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50416 | 380쪽 58번 단위 질문드립니다. | tys****** | 2023-06-17 | 6 |
속도를 묻는 문제인데 계산과정에는 루트에 2를 곱하고 엔탈피차를 곱하고 1000를 곱해서 답이 m/s로 나옵니다 1000은 KJ에서 J로 환산한 것 같고 .... 그럼 KJ/KG 곱하기 J/KJ 하면 답이 J/KG 밖에 안나오는데 어떻게 답이 m/s 단위로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
||||
50418 | [답변] 380쪽 58번 단위 질문드립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6-17 | 7 |
답변입니다) 1. 강의 중간 중간에 이런 종류의 계산에 대해 설영한 적이 있습니다 2. 속도 = 루트 2 x (엔탈피차) 로 계산했지만 이 공식은 속도 = 루트 2 x g(9.8m/s^2) x (엔탈피차)/9.8(N/kg)로 계산 하는데 이 경우 분자 분모의 9.8이 약분 되어 없어지기 때문에 단순히 속도= 루트 2 x (엔탈피차)로 계산한 것입니다 3. 계산을 상세히 풀어 보면 속도= 루트 2 x 9.8(m/s^2) x (3205-2994)(kJ/kg=kN*m/kg) /9.8(N/kg) x 1000(N/kN) = 루트 m^2/s^2 = m/s 로 나오게 됩니다 4. 따라서 이런 문제는 풀이 과정을 속도= 루트 2 x (엔탈피차)로 익혀서 빨리 풀수 있도록 적응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11 | 배기가스량 공식 질문 | tys****** | 2023-06-17 | 7 |
P.175쪽 159번이랑 P.480쪽에 1번이 같은 배기가스량 구하는 문제 인거 같은데 풀이과정이 좀 다른것 같아서요... 175쪽 159번은 22.4/58 을 곱하고 480쪽에 1번은 22.4/32를 더합니다. 그리고 1번은 A0값에 분모에 32가 곱하여 지는데 159번은 안 곱해집니다. |
||||
50415 | [답변] 배기가스량 공식 질문 | 김계호 교수 | 2023-06-17 | 12 |
답변입니다) 1. P175 159번 은 CmHn 의 탄화수소계열 연소반응식으로 생성화합물을 모두 계산한 후 표준체적 22.4Nm^3를 곱한 것입니다. 여기에다 부탄(C4H10)의 분자량 58로 나눈 것입니다. 2. P480 1번은 Gow = (1-0.21)Ao + 0.7S 공식에 대입한 것입니다 (여기서 S는 1kg이므로 그대로 0.7이 된 것입니다) (결국, 아래 식과 같은 것입니다) = (1-0.21)22.4/32*0.21+22.4/32 (22.4는 표준체적이고 32는 황의 분자량입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10 | p.371 특강필답형 230문제 32번 질문. | tys****** | 2023-06-17 | 7 |
관류율 단위가 Kcal/m^2 h C이고, Q=KA델타t 인데 어떻게 답인 열교환량 단위도 관류율 단위랑 똑같은 Kcal/m^2 h C인지 궁금합니다. |
||||
50414 | [답변] p.371 특강필답형 230문제 32번 질문. | 김계호 교수 | 2023-06-17 | 6 |
답변입니다) 1. 이 부분은 질의하신대로 kcal/m^2 h 가 맞습니다 2. 지난번 정오표로 위와 같이 수정해서 보내드렸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09 | 펌프의 회전수를 낮추면 케비테이션이 방지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tys****** | 2023-06-17 | 4 |
펌프의 회전수를 낮추면 케비테이션이 방지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
50413 | [답변] 펌프의 회전수를 낮추면 케비테이션이 방지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6-17 | 9 |
답변입니다) 1. 캐비테이션은 저압 형성으로 인해 생기는 펌핑(pumping) 곤란 상태를 의미합니다 2. 펌프의 회전수가 높으면 그만큼 유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유량의 증가는 유속이 빨라지며 이는 압력의 저하로 이어집니다. 3. 따라서 캐비테이션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펌프를 적정회전수로 낮추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08 | 에어포켓과 드레인 포켓 서로 다른 개념인가요? | tys****** | 2023-06-17 | 3 |
