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50325 | [답변] 과년도 교재 359쪽 14번 (2015 제1회) | mar****** | 2023-04-29 | 4 |
감사합니다 | ||||
50305 | 이론교재 308쪽 58번 문제 | mar****** | 2023-04-20 | 20 |
교수님 프로판 1Nm^3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이론산소량 Nm^3? 의 문제에서 제가 풀었을때는 1몰당 22.4부피이기때문에 22.4:5*22.4=1:X 이렇게 풀었는데... 풀이 답은 그냥 반응식 산소몰수 였습니다. 이해가 안갑니다;; |
||||
50308 | [답변] 이론교재 308쪽 58번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3-04-21 | 18 |
답변입니다) 1. 질의하신대로 표준상태에서의 기체의 체적은 22.4Nm^3 입니다 우선, 프로판의 연소반응식을 보면 프로판의 앞의 숫자는 1이므로 C3H8 + 5O2 = 3CO2 + 4H2O 1x22.4Nm^3 5x22.4Nm^3 = 22.4Nm^3 = 112Nm^3 로 계산됩니다 2. 만약 질문에서 1) 프로판 22.4Nm^3가 연소시 산소량은? 이라면 112Nm^3가 되겠죠? 2) 프로판 1Nm^3가 연소시 산소량은? 이라면 112/22.4 = 5Nm^3 가 되겠죠? 질의하신 것 처럼 22.4 : 5x22.4 = 1 : X로 풀면 X= (5x22.4)/22.4 = 5Nm^3 로 풀이 됩니다 3. 결국은, 22.4Nm^3로 약분되어지기 때문에 이런 문제는 단순히 약수비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답은 동일합니다 4. 원래는 질의하신대로 푸는 것이 정상적인 풀이법입니다. 어느 방법이든 상관없고 본인에 맞는 풀이법으로 익히시면 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304 | 단위 질문입니다 | mar****** | 2023-04-20 | 13 |
교수님 실제 공기량 13.02 Nm^3 벙커c유 500L/h 연소공기량 구할때 비중을 곱해서 단위를 맞추는데 비중의 단위는 검색해도 없다고 알려져 있어서 이해가 안갑니다;; L가 m^3이 어떻데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
||||
50307 | [답변] 단위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4-21 | 14 |
답변입니다) 1. 교재의 어느 쪽에 있는 질의 내용인지 확인을 못해서 우선 질의 내용을 유추해서 답변을 해드리겠습니다 원하는 답변 내용과 다르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2. 연료소비량 등을 계산할 때 액체연료는 L/h(부피단위)가 아닌 kg/h(중량의 단위)로 계산합니다. 3. 그러므로 B-C유의 비중을 0.99라고 가정하면 연료소비량= 500L/ hx 0.99 = 495kg/h로 바꿀 수 있습니다. 질의하신대로 비중은 단위가 없는 무차원수입니다. 그런데 액체와 고체의 비중의 기준이 되는 것은 물 입니다. 따라서 물의 비중이 1 이 되는 것입니다. 물이 1 이라면 B-C유는 0.99가 된다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비중의 기준인 물은 1000kg/m^3 이 됩니다. 그렇다면 B-C유는 1000x0.99= 990kg/m^3 이 되겠죠? 4. 그러므로, B-C유의 연료소비량= 500x0.99(kg/h)/1000(kg/m^3) 로 계산 하시면 됩니다. 비중은 무차원이지만 기준인 물과 비교하여 환산할 수 있는 것입니다 교재 어느 쪽의 질문인지 표시가 돼 있질 않아 추측으로 답변하였는데 원하는 답변이 아니라면 교제 페이지를 표시하여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309 | [답변] 단위 질문입니다 | mar****** | 2023-04-21 | 6 |
과년도문제교재 358쪽 2015년도 제1회 과년도문제 13번 문제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
50303 | 교수님 질문입니다 | mar****** | 2023-04-20 | 17 |
C(85%),H(15%)의 조성을 가진 중유를 10kg/h의 비율로 연소시키는 가열로가 있다. 오르자트 분석결과가 다음과 같았다면 연소시 필요한 시간당 실제공기량은? (단,co2=12.5%,O2=3.2%, N2=84.3%) 교수님 이문제에서 공기비를 구하고 이론공기량 구하는 식에서 8.89*0.85+26.67(0.15) 가 되는데..여기서 뒤에 따라붙는 식 나머지중 -O/8이 위의 산소값 3.2%을 대입해 -0.032/8이 되지 않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
