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50182 | 199쪽 예상500문제 227번 질문 | tys****** | 2023-03-17 | 9 |
기체상수R의 단위중에 kJ에서 J로 왜 바꾸는지 궁금합니다. | ||||
50184 | [답변] 199쪽 예상500문제 227번 질문 | 김계호 교수 | 2023-03-17 | 10 |
답변입니다) 1. 먼저, 루트안의 식들을 계산하기 전에 1N=1kg*m/s^2 (1N은 1kg의 질량을 1m/s^2의 가속도로 가하는 힘을 의미합니다) 1kJ= 1000J 1J=1N*m= 1kg*m/s^2 x m = 1kg*m^2/s^2 2. 루트안의 식의 단위를 정리하면 루트 0.287(kJ/kg*K) X (273+250)K = 루트 kJ/kg = 루트 1kN*m/kg = 루트 1000N*m/kg = 루트 1000(kg*m^2/s^2)/kg = 루트 m^2/s^2 = m/s 로 속도가 나오게 됩니다 3. 따라서 단위를 정리하기 위해서는 kJ을 J로 고쳐 주기위해 1000을 곱해야 합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179 | 회분 개질제 설명이 잘 이해가 안갑니다 | tys****** | 2023-03-16 | 8 |
"회분의 융점을 높여서 고온부식을 방지" 의 뜻을 잘 모르겠습니다. 재의 녹는 온도를 높여서 고온부식 방지한다??? |
||||
50180 | [답변] 회분 개질제 설명이 잘 이해가 안갑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3-16 | 13 |
답변입니다) 1. 고온부식은 연료 속 바나듐(V)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식입니다 이러한 고온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가 있지만(교재에 있는 내용참조) 그중에서 연료에 고온부식방지제의 일종인 회분개질제(첨가제)를 투입하면 연소후 생기는 회분(재)속 바나듐과 화합하게 되어, 550도씨 이상으로 회분(재)의 용융점을 상승시켜 고온부식을 방지하도록 하는 첨가제를 의미합니다. 2. 일반적으로 고온부식은 550도씨 부근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이 온도를 피하여 고온부식을 방지하는데 고온부식방지제는 회분의 용융점이 550도씨를 넘도록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원리입니다 3. 결론적으로 회분개질제는 고온부식을 방지하는 첨가제의 일종이다 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175 | 김계호 교수님게 | yb8*** | 2023-03-14 | 12 |
교수님 특강56번과162번 중공구계산식에서 56번은내경 외경 대입하고 162번은 반지름입니까 않이면 그냥 내경 외경입니까 14년도3회차12번에는반지름이라고하는데 구형용기라 그런것인지 구분이 어렵습니다 |
||||
50176 | [답변] 김계호 교수님게 | 김계호 교수 | 2023-03-14 | 11 |
답변입니다) 1. 중공구에서의 열손실량 계산 중에서 r : 반지름, d : 지름을 의미합니다 (이건, r=radius 반지름, d=diameter 지름 이란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에서의 열손실량을 계산할 때 r1, r2 는 반지름을 의미합니다 (잘 이해가 안되시면 구 안에 작은 원과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큰 원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질의하신 14년도 3회차는 12번이 아니라 9번 같습니다. (9번으로 설명하자면) 이 문제는 구형 용기가 아니라 안이 비어있는 원관(파이프)을 의미합니다. 중공원관의 열손실공식은 교재에서 주어진대로 외우셔야 합니다 (여기서도, r1은 작은원의 반지름, r2는 큰 원의 반지름을 의미합니다) 3. 여기에 제시된 공식은 힘드시더라도 외우셔야 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170 |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 tys****** | 2023-03-13 | 18 |
1. 파형노통의 장점에서 "열에 의한 신축흡수 용이" 란 말이 있던데 "신축흡수"란 뜻이 뭔지 궁금합니다. 열에 잘 견딘다는 말인가요? 2.그리고 "교축" 이란 의미를 사전에서 찾아보았으나 이해가 부족하여 설명부탁드립니다. 3. 외분식이면 방사손실이 많은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
||||
50174 | [답변] 몇가지 질문 드립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3-13 | 18 |
답변입니다) 1. 3번 질문이 추가로 있군요 연소실 위치에 따라 내분식과 외분식으로 구분합니다 내분식은 연소실이 동체 내에 있고, 외분식은 연소실이 동체 밖에 위치합니다. 2. 내분식은 노통 보일러 처럼 드럼 안에 연소실이 있는 보일러입니다. 이 경우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방사열량이 물에 갇혀 외부로 잘 빠져 나가지 못합니다 그러나, 외분식은 수관식 보일러 처럼 수관 밖에서 관 안의 물을 가열하면서 일부는 밖으로 방출되는데 이것이 방사손실 또는 복사손실이 되는 것입니다. 당연히 외분식이 내분식보다 큽니다 3. 그러나 효율면에서는 외분식이 내분식보다 월등히 높다는 사실도 꼭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171 | [답변] 용어질문 드립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3-13 | 13 |
