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50281 | [답변] 문제풀이 단위관련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4-17 | 11 |
답변입니다) 1 먼저, 이 식에서는 좌측항과 우측항의 연손실량이 같다고 놓고 방정식을 풀었기 때문에 단위 면적(1m^2)을 생략하고 풀었습니다. 단위면적을 넣고 계산 해도, 생략하고 계산해도 답은 동일하게 나옵니다 2. 교재대로 풀면 다음과 같습니다 d= 0.2(m)x0.2(W/m*K)x(800-400)K / 0.1(W/m*K)x200K = 0.8m 가 나옵니다 3. 방정식을 가지고 좌우로 비교해서 확인하셔도 됩니다 Q= (W/mK)x(K)/m = (W/mK)x(K) / d 좌 우의 분자의 W/mK를 생략하고, 분자의 K를 생략하고 나면 좌측의 분모에 m 가 남고 우측의 분모에 d(m)가 남으니 이상없습니다 4. 동영상 강의를 하면서 단위에 대해 어려워 하시는 수강생분들이 많아 최근에는 풀이과정에 단위를 상세히 넣고 풀어드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정도 익숙해지면 단위 풀이 과정없이 받아 들이는 단계가 될 겁니다. 그렇게 되면 실력이 한단계 업그레이드 됐다고 생각합니다 5. 필답고사에서는 풀이과정이 중요하지 단위를 일일이 다 써넣을 필요는 없습니다 풀이과정이 정확하고 마지만 요구하는 답의 단위만 일치하면 되겠습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77 | 문제풀이 질문입니다 | sew***** | 2023-04-17 | 9 |
교수님 안녕하세요 문제풀이 과정이 이해가 잘 안되어 질문드립니다 질문1. 과년도 문제풀이 2019년 2회 12번 풀이에 압력이 52kPa인데 9.8을 곱하여 풀이를 하였습니다 똑같은 2회8번 강의하실 때 압력이 kg/cm^2 나오면 9.8을 넣어서 계산하고 Pa 나오면 9.8을 넣지 말라고 하셨는데 두문제 풀이가 어떻게 다른지 이해가 안됩니다 건의사항: 제가 기초가 모자라서 그런지 피토관 문제 이해하는데 어렵습니다 전체적으로 볼 때 피토관 관련 문제가 자주 출제되는 중요한 포인트라 생각됩니다 해서 피토관 관련한 정리한 영상이 있으면 한번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즐거운하루되십시오 |
||||
50280 | [답변] 문제풀이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4-17 | 9 |
답변입니다) 1. 압력의 단위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kg/cm^2, Pa, bar, mmHg .....) 그런데 요즘 자주 출제되는 단위 중에는 Pa이 있습니다 2. 1 Pa = 1N/m^2 입니다 1N은 1kg의 질량에 1m/s^2의 가속도가 적용된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1kg의 중량(질량이 아닌)은 1kgf로 나타내는데 보통 f를 생략하고 쓰고 있습니다 3. 1Kgf = 9.8N 입니다 4. 결론적으로, 1N이란 중력가속도가 작용하지 않고, 1kg(f)란 중력가속도가 작용하는 것입니다 5. 여기서 수은의 비중이 13.6, 물의 비중이 1이므로 비중량은 각각 13.6x1000kg/m^3, 1000kg/m^3 이 됩니다 위에서 설명한것처럼 1kg(f) = 9.8N 이므로 9.8을 곱한 것입니다. 풀이에서 52X1000에서 1000은 kPa을 Pa로 고치기 위해 1000을 곱한 것입니다 6. 만약에, Pa 이나 N의 단위로만 나온 계산에서는 9.8을 넣지 않고 계산하시면 됩니다 7. 피토관은 유체의 흐름에서 전압과 정압의 차인 동압을 측정하고 이를 통하여 베르누이 정리에 따라 유속을 구하는 장치이며 이 유속의 측정을 바탕으로 흐름의 양을 재는 방식입니다. 이에 관한 문제는 2016년 3회차 11번, 2018년 1회차 4번, 2019년 2회차 8번, 2022년 1회차 12번 등을 참조하시면서 따로 정리한 별도의 영상 없사오니 이해가 안되시는 부분이 있으면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76 | 증기 동력 사이클 열효율과 재열사이클 열효율 질문입니다 | ssl**** | 2023-04-16 | 20 |
190페이지 랭킨 사이클 이론 열효율에서 펌프일을 무시한 열효율식에서는 분모가 h4-h1입니다. 그런데 194페이지 문제 7번에서는 i3-i1 으로 나옵니다. 제가 이해하는대로라면 전자는 과열기h-펌프입구h 가 분모이고 후자는 과열기h-보일러입구h 가 분모인걸로 차이가 나는 것같은데 제가 잘못된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는걸까요 |
||||
50279 | [답변] 증기 동력 사이클 열효율과 재열사이클 열효율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4-17 | 15 |
