제인지 등에 따라 적용하면 되겠습니다
    이 내용은 강의 중간 중간에 설명되어 있는데 결과식의 산출근거를 제시하여
    다시 한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산출 근거는 잊어버려도 되고 결과 값(단위와 함께)과 적용하는 곳만 정리하시면 되겠습니다


 3. 1) 공기의 기체상수(R)= PxV/nxT
                         = 101325(Pa)x22.4(L)x0.001(m^3/L) / 1(mol)x273(K) 
                         = 8.314J/mol*K = 8.314kJ/kmol*K 
                        ※ 열역학 함수 및 에너지와 관련된 계산에 사용

      2) 공기의 기체상수(R)= PxV/nxT
                         = 1(atm)x22.4(L) / 1(mol)x273(K)
                         = 0.082(atm*L/mol*K)
                        ※ 기체의 압력, 부피변화 및 농도와 관련된 계산에 사용

      3) 공기의 기체상수(R)= PxV/nxT
                         = 101.325(kPa)x22.4(m^3/kmol) / 29(kg/kmol)x273(K)
                         = 0.287kJ/kg*K = 287J/kg*K
    
      4) 공기의 기체상수(R)= PxV/nxT
                         = 1.0332x10^4(kg.m^2)x22.4(m^3/kmol) /29(kg/kmol)x273(K)
                         = 29.27kg*m/kg·K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 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 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51018 풀이과정이 어떻게 되는 것인가요? bod***** 2024-09-14 15
공식대로 0.676이 나왔는데 왜 또 1를 뻬는 이유가 있나요?
답글 수정 삭제
51019 [답변] 풀이과정이 어떻게 되는 것인가요? 김계호 교수 2024-09-14 19
 답변입니다)

  1. 이 문제를 푸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질의한 내용에 대한 답변은
     계산식에서 0.676은 효율이므로 손실효율은 1-0.676=0.324입니다
     이 때의 방열량(=손실열)이 3.5kJ 이므로 연비를 써서
     손실효율 : 손실열량(=방열량) = 유효효율 : 실제일(유효일)
     (1-0.676) : 3.5 = 0.676 : X 로 나타낸 것입니다

  2. 다른풀이법
     0.324 : 3.5 = 1 : x
     x= 3.5x1/0.324 = 10.8kJ (=공급열)
     공급열= 유효일(실제일) + 무효일(방출열/방열량)에서
     실제일= 공급열-무효열
           = 10.8-3.5= 7.3kJ로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3. 어느 방법이든 똑같습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51007 원의 표면적? kim**** 2024-09-11 19
실기 668페이지. 2021년 2회 13번에서,,,,,,,,,,,,,,원의 면적에서 파이 x d 제곱/4  과   파이x d x L의 차이의 설명 부탁드립니다. 열교환기에서 면적을 구할때 파이x d x L이 사용되었습니다. 지난번 본 건 설명시 도면 있는 것을 말씀하셨는데 도면이나 사진 등을 첨가하여 차이에 대한 설명을 좀 더 자세히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기출 2024년 2회차 18번에서는 스테판볼츠의 법칙에서 면적 계산시 파이DL이 아니고 4파이R2으로 구의 표면적을 계산했는데 정리가 잘 안됩니다.



답글 수정 삭제
51012 [답변] 원의 표면적? 김계호 교수 2024-09-11 19
답변입니다)

 1.13번 문제에서, 배관의 지름 10cm를 2m/s의 속도로 통과하는 
   유량(Q)은 단면적x유속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유속이 일정한 속도에서 배관의 지름이 클수록 많은 유량이 흐르게 됩니다.
   그러므로 단면적(A)= 파이xd^2/4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단면적이란 배관을 반지름 방향으로 자를 때 생기는 파이프의 면적을 의미합니다)

 2. 그런데, 이 배관속을 흐르는 유체가 20도씨에서 40도씨로 상승했다는 것은
    배관의 단면이 아닌, 물을 감싸고 있는 배관의 주위(원둘레)로 부터 열이 전달되는 것이므로
    원주(원둘레)의 면적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다시말해, 원주의 면적이란 배관을 길이방향(축방향)으로 잘라 펼친 면적을 의미합니다,
    이 펼친 면적이 열전달 면적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때의 면적(A)= 파이xdxL이 됩니다
    (여기서, 파이xd는 원둘레의 길이가 되고 여기에 길이 L을 곱하면 면적이 되는 것입니다)