답변입니다) 1. 파형노통은 평형노통에 주름을 더한 노통을 의미합니다. 이런 울퉁불퉁한 노통은 강도가 평평한 노통보다 강할 뿐 아니라 열을 받으면 늘어나고 식으면 줄어드는 길이의 변화량(신축량)을 잘 흡수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런 기능이 없으면 노통의 열에 의한 변화량(신축량) 을 흡수할 수 없게 되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것을 신축흡수가 용이하다라고 정의합니다 2. 교축(throttling)이란 유체가 흘러가는 배관의 어느 한 지점을 목을 조르듯 단면을 심하게 줄였을 때(조였을 때)를 의미하고, 특히 증기가 조인 부분을 지나서 다시 확장한 부분을 지나면 주위의 압력과 온도가 떨어지게 되는데 이것을 주울-톰슨 효과라 합니다. 특히, 냉동시스템에서 응축기의 고온, 고압의 냉매가 팽창면을 통과할 때 이러한 교축작용이 일어나고 저온, 저압의 냉매로 변하게 됩니다. 이렇게 어느 한 부분을 조이는 것을 교축이라 하며 이 과정에서는 등엔탈피과정이 이루어 집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157 | 2014년 1회차 10번문제 TOE, KgOE | tys****** | 2023-03-11 | 11 |
2)번에 전력 환산톤을 구할때는 석유환산계수(전기)0.25를 곱했는데 4)번에 전기원단위(라) 구할때 석유환산계수를 왜 안 곱하는지 궁금합니다. |
||||
50158 | [답변] 2014년 1회차 10번문제 TOE, KgOE | 김계호 교수 | 2023-03-11 | 9 |
답변입니다) 1. 질문 내용 중 2)번은 전력환산톤(TOE)을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환산계수 0.25를 곱한 것입니다 2. 4)번은 단위가 KWH/Ton이므로 그대로 쓴 것입니다 3. 만약 전기 원단위가 TOE/Ton이라면 0.25를 곱해야겠지요 4. 단위를 잘 확인해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TOE(toe) 또는 KGOE(kgoe)로 묻는 경우에만 환산계수를 고려하면 됩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147 |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2022년 1회 및 2회 필답형 문제 부탁드립니다 | ydh***** | 2023-03-08 | 7 |
에너지 관리기사 실기 2022년 1회 및 2회 필답형 문제 좀 부탁드립니다 | ||||
50150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2022년 1회 및 2회 필답형 문제 부탁드립니다 | las****** | 2023-03-08 | 3 |
안녕하세요. 에디스트입니다. 2022년 1회,2회 문제 이메일로 바로 전송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50144 | 에너지관리기사 필기 질문입니다. | win******* | 2023-03-08 | 9 |
방정식 풀이 계산기 사용법 도움 부탁드립니다. 2020년 1+2 과년도풀이 열역학 30번 , 32번 풀이에서 계산기 사용법이 어렵습니다. |
||||
50145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기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3-08 | 8 |
답변입니다) 1. 먼저, 이러한 문제는 계산기의 방정식 기능을 이용하면 시간도 무척 절약되고, 정확한 계산이 가능합니다 2. 힘들더라도 방정식 기능을 꼭 숙지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3. 오늘은 방정식으로 푸는 방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4. 방정식은 문제와 똑같이 계산기에 만들어 놓고 마지막에는 항상 SHIFT → SOLVE → = 키를 누르면 됩니다 5. 문제 30번 계산기 사용순서 1) 1.66 → = (계산기 ALPHA → = (빨간색 =) → 7.5 → X^ㅁ 키 누르고 → x (ALPHA→X(빨간색)) → -1 다 했으면 SHIFT → SOLVE → = (빨간색이 아니라 원래 쓰는 = 을 누를 것) 잠시 기다리면, 1.2515...이 나올 겁니다 문제 32번도 위와 같은 순서로 하시면 됩니다 만약, 안되면 다시 질의 하여 주십시오 6. 계산기 과정이 UP-LOAD 되어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에디스트에 요청하시면 무료로 방정식에 관한 내용을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 (강의에 사용되는 계산기종은 CASIO fx-570ES PLUS 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