답변입니다) 1. 질의하신대로 효율 계산시 효율 = 유효일/공급일 (급수펌프 무시한 경우)인데 급수펌프일을 고려한 경우 분모에는 과열기출구 엔탈피-급수펌프 입구 엔탈피) + (재열기 출구 엔탈피- 재열기 입구 엔탈피가 맞습니다 급수 펌프 입구와 출구 어느쪽에서 계산하든 급수 펌프 일량은 터빈 일량에 비해 무시할 정도로 작기 때문에 값의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2. 하지만 제시된 예문의 2번이 정확히 있기 때문에 질의하신대로 2번으로 수정함이 맞겠습니다 3. 이 부분은 교재 내용을 별도 보완토록 하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71 | 문제풀이 단위환산 관련 질문입니다 | sew***** | 2023-04-15 | 21 |
교수님 많이 부족하여 부끄럽지만 질문드립니다 필답형 예상 500문제 69번 단위가 어떻게 kw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
||||
50272 | [답변] 문제풀이 단위환산 관련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4-15 | 21 |
답변입니다) 1. 먼저, 어떤 문제든 공부하시다 막히는 부분 있으면 항상 질의하여 주십시오 2. 풀이 과정을 검토해보니 단위를 정확히 써서 계산했습니다. 다만, 중요한 부분이 하나 빠져 이해가 안되신 것 같습니다. 3. 1KW = 102kg*m/s = 1kJ/s = 3600kJ/h 입니다 이 부분이 빠졌네요. 다음과 같이 계산하면 되겠습니다 소요동력(kW) =PsxQ /102xyx60 = rxHxQ / 102xyx60 (왜냐하면 Ps = 비중량(r)x양정(H)으로 변화) = 1000(kg/m^3)x8(m)x0.5(m^3/min) / 102((kg*m/s)/(kW)) X 0.6X60(s/min) = 1.09 kW 4. 결론적으로, 직접 푼 계산식에서 102kg*m/s → 102(kg*m/s)/(kW)로만 바꿔서 계산하면 되겠습니다 (왜냐하면 1kW= 102kg*m/s 이기 때문입니다) 천천히 풀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항상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ps) 이 문제 동영상을 보니까 풀이과정에 단위가 빠져 이해가 잘 안된 것 같아 풀이과정에 단위를 넣어서 재촬영토록 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73 | [답변] 문제풀이 단위환산 관련 질문입니다 | sew***** | 2023-04-15 | 8 |
감사합니다 | ||||
50268 | 이해부족 | yb8*** | 2023-04-14 | 12 |
교수님 엔탈로피 변화구하는 공식에는 압축일은 w는 어떤기준으로 예를들면 9000*9.8*1/000으로 대입하고 그냥 9000으로 대입하는지 단위는 kj때는 9000으로 대입하는데 kgf.m 단위시는 다사용하는 풀이가 있어 궁굼합니다(447페이지,656페이지) 감사합니다 |
||||
50269 | [답변] 이해부족 | 김계호 교수 | 2023-04-14 | 10 |
1. 답변입니다 2. 사실, 국가기술 자격증을 준비하면서 단위를 이해하는 게 가장 힘든일 중의 하나입니다 3. 질의하신 내용에서 주어진 조건과 요구하는 답이 같은 단위이면 그대로 계산하면 됩니다 그런데, P447에서는 90000kgf*m의 일이 주어졌고 답에서 원하는 단위는 kJ/K입니다. 그러면, kgf 단위와 kJ의 단위가 다르죠? 그래서 1kgf=9.8N 이고 1kgf*m = 9.8N*m(=J) = 9.8/1000 kN*m(=kJ) 로 환산한 것입니다 4. P656에서는 900kJ의 일의 단위가 주어졌는데 요구하는 답의 단위도 kJ/K 로 단위도 같죠? 그래서 9.8이란 중력가속도가 들어가서는 안됩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항상 질의하여 주십시오 꼭 시험에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70 | [답변] 이해부족 | yb8*** | 2023-04-14 | 8 |
감사합니다 | ||||
50266 | 건도 문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 ssl**** | 2023-04-13 | 13 |
자꾸 기초적인 질문을 드리게 되어 송구스럽습니다. 비전공자이다보니 강의에서 설명되지 않은 기본 단어와 개념에서 막히네요. 질문 1. 180 페이지, 문제 14번에서 건도란 결국 건증기량/습증기1키로 이므로 비율의 문제인 걸로 이해했습니다. 250도에서 건도 30%이고 100도에서 건도가 얼마인가를 물어본다는 건 결국 건증기 습증기의 비율이 바뀌었다는 소리가 아닌가요? 비율이 바뀌었는데 어째서 공식을 그대로 대입해서 250일때의 건도로 계산한 비체적을 100도에 똑같이 적용할 수가 있는 것인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질문 2. 습증기 1키로 중의 건증기량/습증기 1키로 라는 개념에서 건증기라는 개념이 습증기에 포함된다는 소리인가요? 그리고 문제에서 포화증기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포화증기란 결국 습(포화)증기와 건(포화)증기를 합한 단어일까요? 포화액 - 포화증기(습증기->건증기) - 과열증기의 과정으로 이해하면 되는지요. 질문 3. 177페이지 문제 3에서 유체의 포화온도와 포화압력이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단순히 포화액-포화증기 과정의 온도와 압력을 의미하는 것인지요. |
||||
