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50403 | [답변] 2020.4회. 연습문제 질문.p629 | 김계호 교수 | 2023-06-16 | 10 |
답변입니다) 1. 펌프 흡입구 측 수평거리 + 펌프 토출구 측 수평거리 입니다 2. 수평거리는 모두 더해서 관마찰계수를 곱하기 때문에 펌프내 거리는 무시할 정도 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398 | 필답형 p,401 119번 문제 질문입니다. | oid**** | 2023-06-15 | 6 |
문제에서 최고사용압력 단위가 kgf/cm2이며, 허용인장강도 단위는 kgf/mm2로 되어 있습니다. 계산에서 단위를 맞춰줘야 하는 것 아닌지요? 최고사용압력 단위를 kgf/mm2으로 해주고 단위 약분을 하게되면 답의 단위가 mm로 나옵니다. |
||||
50402 | [답변] 필답형 p,401 119번 문제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6-16 | 6 |
답변입니다) 1. 구형 용기의 두께 계산시 t = PD/4*응력*효율 + 부식여유 이때, 압력의 단위는 kg/mm^2 입니다 2. 하지만, 용기의 두께 계산 시 보통 압력(kg/cm^2), 지름(mm), 인장강도(kg/mm^2)로 주어집니다(요즘에는 SI 단위를 주로 사용하지만) 이 경우 t= PD/400*응력*효율 + 부식여유 로 계산 한 것입니다 3. 왜냐하면, 1kg/mm^2 = 1kg/cm^2 로 환산했기 때문 입니다 4. 따라서 질의하신 것 처럼 단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t= PD/4*응력*효율 + 부식여유 로 계산하셔도 무방합니다. 이 경우 주어진 압력은 20kg/cm^2 는 20/100=0.2 kg/mm^2 로 환산해서 계산하시면 됩니다. 결국은 같은 값이 나오게 됩니다 5. 자신에 맞는 공식을 이용하여 암기하시면 되겠습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382 | 교수님 질문입니다 | mar****** | 2023-06-05 | 10 |
이번 CBT 필기시험 문제에서 문제는 잘생각이 안나지만 보기에서 가스와 공기 예열에 관한거였습니다. 저는 가스는 예열이 안되고 공기만 예열이된다라고 생각하는데...이게 맞을까요? 그리고 이런문제가 교재에 있나요? |
||||
50383 | [답변] 교수님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6-05 | 12 |
답변입니다) 1. 연소용 공기 및 중유 등 액체 연료를 예열하는 것은 일반적이고, 로(furnace)에서 연료가스를 예열하는 폐열회수(배열회수)장치인 축열기(축열실)도 았습니다 2. 2019년(2회), 2015년(2회)..... 제강 평로에서 채용되고 있는 배열회수 방법으로서 배기가스의 현열을 흡수 하여 공기나 연료가스 예열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 장치는? ① 축열실 ② 환열기 ③ 폐열 보일러 ④ 판형 열교환기 풀이) 축열실 배기가스의 현열을 흡수하여 공기나 연료가스 예열에 이용하는 제강 평로 의 배열회수 장치 답 ① 3. CBT 연습문제 1회 (62번) 62. 제강평로에서 채용되고 있는 배열회수 방법으로서 배기가스의 현열 을 흡수하여 공기나 연료가스 예열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 장치는? ① 축열기 ② 환열기 ③ 폐열 보일러 ④ 판형 열교환기 풀이) 축열기 배기가스의 현열을 흡수하여 공기나 연료가스 예열에 이용하는 제강 평로의 배열회수 장치 답 ①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377 | 공기비 단위 | ktf**** | 2023-06-04 | 14 |
질문에 답변해 주시니 특강 필답형 230문제 중 160번 문제 단위가 안맞는 것 같습니다. 총 이론공기량이 3095.2 Nm3 이라고 하셨는데, 문제대로하면 공기비는 단위가 생깁니 다. 공기비= 5000나누기3095.2 로 하시면, 단위는 mol/Nm3 이 됩니다. 혹시,5000mol 이 아니고 5000Nm3이 아닐까요? 제가 단위에 민감한 건지 모르지만, 강의를 들으면 이런부분이 궁금한데 그냥 넘어가시는 경우가 있어서 말씀드립니다. 수강생은 미숙한게 많고 모르는게 많은데, 좀더 저희가 궁금한 것을 집어주시면 좋겠습니다. |
||||
50379 | [답변] 공기비 단위 | 김계호 교수 | 2023-06-04 | 14 |
