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50413 | [답변] 펌프의 회전수를 낮추면 케비테이션이 방지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6-17 | 9 |
답변입니다) 1. 캐비테이션은 저압 형성으로 인해 생기는 펌핑(pumping) 곤란 상태를 의미합니다 2. 펌프의 회전수가 높으면 그만큼 유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유량의 증가는 유속이 빨라지며 이는 압력의 저하로 이어집니다. 3. 따라서 캐비테이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펌프를 적정회전수로 낮추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08 | 에어포켓과 드레인 포켓 서로 다른 개념인가요? | tys****** | 2023-06-17 | 3 |
에어포켓과 드레인 포켓 서로 다른 개념인가요? | ||||
50412 | [답변] 에어포켓과 드레인 포켓 서로 다른 개념인가요? | 김계호 교수 | 2023-06-17 | 16 |
답변입니다) 1. 포켓(pocket)이란 평평한 관이나 덕트 중간 또는 끝에 주머니 형태로 단차를 주어 응축수나 먼지 등을 그곳에 떨어지도록 만든 것을 말합니다 2. 에어포켓(air pocket) 가마울림은 연료 속 수분에 의해 발생합니다. 연소용 공기 덕트 중간에 포켓이 있으면 수분이 모여 연료와 혼합되어 연소하면서 가마울림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덕트는 포켓이 없이 매끈한 것이 좋습니다 3. 드레인 포켓(drain pocket) 증기 배관은 증기가 이송되면서 외기와의 접촉등으로 일부는 응축수가 됩니다. 이것은 결국 부식 또는 수격작용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관의 중간 또는 단말부에 포켓을 만들어 주면 물이 그곳으로 떨어져 고이게 됩니다. 고인 응축수는 한번씩 밸브를 열어 밖으로 배출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4. 따라서, 포켓의 용도는 비슷하나 에어포켓은 제거하여 가마울림을 방지하고 드레인포켓은 설치하여 응축수를 배출해 줘야 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01 | 2022.4회 p711 질문 | tys****** | 2023-06-16 | 5 |
펌프 출구 엔탈피는 펌프에서는 단열변화 과정이므로..... 위에 뜻을 잘 이해를 못하겠는데 풀이해서 해석하면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펌프 출구가 보온을 해서 단열이 된다는 의미인가요? |
||||
50405 | [답변] 2022.4회 p711 질문 | 김계호 교수 | 2023-06-16 | 8 |
답변입니다) 1. 단열과정이라는 것은 외부와의 열이 출입이 차단된 상태란 의미입니다 2. 이 경우 일량 계산시 단열과정이므로 단열지수 k가 고려돼야 합니다 3. 랭킨사이클에서는 2개의 단열과정+2개의 등압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개의 단열과정은 급수펌프와 터빈에서의 과정입니다 4. 단열변화와 일반적인 등압, 등적 상태에서의 변화는 완전히 계산과정이 다르게 됩니다 단열과정에서는 등엔트로피 과정이기 때문에 dS=0 이 되기 때문입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나중에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00 | 2022.2회.p683 1번 질문 | tys****** | 2023-06-16 | 11 |
첨부화일 사진 보시면 r = pg 인데 약분하면 서로 단위가 맞지 않는 것 같아서요.. | ||||
50407 | [답변] 2022.2회.p683 1번 질문 | 김계호 교수 | 2023-06-16 | 9 |
답변입니다) 1. 1kgf=1kgx9.8m/s^2 = 9.8kg*m/s^2 이 됩니다 따라서 비중량(r)= kgf/m^3 = 9.8(kg*m/s^2)/m^3 = 9.8kg/m^2*s^2 이 나옵니다 2. r = pg에서 p*g=kg/m^3 x (9.8m/s^2) = 9.8kg/m^2*s^2 3. 따라서 r= pg 가 9.8kg/m^2*s^2 으로 같은 단위가 나오죠? 4. 증명하는 방법은 또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질문하신 내용에서 kgf는 힘의 단위이고 kg은 질량의 단위이기 때문에 힘의 단위로 하든지 질량의 단위로 하든지 하나로 통일해서 단위를 유도해야 합니다 5.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399 | 2020.4회. 연습문제 질문.p629 | tys****** | 2023-06-16 | 8 |
문제에 수평거리 25m는 그림으로 표현이 안되어 있는데 그림에 표현한다면 어디 부분이 수평거리 25m 인가요? | ||||
