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50306 | [답변] 교수님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4-21 | 11 |
답변입니다) 1. 이론공기량(A0)= 8.89C+26.67(H-O/8)+3.33S 을 구하는 식에서 C, O, S 은 중유 속에 포함된 성분비(=조성비) 를 의미합니다. 이 조성비에 따라 이론공기량이 결정되는 것입니다 2. 질의하신 O2(3.2%)는 배기가스 분석치로 이것은 공기비 계산에서 사용한 것입니다. 3. 만약, 지문에서 C 85%, H15% 라고 안하고 C 84%, H14%, O 2%라고 주어졌다면 풀이는 달라지겠습니다. 이 경우에는 26.67(0.15-0.02/8)로 계산해야 합니다 4. 결론적으로, 이론공기량에서의 공식은 연료의 조성비로, 공기비는 배기가스 분석치로 구분 계산해야 합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남은 시간 열심히 하셔서 곡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94 | 노즐 계산문제 | pbh**** | 2023-04-20 | 28 |
park 2 페이지 316 문제 78번 에서 RT을 이용하여 풀어도 가능 한지요? 계산해 보니 805.49 m/s 가 나오는데, 큰 차이가 없어서요. 이렇게 해도 가능 한지요? | ||||
50298 | [답변] 노즐 계산문제 | 김계호 교수 | 2023-04-20 | 16 |
답변입니다) 1. 질의 내용과 동영상 및 교재를 확인 하였는데 기체상수 R= 29.27kg*m/kgK 로 풀었으며 별도 풀이는 표준단위 R=0.287 KJ/kg*k로 풀었습니다 2. 푸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습니다 3. 답이 807m/s 정도가 나오니 805.49m/s 가 나왔다면 제대로 푸신 것 같습니다 4. 만약, 푼 것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면 푼 과정을 올려 주십시오 확인 후 답변토록 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93 | 중공원관의열손실 | pbh**** | 2023-04-20 | 16 |
part2 362페이지 문제 212번 에서 길이가 주어지지 않았는데, 왜 이공식으로 풀죠? 혹시 길이 1m가 누락 됀것인가요? 2014년도 3회차 9번 문제도 같네요 | ||||
50295 | [답변] 중공원관의열손실 | 김계호 교수 | 2023-04-20 | 21 |
답변입니다) 1. 212번의 1)문제는 중공원관 1m의 손실열량(W)은? 이 정확한 지문이 되겠습니다 풀이 과정에서는 L=1m 로 계산해서 풀었습니다 2. 2014년 3회차 9번은 지문에 1) 중공원관의 1m 당 손실열량(W)로 되어 있고 풀이과정도 L=1m로 계산했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97 | [답변] 중공원관의열손실 | pbh**** | 2023-04-20 | 12 |
제가 갖고 있는 책은 수정돼기 전인가 보네요. 감사합니다 | ||||
50290 | 김계호 교수님게 | yb8*** | 2023-04-20 | 11 |
교수님 21년도4회차과년도문제6번과예제풀이에서 밀도에9.8을해주는경우와 안하지 경우는 항상 감사합니다 |
||||
50291 | [답변] 김계호 교수님게 | 김계호 교수 | 2023-04-20 | 7 |
답변입니다) 1. 필답형 시험을 준비하면서 가장 힘든 것 중의 하나가 단위에 대한 공부일겁니다 2. 질의하신 문제는 이해를 쉽게하기 위해 풀이 과정마다 단위를 넣어서 풀어 드렸는데 아무래도 힘들겁니다 3. 우선, 과년도 문제 6번은 주어진 압력차가 (120-2.34)kPa= kN/m^2 으로 주어졌고 이 단위와 일치시키기 위해 우변의 물의 비중량 1000kg/m^3 x 9.8N/kg을 한 것입니다 (P659 위에서 4번 째 줄에 있음) 그래서 이 문제는 단위가 일치하기 때문에 계산이 가능한 것입니다 4. 연습문제는 압력차를 주어진 값으로 계산하니 237.14kg/m^2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의 단위는 kPa입니다. 그래서 237.14kg/m^2 x 9.8N/kg을 하여 단위를 N/m^2 = Pa로 맞춘 것입니다 (P660 위에서 8번 째 줄) 5. 두 문제 모두 9.8N/kg을 넣어서 단위를 맞춘것입니다. 확인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항상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86 | 자동제어 구성요소 | dsh******* | 2023-04-19 | 14 |