답변입니다) mol부피가 표준상태에서 22.4 L를 의미하여 단순히 아래 반응식을 이용하여 풀었는데 공기비의 단위가 무차원수가 되려면 질의하신대로 단순히 mol 단위로만 푸는게 맞겠습니다. C4H10 + 6.5O2 → 4CO2 + 5H2O Ao= 6.5/0.21 x 100(mol) = 3095.2 (mol) A= 5000 (mol) m= A/Ao = 5000/3095.2 = 1.6154 과잉공기백분율= (m-1) x 100 = (1.6154-1) x 100 = 61.54% 로 단위를 정리하면 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380 | [답변] 공기비 단위 | ktf**** | 2023-06-04 | 7 |
제가 조금 이해가 안되서 그러는데 AO=6.5/0.21 *100(mol)=3095.2(mol) 이라고 하셨는데, 계산해서 3095.2(mol)이 나오려면, 6.5/0.21의 단위는 무엇인가요? | ||||
50381 | [답변] 공기비 단위 | 김계호 교수 | 2023-06-04 | 7 |
답변입니다) 1.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단위로 먼저 설명하겠습니다. 부탄을 완전연소할 때 부탄 1Nm^3 연소시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C4H10 + 6.5O2 → 4CO2 + 5H2O 1Nm^3 6.5/0.21Nm^3(이론공기량) 이 됩니다 2. 마찬가지로 부탄 1mol 연소시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C4H10 + 6.5O2 → 4CO2 + 5H2O 1mol 6.5/0.21mol(이론공기량) 이 됩니다 3. 따라서, 1. 에서 Ao= 6.5/0.21 (Nm^3/Nm^3) 입니다. 부탄 1Nm^당 공기량 6.5/0.21 Nm^3 가 필요하단 의미입니다 2. 에서 Ao= 6.5/0.21 (mol/mol)입니다. 부탄 1mol당 공기량 6.5/0.21 mol 이 필요하단 의미입니다 4. 위 설명에서 보는 것 처럼 질의하신 6.5/0.21의 단위는 mol/mol 입니다. 여기에 100mol을 곱하면 3095.2 mol 이 됩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376 | 필답형 377페이지 49번문제 | oid**** | 2023-06-03 | 11 |
건도가 0.65인 습증기 10m3 이면 포화증기가 6.5m3, 포화액이 3.5m3 입니다. 체적당 질량을 구하기 위해 비체적을 역수를 취해 각각의 체적을 곱해서 더하면 6.5 ÷ 0.1662 + 3.5 ÷ 0.0011373 = 3116.57 kg 이 나옵니다. 물 10 m3이면 10000 kg 이고 물이 35%이면 고온의 포화수라 하더라도 대략 3000 kg 정도는 될 것 같은데 교재의 답 92kg은 너무 이상합니다. 제 계산이 잘못 되었나요? 검토 부탁드립니다. |
||||
50378 | [답변] 필답형 377페이지 49번문제 | 김계호 교수 | 2023-06-04 | 14 |
답변입니다) 1. 질의하신 내용 중에서 습증기 10m^3의 건도가 0.65이므로 최소한 3500kg 이상은 나와야 한다는 부분에서 잘못 된 것 같습니다. 10m^3의 체적속에 35%가 물이다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2. 습증기의 질량을 구하기 위해서 포화액과 포화증기의 비체적이 주어진 것입니다. 풀이과정에서 보시면 습(포화)증기 비체적 = 포화수(액)비체적+건도*(포화증기 비체적-포화수 비체적) = 0.108428 m^3/kg 이 나왔습니다 열역학의 습증기 비체적, 비엔탈피, 비엔트로피, 비내부에너지 등을 계산할 때 반드시 이 계산방식을 이용해야만 합니다 5. 결론적으로 이 습증기는 1kg당 0.108428m^3의 부피를 갖고 있다는 뜻입니다. 역으로 해석하면 1/0.108428= 9.2227 kg/m^3 로 부피 1m^3 당 9.2227kg의 질량을 갖는다는 의미입니다. 6. 그러므로 10m^3인 경우 92.227kg의 질량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천천히 읽어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374 | 이상기체방정식 | ktf**** | 2023-06-03 | 14 |
에너지 관리기사 실기 특강 필답형 137번 문제에서 R=0.287KJ/Kg*K 인데 압력p가 400pa 를 그냥 방정식에 넣어서 계산하면 안되는 것 아닌가요? 0.4kpa로 넣어서 계산하 는게 맞는 것 아닌가요? 다른 문제를 비교해 봐도 0.4kpa이 맞는 것 같습니다. |
||||
50375 | [답변] 이상기체방정식 | 김계호 교수 | 2023-06-03 | 13 |