50403 | [답변] 2020.4회. 연습문제 질문.p629 | 김계호 교수 | 2023-06-16 | 10 |
답변입니다) 1. 펌프 흡입구 측 수평거리 + 펌프 토출구 측 수평거리 입니다 2. 수평거리는 모두 더해서 관마찰계수를 곱하기 때문에 펌프내 거리는 무시할 정도 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398 | 필답형 p,401 119번 문제 질문입니다. | oid**** | 2023-06-15 | 6 |
문제에서 최고사용압력 단위가 kgf/cm2이며, 허용인장강도 단위는 kgf/mm2로 되어 있습니다. 계산에서 단위를 맞춰줘야 하는 것 아닌지요? 최고사용압력 단위를 kgf/mm2으로 해주고 단위 약분을 하게되면 답의 단위가 mm로 나옵니다. |
||||
50402 | [답변] 필답형 p,401 119번 문제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6-16 | 6 |
답변입니다) 1. 구형 용기의 두께 계산시 t = PD/4*응력*효율 + 부식여유 이때, 압력의 단위는 kg/mm^2 입니다 2. 하지만, 용기의 두께 계산 시 보통 압력(kg/cm^2), 지름(mm), 인장강도(kg/mm^2)로 주어집니다(요즘에는 SI 단위를 주로 사용하지만) 이 경우 t= PD/400*응력*효율 + 부식여유 로 계산 한 것입니다 3. 왜냐하면, 1kg/mm^2 = 1kg/cm^2 로 환산했기 때문 입니다 4. 따라서 질의하신 것 처럼 단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t= PD/4*응력*효율 + 부식여유 로 계산하셔도 무방합니다. 이 경우 주어진 압력은 20kg/cm^2 는 20/100=0.2 kg/mm^2 로 환산해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결국은 같은 값이 나오게 됩니다 5. 자신에 맞는 공식을 이용하여 암기하시면 되겠습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382 | 교수님 질문입니다 | mar****** | 2023-06-05 | 10 |
이번 CBT 필기시험 문제에서 문제는 잘생각이 안나지만 보기에서 가스와 공기 예열에 관한거였습니다. 저는 가스는 예열이 안되고 공기만 예열이된다라고 생각하는데...이게 맞을까요? 그리고 이런문제가 교재에 있나요? |
||||
50383 | [답변] 교수님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6-05 | 12 |
답변입니다) 1. 연소용 공기 및 중유 등 액체 연료를 예열하는 것은 일반적이고, 로(furnace)에서 연료가스를 예열하는 폐열회수(배열회수)장치인 축열기(축열실)도 았습니다 2. 2019년(2회), 2015년(2회)..... 제강 평로에서 채용되고 있는 배열회수 방법으로서 배기가스의 현열을 흡수 하여 공기나 연료가스 예열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 장치는? ① 축열실 ② 환열기 ③ 폐열 보일러 ④ 판형 열교환기 풀이) 축열실 배기가스의 현열을 흡수하여 공기나 연료가스 예열에 이용하는 제강 평로 의 배열회수 장치 답 ① 3. CBT 연습문제 1회 (62번) 62. 제강평로에서 채용되고 있는 배열회수 방법으로서 배기가스의 현열 을 흡수하여 공기나 연료가스 예열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 장치는? ① 축열기 ② 환열기 ③ 폐열 보일러 ④ 판형 열교환기 풀이) 축열기 배기가스의 현열을 흡수하여 공기나 연료가스 예열에 이용하는 제강 평로의 배열회수 장치 답 ①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377 | 공기비 단위 | ktf**** | 2023-06-04 | 14 |
질문에 답변해 주시니 특강 필답형 230문제 중 160번 문제 단위가 안맞는 것 같습니다. 총 이론공기량이 3095.2 Nm3 이라고 하셨는데, 문제대로하면 공기비는 단위가 생깁니 다. 공기비= 5000나누기3095.2 로 하시면, 단위는 mol/Nm3 이 됩니다. 혹시,5000mol 이 아니고 5000Nm3이 아닐까요? 제가 단위에 민감한 건지 모르지만, 강의를 들으면 이런부분이 궁금한데 그냥 넘어가시는 경우가 있어서 말씀드립니다. 수강생은 미숙한게 많고 모르는게 많은데, 좀더 저희가 궁금한 것을 집어주시면 좋겠습니다. |
||||
50379 | [답변] 공기비 단위 | 김계호 교수 | 2023-06-04 | 14 |
답변입니다) mol부피가 표준상태에서 22.4 L를 의미하여 단순히 아래 반응식을 이용하여 풀었는데 공기비의 단위가 무차원수가 되려면 질의하신대로 단순히 mol 단위로만 푸는게 맞겠습니다. C4H10 + 6.5O2 → 4CO2 + 5H2O Ao= 6.5/0.21 x 100(mol) = 3095.2 (mol) A= 5000 (mol) m= A/Ao = 5000/3095.2 = 1.6154 과잉공기백분율= (m-1) x 100 = (1.6154-1) x 100 = 61.54% 로 단위를 정리하면 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