343p-225번 자동제어계 구성요소와-비교부-설정부-조절부-조작부-검출부 360p-299번 자동제어 동작순서 검출-비교-판단-조작 을 설명 부탁합니다. |
||||
50287 | [답변] 자동제어 구성요소 | 김계호 교수 | 2023-04-19 | 13 |
답변입니다) 1. 자동제어는 목표값과 검출된 신호를 끊임 없이 비교하여 오차를 정해진 범위 내로 신호를 보내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제어시스템입니다. 이러한 자동제어 시스템을 가동하기 위해서는 질의하신 구성요소가 갖추어져야 합니다 1) 설정부 : 목표값 설정 2) 비교부 : 검출부에서 검출한 제어량 및 목표값을 비교 3) 검출부 : 제어량을 측정하여 전기 등의 신호로 변환시켜 비교부로 전송 4) 조절부 : 기본 입력과 검출부의 출력 차를 조작부에 신호로 전함 5) 조작부 : 편차의 크기에 따라 움직이게 함 2. 그런데 이러한 자동제어계의 동작순서도 순서가 뒤바뀌면 안됩니다 (신호 등)검출 - (오차 등)비교 - (동작 등)판단 - (정해진 범위 내)조작 의 과정을 순서대로 끊임 없이 반복하는 것입니다 3. 따라서 자동제어의 구성요소는 순서가 뒤바껴도 상관없지만, 동작순서는 검출 - 비교 - 판단 - 조작 순서를 암기해야 합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88 | [답변] 자동제어 구성요소 | dsh******* | 2023-04-19 | 5 |
감사합니다.충분히 이해하였습니다. | ||||
50282 | 노즐출구속도 비교 | dsh******* | 2023-04-17 | 23 |
199p-227번 문제 공식과 638p-10번 문제풀이 노즐 출구유속 공식이 틀린 이유좀 알려주세요 급합니다. 하나는 비열비 k-1로 되어있고 하나는 k+1로 되어 있습니다. |
||||
50283 | [답변] 노즐출구속도 비교 | 김계호 교수 | 2023-04-17 | 22 |
답변입니다) 1. 어떤 문제를 풀 때 푸는 과정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서 풀 수 있습니다 2. P199/227번의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은 P1:700kPa, T1: 250도C+273 = 523K, 비열비(k)=1.4, 기체상수(R)= 0.287kJ/kg*K입니다 이 문제를 P638/10번의 공식으로 풀기 위해서는 P2를 구해야 합니다 3. 따라서, 임계압력을 구하는 공식을 이용해 P2를 구할 수 있습니다 P2/P1 = (2/k+1)^k/k-1 P2 = P1 x (2/k+1)^k/k-1 = 700 x (2/1.4+1)^1.4/1.4-1 = 369.8kPa 4. 이렇게 되면 P638/10번 공식에 그대로 대입하면 됩니다 유속(V)= 루트 2x1.4/1.4-1 x 0.287 x 1000 x 523 x (1-(369.8/700)^1.4-1/1.4) = 418.47m/s 가 나옵니다 5. 이런 복잡한 과정을 거치는 것 보다 유속(V)= 루트 2 x k/k+1 x RT1 을 이용하면 간단히 나옵니다 따라서 노즐목에서의 유출속도는 이 공식을 외우면 유용하고 만약 시험장에서 기억이 안나면 위에서 설명한 것 처럼 한단계씩 거쳐 푸는 방법으로 하셔야 합니다 6. 결국 같은 공식 입니다. 직접 한번 풀어 보시고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84 | [답변] 노즐출구속도 비교 | dsh******* | 2023-04-17 | 6 |
확인하였습니다. 두공식 모두 기억하고 시험장에 들어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50278 | 문제풀이 단위관련 질문입니다 | sew***** | 2023-04-17 | 14 |
교수님 안녕하세요 질문1 과년도 문제풀이 2019년 2회 11번 문제입니다 단위가 제가 풀면 도씨와 k를 상쇄하고, 분모의 m과 분자의 m을 상쇄하면 w만 남게되고, 분자에 면적A를 넣어 봐도 단위가 m로 나오는것이 이해가 안됩니다 질문2 필답고사에서 답안 작성시 풀이과정 전체에 단위를 작성하여야 하는지요 교수님 풀이과정을 보면 전체에 단위를 작성한것도 있고 그렇지 안는것도 있는데 어떻게 작성하여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전체적으로 작성하려면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실수 할 가능성도 높아 질것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