답변입니다) 1. 그렇군요. 단위가 잘못됐습니다 압력 400 Pa → 400 kPa 이 맞습니다 2. 그렇게하면 계산과정은 동일하겠습니다 3. 이 부분은 빠른 시일 내 착오 없도록 재촬영하여 up-load 하도록 하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372 |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교수님의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풀의에 대한 궁금증을 조심스럽게 | d92*** | 2023-06-01 | 25 |
문의 1) 비열비 K의 경우 교수님의 풀의에서는 1.4로 말씀을 해주셨는데 (T2/T1)=(P2/P1)^((K-1)/K)를 이용해 산출하면 비열비 K는 약 1.33으로 나오는데 이렇게 적용하면 않되는 건지요.? 문의 2) 공기의 유속을 구하는 공식에서 P1V1대신 RT1을 대체하는데 있어서 기체상수 R는 R=C(P)-C(V)의 공식을 적용하면 기체상수 R는 최소한 정압비열인C(P)보다 작은 수가 나오는걸로 알고 있는데 풀이를 공부하다보니 기체상수 R값이 287로 된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 교수님의 귀한의견을 경청할수있게 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줄바꿈 기능이 않되서 두서없는 질문을 드려 죄송합니다. 항상 교수님의 친절하고 상세한 강의가 저처럼 늦깍기 직장인에게 언제나 등불같은 길을 열어주시길 바라면서 이만 줄이겠습니다. |
||||
50373 | [답변]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교수님의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기출문제 풀의에 대한 궁금증을 조심스럽게 | 김계호 교수 | 2023-06-03 | 14 |
답변입니다) 1. 비열비(K=1.4)에 대한 답변 1) 단원자 분자의 비열비(k)= 1.66 2원자 분자의 비열비(k)= 1.4 다원자 분자의 비열비(k)= 1.33입니다 따라서 공기 같은 경우는 체적 기준으로 질소(약79%), 산소(21%)으로 구성된 2원자 분자(물론, CO2, He, Ne 등도 미소한 부분이 있지만 무시)이므로 1.4로 계산하면 됩니다. 질의하신대로, 단열변화과정에서 T2/T1 = (P1/P2)^(1-k)/k 로 계산해서 나온 값으로 계산하셔도 됩니다. 그런데, (74+273)/(150+273) = (1/0.5)^(1-k)/k k=1.4 가 나오는데요? 어디서 차이가 생겼을까요? 다시 한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질의하신대로 계산해서 1.4가 아닌 정확히 1.39 이라든지 1.38이 나왔다면 그 값을 넣어서 계산한다면 문제가 없겠습니다. 1.33 값은 다시 한번 계산해보시고 결과를 다시 말씀해 주십시오. 이 식을 방정식으로 놓고 풀면 정확할텐데 그렇게 푼것인지 궁금합니다) 2. 기체상수(R)값에 대한 답변 공기의 기체상수는 힘드시겠지만 다음과 같이 외워두면 도움이 된다고 강의 중에 설명드린 적 있습니다 1) R= 8.314 kJ/kmol*K : 열역학 함수 및 에너지와 관련된 계산식에 사용 2) R= 0.082 atm*L/mol*K : 기체의 압력, 부피변환 및 농도와 관련된 계산에 사용 3) R= 29.27 kg*m/kg*K : 일량이 kg*m 로 SI단위를 쓰는 요즘에는 잘 안쓰임 4) R= 0.287 kJ/kg*K : 일반적으로 중량과 일량과 관계에서 사용되는 식 그런데, 질의하신 내용에서 0.287 kJ/kg*K 가 아닌 287 J/kg*K를 썼느냐? 는 질의시죠? 여기서, J=N*m, kJ=kN*m 이므로 원하는 단위인 유속(m/s)를 구하기 위해서는 1kJ=1000J=1000N*m로 계산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R= 0.287kJ/kg*K = 287J/kg*K = 287N*m/kg*K로 바꿔서 계산해야 합니다 그리고, 루트 안의 식은 N 이란 단위가 들어가면서 중력가속도와 모두 계산된 결과식이니 교재에 나온 공식대로 외우시면 됩니다. 3. 그런데, 공기의 기체상수 R 값을 287 J/kg*K로 쓰지 않고 주어진 식을 이용해서 풀어도 되겠습니다 Cp = (k/k-1)x R R = Cp /(k/k-1) = 1/(1.4/1.4-1) = 0.2857 kJ/kg*K = 285.7 J/kg*K = 285.7 N*m/kg*K 로 풀어도 되겠습니다. 위 문제에서 정압비열이 주어졌기 때문에 이렇게 푸는 것이 더 합리적인데 이렇게 풀면 375.78m/s가 나오는군요. 두 값의 차이는 없으니 위에 주어진 값으로 풀어도 무방하겠습니다. 나중에 보완 촬영시 지금처럼 두 가지 방법으로 풀어서 업로드 하도록 하겠습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언제든지 질의하여 주십시오 직장생활 하시면서 공부하시느라 힘드시겠지만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