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50496 | [답변] 2023년 2회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단답형 문제에 대한 답 | dsh******* | 2023-07-22 | 41 |
확인 잘 하였습니다. 2차실기 첫번째문제는 627p 14번 2020년 4회 14번 문제가 숫자 까지 똑같이 출제 됨 -프로판가스 고위발열량 구하는것도 출제되었습니다. -공기예열기 출구 온도 내는것, -생각나는대로 올리겠습니다. |
||||
50499 | [답변] 2023년 2회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단답형 문제에 대한 답 | 김계호 교수 | 2023-07-22 | 26 |
감사합니다. 위에 계산문제를 복원하여 올렸습니다. 계산문제 중 우선 5문제를 확인하시고 기억나는 부분 있으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
||||
50491 | 필답형 예상500문제 479번 문제 질문있습니다. | z26**** | 2023-07-21 | 19 |
공기의 기체상수 R 값을 주어진 정적비열과 k값으로 구하면 안되나요? 그렇게 문제를 풀면 답이 달라지는데, 어떤 방식이 맞는 건가요? 1.4= Cp/Cv ?> Cp= 1.4*Cv = 0.2884 R = Cp -Cv = 0.2884 - 0.206 = 0.0824 kcal/kg?C |
||||
50494 | [답변] 필답형 예상500문제 479번 문제 질문있습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7-21 | 19 |
답변입니다) 1. 공기의 기체상수(R)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1) R= 29.27kg*m/kg*K 2) 0.287kJ/kg*K 3) 8.314kJ/kmol*K 4) 0.082atm*L/mol*K 를 단위에 맞게 이용합니다 2. 질의하신 K=CP/CV=0.0824 kcal/kg*C를 이용해 풀면 단위를 통일 시키기 위해 0.0824kcal/kg*C x 427(kg*m/kcal,열의일당량)를 적용해야 합니다 3. 위의 공식은 정형화된 공기의 기체상수이고 K=CP/CV로 계산하면 값의 차이가 있더라도 풀이과정은 이상이 없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89 | 필답500 164페이지 125번 이해가안되요 | ssl**** | 2023-07-21 | 11 |
20도 중유 비중 T도 일때의 비중 함수 80도일때의 부피 여기서 어떻게 20도일때 부피를 구하는지 생략된 유도과정을 전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함수에 20도를 대입하면 비중은 0.99로 20도일때 비중이라고 처음에 주어진 0.97과 두개가됩니다 |
||||
50492 | [답변] 필답500 164페이지 125번 이해가안되요 | 김계호 교수 | 2023-07-21 | 11 |
답변입니다) 1. 온도가 80도에서 20도로 변하면 부피는 작아집니다. 하지만 무게는 변함이 없겠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세부적으로 풀 수 있습니다 2. 참고) 1) 비중은 온도의 함수이다 2) 80℃의 중유 무게 = 20℃의 중유 무게 계산과정) 80℃의 중유 무게 = 20℃의 중유 무게 V80 x S80 = V20 x S20 12000x(0.97-0.00067(80-50))= V20x0.97 V20 = 12000x(0.97-0.00067(80-50) / 0.97 = 11751 L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 |
||||
50488 | 2018년 1회 5번 부하감소량 | ksw****** | 2023-07-21 | 11 |
강의에는 50000 x 1.24(전후 엔탈피차) 교재네는 50000 X 1.24x(엔탈피차)X(댐퍼개도율) 어느것이 맞는건가요? |
||||
50490 | [답변] 2018년 1회 5번 부하감소량 | 김계호 교수 | 2023-07-21 | 11 |
