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50225 | [답변] 연관의 최소 두께 구하는 문제풀이 질문입니다 | sew***** | 2023-03-30 | 14 |
P=최고사용압력(㎫) {㎏f/㎠}으로 표기 되어 있는데 표기 방법으로 보아서 P가 (㎫)일 때 분모가 70, P가 {㎏f/㎠} 일 때 분모가 700으로 사용하는거 아닌가 싶어서 질의 드린것입니다 |
||||
50223 | 문제풀이 단위관련 질문드립니다 | sew***** | 2023-03-30 | 12 |
교수님 안녕하세요 강의 듣고 이해가 잘 안되어 질문드립니다 1. 10MPa을 10.2kg/cm^2으로 곱해주는데 답의 단위 mm하고는 관계가 없는지요 |
||||
50227 | [답변] 문제풀이 단위관련 질문드립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3-30 | 9 |
답변입니다) 1. 연관의 최소두께(t)= PD/7OO + 1.5 에서 이 식을 그대로 계산하면 kg/cm^2 x mm = kg/cm 나 kg/mm 가 나오게 됩니다 2. 그런데 좀더 깊게 들어가면 수관의 최소두께 공식이 있습니다 수관최소두께(t) = PD/200x허용인장응력(kg/mm^2) + 1.5 입니다 이 경우 계산결과 단위는 cm 나 mm 가 나오게 되니 이해가 되실겁니다 3. 결론적으로 1번의 연관의 최소두께식은 700 이란 값에 허용인장응력까지의 값이 모두 들어가 계산된 실험값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4. 경우에 따라서 단위가 이해가 안되는 경우는 이런 실험치의 결과값이 포함된 경우가 많습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16 | 폴리트로픽 절대일,공업일(656쪽 21년도 4회 4번문제) | tys****** | 2023-03-29 | 8 |
정압비열Cp= k/k-1 x R 이고 정적비열 Cv= 1/k-1 x R 로 알고 있는데 절대일 Wa는 정압과정이고 공업일 Wt는 정적과정인데, 공식에는 왜 정압과정 절대일 Wa=1/n-1 을 사용하고 정적과정 공업일 Wt에는 n/n-1 을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제 생각에는 서로 뒤바뀐거 같아서요) 제가 기초가 많이 부족해서 질문드리오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
||||
50217 | [답변] 폴리트로픽 절대일,공업일(656쪽 21년도 4회 4번문제) | 김계호 교수 | 2023-03-29 | 8 |
답변입니다) 1. 먼저, 절대일은 정압과정, 공업일은 정적과정이라는 전제 조건은 잘못 이해하고 계신 것입니다. 1) 절대일은 체적(V)축에 투영된 면적을 통해 일량을 계산하므로 Wa= 인테그럴 PdV (kN*m) 로 나타냅니다 2) 공업일은 압력(P)축에 투영된 면적을 통해 일량을 계산하므로 Wt= -인테그럴 VdP (kN*m)로 나타냅니다 2. 열역학을 공부한 분들도 절대일과 공업일을 완벽하게 구분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렵습니다. 사실, 절대일은 팽창일, 공업일은 압축일 이라고 단순히 접근하다보면 실제 시험에서 틀리기 쉽습니다.. 흔히들, 압축일과 공업일을 구분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이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막은 주사기 끝을 1) 주사기 끝을 놓으면 주사기 내 부피가 커지면서 순수한 유체가 일을 함 : 절대일(순수한 유체의 일) 2) 주사기 내 유체가 나오지 못하도록 압축 후 막는 과정 : 공업일(일종의 강제일) 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시험에서 나오는 대다수의 일은 절대일에 속하고, 다만, 펌프, 터빈, 송풍기, 콤프레서 처럼 저압의 유체를 고압의 유체로 만드는 과정은 공업일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이 문제에서 PV^1.3 은 n=1.3인 폴리트로픽과정을 의미합니다. 단열과정과 비슷하지만 단열과정은 비열비(k)를 지수로 갖지만, 폴리트로픽과정은 n=1.3으로 주어진 것입니다. 따라서 폴리트로픽 비열(Cn)= (n-k)/(n-1) x Cv 는 정해진 공식이기 때문에 그대로 외우셔야 합니다 4.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10 | 과년도 실기 2013년 3회 문제 | kwa***** | 2023-03-27 | 10 |
<6번 > 풀이중에서 R 기체상수의 단위 KJ를 J로 전환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ㅏ | ||||
50213 | [답변] 과년도 실기 2013년 3회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3-03-28 | 6 |