 3. 정리하자면,
    1) 유량을 계산하거나 유속을 계산할 때 
       원관의 단면적은 파이xd^2/4
    2) 열교환에 따른 전열면적을 계산할 때
       전열면적은 파이xdxL이 됩니다

 4.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그림을 그려 설명 해드릴테니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51042   [답변] 원의 표면적? kim**** 2024-10-17 6
이 질문에 그림을 그려 다시한번 설명부탁드립니다. 단면적과 표면적의 차이를 잘 이해 못하겠습니다. 단면적이란 배관을 반지름 방향으로 자를때 생기는 파이프의 면적이라고 하셨는데요, 부탁드립니다
답글 수정 삭제
51000 공식이 어떻게 나오는 것인가요? bod***** 2024-09-08 20
1번공식 에서 2번 공식으로 어떻게 나오는 것인가요?
답글 수정 삭제
51001 [답변] 공식이 어떻게 나오는 것인가요? 김계호 교수 2024-09-08 20
 답변입니다)

 1. 엔트로피 변화량= 열량의 변화/절대온도 입니다

 2. 또한, 온도 T1의 고열원으로 부터  온도 T2의 저열원으로 열량 Q가 전해질
    때의  엔트로피 변화(dS) =  Q/T2 - Q/T1 으로 계산 합니다 
    (필기 교재 P111의 4-3참조)     

 3. 이 문제에서는 포화증기에서 포화액으로 변화가 일어났으므로
    열량의 변화가 아닌, 각각의 상태에서의 엔트로피를 단순히 구한 것입니다
    S2= Q/T2,   S1=Q/T1에서
    dS= S2-S1 = Q/T2 - Q/T1으로 각각의 상태에서
    엔트로피를 구해서 뺀 것입니다

 4.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50994 연소공학 CO2max 공식 관련 snu*** 2024-09-04 28
좌측 연소공학 교재에 없던 공식인데, 22년도 2회 문제 공식이 있어 문의 합니다.. 공식이 추가 된 건가요 ?
답글 수정 삭제
50996 [답변] 연소공학 CO2max 공식 관련 김계호 교수 2024-09-04 26
 답변입니다)

  1. 불완전연소에서는 CO2 외에 CO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불완전연소식에서는
     CO2max= 21x(CO2+CO)/21-O2+0.395CO 공식을 사용하고
     완전연소식에서는 CO=0이므로
     CO2max= 12xCO2/21-O2 가 됩니다
     (필기 교재 P288 참조)

  2.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50998   [답변] 연소공학 CO2max 공식 관련 snu*** 2024-09-05 12
교재를 봐도 이해가 안됩니다..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수고하십시요 
답글 수정 삭제
50999    [답변] 연소공학 CO2max 공식 관련 김계호 교수 2024-09-05 15
 답변입니다)

  1. 제가 질의 내용을 잘못 이해했습니다

    1) 이론서에는 CO2max= 21x(CO2+CO)/21-O2+0.395CO 이 있는데
    2) 22년도 2회 기출문제에서는 
       CO2max=(1.867C+0.7S)/God  x 100으로 다른 식이 있는 것에 대한 질의였던 것 같습니다 

  2. 22년도 2회 문제는 이론건연소가스량을 구한 후
     CO2max을 구하는 문제로 CO2max=(1.867C+0.7S)/God  x 100 는 별도로 외워야 합니다

  3. 참고로 실기용 필수공식집을 만들어 수강생들에게
     배포하였는데 공식집 P6의 9번에 보시면
     CO2max을 구하는 공식 4개가 정리되어 있습니다.
     
  4. 공식집을 안가지고 계시면 에디스트 측에 전화하셔서 한권 요청하셔서 정리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질의 내용에 대한 답변이 원하시는 내용이 아니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엔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50993 연소공학 연소계산 식 관련 질문 snu*** 2024-09-03 13
실기 동영상에서 4.18kj 을 4.2kj로 계산 해도 된다고 강의하셨는데, 

이론 공부할때부터 편리상 이론산소량 공식 1.867을  1.87로 외웠고, 

이론 공기량 공식  26.67을 26.7로 외웠읍니다.. 이렇게 외워도 되나요 ?
답글 수정 삭제
제목 내용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