답변입니다) 1. 이 문제는 댐퍼개도율을 제외하는 것이 맞아 새로 교재 및 재촬영한 것입니다. 또한 요즘 단위가 kcal/h → kW 로 사용하기 때문에 거기에 맞춰 단위를 바꿔서 문제를 복원하였습니다 2. 지금 예전 교재를 가지고 계신 것 같아 2018년 1회 5번 문제 및 풀이를 올려 드립니다. 이 내용과 동영상 강의를 함께 보면서 정리 하시길 바랍니다. 결론적으로 냉동기 부하 감소량은 엔탈피차를 이미 적용하였기 때문에 개도율은 제외하여야 합니다 -2018년 1회 5번 - 5. 공장에서 동절기 기계열 때문에 공조 냉동기를 가동한다. 이 때 공조기의 외부 급기 댐퍼를 30%에서 70%로 변경했을 때 냉동기의 부하감소량은 몇 kW인가? (단, 외기온도 20℃, 공조기 통풍량 50,000m/h이고 * 변경전 실내온도 24℃, 상대습도 60%, 엔탈피 49.14kJ/kg * 변경후 실내온도 22℃, 상대습도 60%, 엔탈피 42.84kJ/kg * 공기의 평균밀도 1.24kg/m * 공조기 가동시간 3400h/년 * 공조냉동기 성적계수 COP(R) 3.5 참고) 1J/s = 1W, 1kJ/s = 1kW 계산과정) 냉방부하 감소량(W) = 송풍량×공기밀도×엔탈피차 = 50000m/h x 1.24kg/mx (49.14-42.84)kJ/kg = 390600kJ/h= 390600(kJ/h)/3600(s/h) = 108.5kW 3. 2022년 2회 12번 문제 및 풀이도 위와 대동소이 합니다. 함께 동영상 강의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2022년 2회 12번 - 12. 전공기방식으로 가동하는 공기조화기(AHU) 운전에서 동절기에 냉방부하가 발생 하여 실내온도를 27℃로 유지하고 있는데, 생산설비의 발열로 2중 덕트방식의 공기 조화기의 외기 유입 댐퍼의 개도율을 30%에서 70%까지 높여 외기 풍량을 증가 시킬 경우에 다음에 주어진 조건에 따라 냉방부하의 감소량은 몇 kW인지 구하시오 【보기】 * 공기조화기 송풍량은 52000m^3/h 이다 * 댐퍼 개도율 30% 상태에서 냉각코일 입구 건구온도 25℃, 상대습도 54% 일 때 공기엔탈피는 49.11kJ/kg 이다 * 댐퍼 개도율 70% 상태에서 냉각코일 입구 건구온도 22℃, 상대습도 54% 일 때 공기엔탈피는 44.21kJ/kg 이다 * 공기의 평균 밀도는 1.29kg/m 이다 * 공조냉동기 성적계수 COP(R) 은 3.5 이다 * 공조기 연간 가동시간은 3400h 이다 참고) 1. 외기냉방(ODAC : Outdoor air cooling) 공기조화기의 외기, 환기, 배기 댐퍼의 적절한 조작과 송풍기 팬 및 배기 팬으로 외기를 도입하여 냉방하는 에너지 절약제어 방식 1) 온도제어 건구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외기 도입량을 결정하나 습도가 높은 경우 냉방부하 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2) 엔탈피제어 외기도입량을 외기와 실내 엔탈피를 기준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외기댐퍼와 환기 댐퍼에 설치된 센서가 온도와 상대습도를 동시에 측정하여 엔탈피를 파악한다. 2. 외기냉방부하 공기질량×(실내엔탈피-외기엔탈피) 3. 외기냉방부하 감소량 : 엔탈피제어 풍량X밀도X(실내1엔탈피-실내2엔탈피) (공조기 도면은 동영상 편을 참조 바랍니다) 계산과정) 외기냉방부하 감소량 = 풍량X밀도X(실내1엔탈피-실내2엔탈피) = (52000m^3/hx1.29kg/m^3)x(49.11-44.21)kJ/kg = 328692kJ/h = 328692(kJ/h) / 3600(s/h) = 91.30 kJ/s = 91.30 kW |
||||
50486 | 랭커셔보일러 전열면적 | ssl**** | 2023-07-20 | 7 |
전열면적은 연소가스 기준이니까 노통보일러인 랭커셔는 내경기준이 아닌가요? 필답500 72번문제입니다 |
||||
50487 | [답변] 랭커셔보일러 전열면적 | 김계호 교수 | 2023-07-20 | 11 |
답변입니다) 1. 아래 랭커셔 보일러의 전열면적에 대한 똑같은 질문과 답변이 있어 그 내용을 캡쳐했습니다 * 질의하신대로 전열면적의 기준은 물과 연소가스가 접촉하는 경우 연소가스 닿는 곳이 기준이 됩니다 따라서, 가장 일반적인 보일러인 수관식과 (노통)연관식에서 수관식은 관 안에 물이. 관 밖에 연소가스가 직접 접촉하므로 외경 기준이 맞습니다. (노통연관식)은 관 안에 연소가스가, 관 밖에 물이 접촉하므로 내경 기준이 맞습니다. * 랭커셔는 내분식 이므로 내경 기준 아닌가? 우선, 코르니시 보일러와 랭커셔 보일러는 위에서 말하는 연관이나 수관 처럼 관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이것들 보다 훨씬 큰 노통(드럼)으로 된 노통보일러 입니다 코르니시 보일러는 큰 동체 속에 노통이 1개 설치되어 있고, 랭커셔 보일러는 노통이 2개 설치되어 있습니다 둘 다 외경 기준입니다 (큰 노통에서 내경과 외경의 기준은 위에서의 연관, 수관 처럼 구분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고 외경으로 외우면 됩니다) 코르니시는 노통이 1개 이므로 파이xDxL 랭커셔는 노통이 2개 이지만 전열면적은 코르니시의 2배가 아닌 설계값으로 약간 큰 4xDxL 입니다 2. 정리하자면, 랭커셔 보일러는 외경 기준으로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84 | 2014년 1회차 9번 | ksw****** | 2023-07-20 | 9 |