||||
50306 | [답변] 교수님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4-21 | 11 |
답변입니다) 1. 이론공기량(A0)= 8.89C+26.67(H-O/8)+3.33S 을 구하는 식에서 C, O, S 은 중유 속에 포함된 성분비(=조성비) 를 의미합니다. 이 조성비에 따라 이론공기량이 결정되는 것입니다 2. 질의하신 O2(3.2%)는 배기가스 분석치로 이것은 공기비 계산에서 사용한 것입니다. 3. 만약, 지문에서 C 85%, H15% 라고 안하고 C 84%, H14%, O 2%라고 주어졌다면 풀이는 달라지겠습니다. 이 경우에는 26.67(0.15-0.02/8)로 계산해야 합니다 4. 결론적으로, 이론공기량에서의 공식은 연료의 조성비로, 공기비는 배기가스 분석치로 구분 계산해야 합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남은 시간 열심히 하셔서 곡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94 | 노즐 계산문제 | pbh**** | 2023-04-20 | 28 |
park 2 페이지 316 문제 78번 에서 RT을 이용하여 풀어도 가능 한지요? 계산해 보니 805.49 m/s 가 나오는데, 큰 차이가 없어서요. 이렇게 해도 가능 한지요? | ||||
50298 | [답변] 노즐 계산문제 | 김계호 교수 | 2023-04-20 | 16 |
답변입니다) 1. 질의 내용과 동영상 및 교재를 확인 하였는데 기체상수 R= 29.27kg*m/kgK 로 풀었으며 별도 풀이는 표준단위 R=0.287 KJ/kg*k로 풀었습니다 2. 푸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습니다 3. 답이 807m/s 정도가 나오니 805.49m/s 가 나왔다면 제대로 푸신 것 같습니다 4. 만약, 푼 것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면 푼 과정을 올려 주십시오 확인 후 답변토록 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93 | 중공원관의열손실 | pbh**** | 2023-04-20 | 16 |
part2 362페이지 문제 212번 에서 길이가 주어지지 않았는데, 왜 이공식으로 풀죠? 혹시 길이 1m가 누락 됀것인가요? 2014년도 3회차 9번 문제도 같네요 | ||||
50295 | [답변] 중공원관의열손실 | 김계호 교수 | 2023-04-20 | 21 |
답변입니다) 1. 212번의 1)문제는 중공원관 1m의 손실열량(W)은? 이 정확한 지문이 되겠습니다 풀이 과정에서는 L=1m 로 계산해서 풀었습니다 2. 2014년 3회차 9번은 지문에 1) 중공원관의 1m 당 손실열량(W)로 되어 있고 풀이과정도 L=1m로 계산했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297 | [답변] 중공원관의열손실 | pbh**** | 2023-04-20 | 12 |
제가 갖고 있는 책은 수정돼기 전인가 보네요. 감사합니다 | ||||
50290 | 김계호 교수님게 | yb8*** | 2023-04-20 | 11 |
교수님 21년도4회차과년도문제6번과예제풀이에서 밀도에9.8을해주는경우와 안하지 경우는 항상 감사합니다 |
||||
50291 | [답변] 김계호 교수님게 | 김계호 교수 | 2023-04-20 | 7 |
답변입니다) 1. 필답형 시험을 준비하면서 가장 힘든 것 중의 하나가 단위에 대한 공부일겁니다 2. 질의하신 문제는 이해를 쉽게하기 위해 풀이 과정마다 단위를 넣어서 풀어 드렸는데 아무래도 힘들겁니다 3. 우선, 과년도 문제 6번은 주어진 압력차가 (120-2.34)kPa= kN/m^2 으로 주어졌고 이 단위와 일치시키기 위해 우변의 물의 비중량 1000kg/m^3 x 9.8N/kg을 한 것입니다 (P659 위에서 4번 째 줄에 있음) 그래서 이 문제는 단위가 일치하기 때문에 계산이 가능한 것입니다 4. 연습문제는 압력차를 주어진 값으로 계산하니 237.14kg/m^2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문제에서 요구하는 답의 단위는 kPa입니다. 그래서 237.14kg/m^2 x 9.8N/kg을 하여 단위를 N/m^2 = Pa로 맞춘 것입니다 (P660 위에서 8번 째 줄) 5. 두 문제 모두 9.8N/kg을 넣어서 단위를 맞춘것입니다. 확인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항상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