답변입니다) 1. 실기 공부하시면서 단위 때문에 무척 힘드시겠습니다 2. 필요에 따라 단위는 계산과정에서 비교하면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3. 이 문제에서 루트 안의 계산과정을 설명해드리면 루트안에 단위가 남아 있게 되는 것은 R= 287J/kg*K = 0.287kJ/kg*K 와 (120+273)K 만 남고 모두 상수로 됩니다 4. 그런데 루트안의 계산 과정에서 이미 약분되어 없어진 단위들이 있는데 이 단위들까지 소환해서 풀어보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루트 2x1.4/(1.4-1) x 9.8(m/s^2) x 287(J/kg*K)/9.8(N/kg) x (120+273)K x (1-(0.5/1)^(1.4-1/1.4)) (단위 J=N*m, kJ=KN*m 가 들어간 계산식에서 중력가속도 9.8과 1kg=9.8N에서 9.8이 약분되어 없어진 것입니다) 5. 루트안의 계산식은 모두 정리하고나면 m^2/s^2 이 되어 루트를 벗겨내면 m/s가 되어 유속의 단위가 됩니다 6. 따라서 J=N*m로 계산해야지 kJ로 계산하면 K가 남게되어 계산이 틀리게 됩니다 실기 동영상 강의 중에 노즐출구 유속을 계산할 때 단위가 kg일 때에는 9.8m/s^2 이 들어가고 N 이 들어갈 때에는 g가 빠지는 이유와 같습니다 7. 특수문자가 들어가 설명이 잘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05 | 교수님 과년도 교재 203쪽 34번 단위 질문 | mar****** | 2023-03-25 | 9 |
문제에서 R=8.314KJ/Kmol*K 에서 J/K로 구하라고 했는데 *1000을 해야하지 않나하는 의문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기초가 부족하여 너그럽게 이해좀 부탁드립니다 ^^ |
||||
50207 | [답변] 교수님 과년도 교재 203쪽 34번 단위 질문 | 김계호 교수 | 2023-03-26 | 16 |
답변입니다) 1. 교재 203쪽 34번? 은 어느 내용인지 잘 못찾겠습니다. 2. 질의하신 내용으로 봐서 기체상수 R= 8.314 kJ/kmol*K 에서 왜 kJ을 1000J로 안고쳐서 계산했느냐? 라는 질문 같습니다 3. 위에서 단위를 잘보시면 R= 8.314 kJ/kmol*K = 8.314 J/mol*K 와 같은 식입니다 분모, 분자가 각각 1000배를 하여 k 가 붙었기 때문에 같은 식입니다 예를들어 1kJ/kg = 1J/g 또는 1kcal/kg = 1g/cal 과 같은 결과식입니다 또한 1kg/kmol = 1g/mol 또한 같은식입니다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바꿔 쓸 수 있습니다 4. 만약, 질의내용 중 R= 0.008314 kJ/mol 이라고 나왔다면 (이렇게 나올리는 거의 없겠지만) 이 경우는 질의하신대로 R=8.314J/mol로 1000배를 하여 환산해야 되겠죠. 아마도, 이 부분으로 생각하여 질의하신 것 같습니다 5. 좀더 이해를 돕기위해 4번은 억지로 조건을 만들어 봤습니다만 계산과정에서 단위를 맞춰나가는 것은 참 중요한 과정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21 | [답변] 교수님 과년도 교재 203쪽 34번 단위 질문 | mar****** | 2023-03-29 | 8 |
교수님이 말쓴하신 부분이 맞습니다. 참고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문제는 2012년4회 과년도 34번입니다. 과년도 교재 203쪽에 바로 나옵니다. |
||||
50228 | [답변] 교수님 과년도 교재 203쪽 34번 단위 질문 | 김계호 교수 | 2023-03-30 | 8 |
답변입니다) 1. 네, 2012년 4회 34번 문제 맞군요 2. 위 설명대로 정리하시면 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03 | 교수님 과년도 교재 200쪽 23번 단위 질문 | mar****** | 2023-03-25 | 10 |
기초 질문을 드려서 죄송합니다. KJ/kg 를 J/kg로 변환하여 *1000을 하는데 이해가 잘안갑니다. 1J =1N*m의 관계만 생각나서 m/S로 구할때 KJ를 왜 J로 고쳐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
50206 | [답변] 교수님 과년도 교재 200쪽 23번 단위 질문 | 김계호 교수 | 2023-03-26 | 9 |
답변입니다) 1. kJ = 1000 x J 입니다 1kg = 1000g, 1km=1000m. 1kPa=1000kPa 이듯이 단위 앞의 k는 1000배의 의미가 됩니다 2. 주로, kN이 속도를 구할 때 많이 사용되는 경우 중 하나입니다 1kg(f)= 9.8N 입니다 예를 들어 엔탈피가 400kJ/kg로 주어지면 이것은 400kNm/kg으로 환산이 되는데 윗 식에서 중력가속도가 고려된 공식 1kg(f)=9.8N을 보면 반드시 kN을 1000N으로 환산해 줘야 계산이 맞게됩니다 3. 만약, 잘 모르시겠으면 그냥 kJ을 kNm로 그대로 쓰고 나중에 계산과정에서 단위를 맞춰 보면 1000배를 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어떤 질문이든 이해가 안되시면 어려워 마시고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22 | [답변] 교수님 과년도 교재 200쪽 23번 단위 질문 | mar****** | 2023-03-29 | 3 |
교수님 이문제는 몇 m/s인가? 했으니까 326KJ/kg → 326000J/kg , 322KJ/kg →322000J/kg 로 고쳐서 하면 되는것인가요? |
||||
50199 | 교수님 산소몰수 구하는방법 질문입니다. | mar****** | 2023-03-23 | 7 |
교수님 탄화수소의 경우 산소 몰수구할때 m+n/4 하면 나오지만 메탄올같은 경우 Ch3OH ,그리고 CH4 메탄의 산소 분자량 구하는 방법을 알수 있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