흡수식냉온수기 입열과. 출열차를 구하는. 문제인데 교재엔 증발열 5553,응축열5610,흡수열7532,재생열 7687 입니다 교재의풀이과정 (증발기+응축기+흡수열)-재생열 = 11008kj 동영상 (증발기+재생기)-(응축기+흡수기) = 98kj 동영상과 교재의 풀이과정과 답이 상이하여 문의드립니다 |
||||
50485 | [답변] 2014년 1회차 9번 | 김계호 교수 | 2023-07-20 | 14 |
답변입니다) 1. 전에 풀이과정 등을 재촬영 하였는데 변경전 교재를 가지고 계신 것 같습니다 2. 새로 바뀐 교재 내용을 먼저 올려 드리겠습니다 - 2014년 1회 9번- 9. 흡수식 냉온수기 증발열 5553kJ, 응축열 5610kJ, 흡수열7532kJ, 재생열 7687kJ일 때 입열량과 출열량의 차는 몇 kJ인지 구하시오 참고) 입열과 출열 구분 1. 흡수식 냉동기 1) 입열 : 증발기, 재생기 2) 출열 : 응축기, 흡수기 2. 히트펌프 1) 입열 : 증발기, 압축기, 팽창밸브 2) 출열 : 응축기 계산과정) = 입열-출열 = (증발열+재생열)-(응축열+흡수열) = (5553+7687)-(5610+7532) = 98kJ 3. 흡수식 냉온수에서 입열과 출열로 구분하는 것은 가열과정과 냉각과정으로 구분하는데 그 기준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1) 증발기 냉매가 액체→기체로 증발되면서 주변열을 흡수해 냉각효과 발생 2) 흡수기 흡수제(LiBr)가 냉매(H2O)를 흡수하면서 열을 발생 3) 재생기 외부에서 열을 공급해 흡수제와 냉매를 분리(냉매는 기화되어 흡수제만 남음) 4) 응축기 냉매가 기체→액체로 응축되어 주변으로 열을 방출하여 가열효과 발생 따라서, 입열(냉각) : 증발기, 재생기 출열(가열) : 흡수기, 응축기 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사이클로 표시하면 증발기 → 흡수기 → 재생기 → 응축기 → (팽창변) → 증발기 (흡수제+냉매:열발생) (냉매분리:냉각) (기체→액체:가열) (냉방열에 이용: 냉각)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4. 따라서 현재의 동영상이 맞는 내용이고 그에 따른 풀이과정은 바뀐 교재 내용인 위 내용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남은 시간 정리 잘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81 | 필답500 40번 질문입니다 | ssl**** | 2023-07-19 | 4 |
저위발열량 구하는 부분에서 메탄 16kg 중에 탄소는 12로 나누고 수소는 2로 나눈게 이해되지가 않습니다 Kg 단위라면 4로 계산하는게 아닌가요 |
||||
50483 | [답변] 필답500 40번 질문입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07-19 | 4 |
답변입니다) 1. 메탄(CH4)의 kg당 저위발열량을 계산하는 과정은 1) 메탄(CH4)이 발열량은 C 와 H4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즉, CH4 = C(분자량 : 12) + H4(분자량 : 4) 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2) 그런데 둘은 C = 12/(12+4), H= 4/(12+4)의 비율을 각각 갖습니다 3) 그런데 단위중량당 열량은 지문에서 제시한 조건 중 C + O2 = CO2 + 360MJ 12kg 360MJ 1kg 360/12 (MJ/kg) H2 + 1/2 O2 = H2O + 280MJ 2kg 280MJ 1kg 280/2 (MJ/kg) 질의하신 내용은 탄소는 12(kg)으로 나누고, 수소는 2(kg)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2. 이 값을 위 비율값과 곱하면 됩니다 정리하면, 멘탄의 저위발열량 = 탄소 발열량 + 수소발열량 = (12/(12+4) x 360/12) + (4/(12+4) x 280/2) = 57.5MJ/kg 이 됩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남은 시간 잘 정리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479 | 중공구,원형관,중공원관 공식의 차이점 및 구별방법 | ktf**** | 2023-07-16 | 11 |
특강 230문제 중 162번 ,212번 ,그리고2010 과년도2회 11번 에서 중공구, 중공원관,원형관이 나오는데, 세문제 전부 길이 L은 없습니다. 그런데, 저는 중공구는 4파이로,중공원관은 2파이로,풀려고 했는데, 원형관은 다시 4파이로 해설이 나오니, 기준 잡기가 힘듭니다. 저의 궁금증을 풀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