에어포켓과 드레인 포켓 서로 다른 개념인가요? | ||||
50412 | [답변] 에어포켓과 드레인 포켓 서로 다른 개념인가요? | 김계호 교수 | 2023-06-17 | 16 |
답변입니다) 1. 포켓(pocket)이란 평평한 관이나 덕트 중간 또는 끝에 주머니 형태로 단차를 주어 응축수나 먼지 등을 그곳에 떨어지도록 만든 것을 말합니다 2. 에어포켓(air pocket) 가마울림은 연료 속 수분에 의해 발생합니다. 연소용 공기 덕트 중간에 포켓이 있으면 수분이 모여 연료와 혼합되어 연소하면서 가마울림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덕트는 포켓이 없이 매끈한 것이 좋습니다 3. 드레인 포켓(drain pocket) 증기 배관은 증기가 이송되면서 외기와의 접촉등으로 일부는 응축수가 됩니다. 이것은 결국 부식 또는 수격작용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관의 중간 또는 단말부에 포켓을 만들어 주면 물이 그곳으로 떨어져 고이게 됩니다. 고인 응축수는 한번씩 밸브를 열어 밖으로 배출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4. 따라서, 포켓의 용도는 비슷하나 에어포켓은 제거하여 가마울림을 방지하고 드레인포켓은 설치하여 응축수를 배출해 줘야 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01 | 2022.4회 p711 질문 | tys****** | 2023-06-16 | 5 |
펌프 출구 엔탈피는 펌프에서는 단열변화 과정이므로..... 위에 뜻을 잘 이해를 못하겠는데 풀이해서 해석하면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펌프 출구가 보온을 해서 단열이 된다는 의미인가요? |
||||
50405 | [답변] 2022.4회 p711 질문 | 김계호 교수 | 2023-06-16 | 8 |
답변입니다) 1. 단열과정이라는 것은 외부와의 열이 출입이 차단된 상태란 의미입니다 2. 이 경우 일량 계산시 단열과정이므로 단열지수 k가 고려돼야 합니다 3. 랭킨사이클에서는 2개의 단열과정+2개의 등압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개의 단열과정은 급수펌프와 터빈에서의 과정입니다 4. 단열변화와 일반적인 등압, 등적 상태에서의 변화는 완전히 계산과정이 다르게 됩니다 단열과정에서는 등엔트로피 과정이기 때문에 dS=0 이 되기 때문입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나중에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00 | 2022.2회.p683 1번 질문 | tys****** | 2023-06-16 | 11 |
첨부화일 사진 보시면 r = pg 인데 약분하면 서로 단위가 맞지 않는 것 같아서요.. | ||||
50407 | [답변] 2022.2회.p683 1번 질문 | 김계호 교수 | 2023-06-16 | 9 |
답변입니다) 1. 1kgf=1kgx9.8m/s^2 = 9.8kg*m/s^2 이 됩니다 따라서 비중량(r)= kgf/m^3 = 9.8(kg*m/s^2)/m^3 = 9.8kg/m^2*s^2 이 나옵니다 2. r = pg에서 p*g=kg/m^3 x (9.8m/s^2) = 9.8kg/m^2*s^2 3. 따라서 r= pg 가 9.8kg/m^2*s^2 으로 같은 단위가 나오죠? 4. 증명하는 방법은 또 여러가지가 있습니다만 질문하신 내용에서 kgf는 힘의 단위이고 kg은 질량의 단위이기 때문에 힘의 단위로 하든지 질량의 단위로 하든지 하나로 통일해서 단위를 유도해야 합니다 5.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399 | 2020.4회. 연습문제 질문.p629 | tys****** | 2023-06-16 | 8 |
문제에 수평거리 25m는 그림으로 표현이 안되어 있는데 그림에 표현한다면 어디 부분이 수평거리 25m 인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