50267 | [답변] 건도 문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4-14 | 10 |
답변입니다) 1. 먼저, 기초적인 질문이라도 궁금하신 점은 항상 질의하여 주십시오 2. 우선, 기본적인 내용으로 증기보일러는 물을 가열하여 증기로 만드는 장치입니다. 그런데 아무리 질좋은 증기라고 하더라도 보일러 증기속에는 증기만 있는 것이 아니라 물방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보일러 증기를 질좋은 습증기(증기+물방울)라 부릅니다 3. 그런데, 정작 보일러의 증기를 이용하는 목적은 증기속에 물방울이 없는 순수한 증기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것을 증기의 잠열을 이용한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증기속에 물방울이 많이 들어있으면 잠열을 이용하는 것보다 일부 현열을 이용할 수 밖에 없어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잠열은 539kcal/kg 이지만 현열은 100도씨인 경우 100kcal/kg 밖에 안되기 때문입니다 4. 그러므로 증기속에 물방울이 없는 순수한 증기를 만드는 것이 매우 필요합니다. 따라서, 증기의 건(조)도가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5. 질의하신 내용 중에 건도 30%란 나머지 70%는 물방울로 구성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건도0%라면 증기는 하나도 없고 100% 물로 구성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여기서 냉각을하여 물방울이 제거되었다면 증기의 건조도가 증가하여 그만큼 증기의 잠열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습(포화)증기엔탈피 = 포화수엔탈피+건조도x(포화증기엔탈피-포화수엔탈피)= 포화수엔탈피+건조도x잠열 습(포화)증기비체적 = 포화수비체적+건조도x(포화증기비체적-포화수비체적)= 포화수비체적+건조도x잠열 등으로 나타냅니다 이러한 상태의 변화는 압력과 온도의 변화로 가능한 것입니다 이 문제도 온도를 변화(압력도 따라 변화)하여 상태의 변화를 만들어 증기의 건조도가바뀌므로 위 공식을 사용한 것입니다 6. 두번째 질문에 대한 답변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는 건조증기 속에 물방울 포함된 증기(=습포화증기)입니다. 따라서 건조도란 이 증기 속에 순수한 증기가 얼마인가를 따지는 것입니다. 이 상태에서 과열기 들을 통해 물방울을 완전히 제거한 증기를 건포화증기라 부릅니다. 이를 계속하면 과열증기가 되는 것입니다 건포화증기 및 과열증기는 건조도가 1입니다, 즉, 물방울이 하나도 포홤되지 않은 순수한 증기로만 구성되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질의하신 내용은 포화액(=포화수) - 습(포화)증기 - 건포화증기 - 과열증기 의 순서가 맞겠습니다. 여기서 일반적인 보일러 증기는 습(포화)증기 앞에 질좋은 이란 용어를 붙여 질좋은 습포화증기 이지 건포화증기가 아닙니다. 왜냐하면 보일러 증기 속에는 물방울이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7. 포화상태란 더 이상 현재의 상태의 유지하기 어려울 정도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물을 계속 가열하면 어느 지점에서 물의 상태를 잃고 증기로 넘어 갑니다. 이때 증기로 넘어가기 바로전의 상태를 포화상태라 부르고 그때의 압력을 포화압력, 온도를 포화온도라 부릅니다 8. 포화라는 개념은 물-증기, 습증기-건증기, 건증기-과열증기 등 그 상태를 지속하기 어려워 다음단계로 넘어가기 직전의 마지막 상태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마치 러시아워때 지하철에 승객이 몰려 더이상 탈수 없어 밀려 나가는 마지막 상태 정도로 이해 하시면 되겠습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63 | 에너지관리기사 | oks**** | 2023-04-12 | 28 |
22년2회 필답형 1번 문제 2)와3)식에서 개구비를 고려한 속도 V1이 V2다 빠른데 V2가 빨라야 될거 같은데요 루트 1-개구비제곱은 1보다 작으므로 이값으로 나누면 V1이 V2보다 빠르게 됩니다 | ||||
50265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 김계호 교수 | 2023-04-13 | 34 |
답변입니다) 1. 질의하신 내용을 검토한 결과 에디스트에 수정 내용을 긴급히 정리해서 보냈습니다. 오늘 중으로 수정된 내용을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 그리고 문제 복원과정에서 2번은 베르누이정리, 3번은 연속의 법칙을 이용해서 풀라는 전제조건이 있어 그에 맞춰 새로 풀었습니다. 도착하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질의하여 주십시오. 3. 건강 유의하시면서 시험 잘 준비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