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51101 | [답변] % 적용 할때 의미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 | 김계호 교수 | 2025-02-02 | 11 |
답변입니다) 1. %는 백분율을 의미하므로 질의하신대로 80%인 경우 0.8로 계산해야 합니다 예) 탄소 87%, 수소 10%, 황 3%의 중유가 있다. 이 때 중유의 탄산가스최대량 (CO)max는 약 몇 %인가? 풀이) God= 8.89C+21.07(H-)+3.33S+0.8N = 8.89×0.87+21.07×(0.1)+3.33×0.03 = 9.94 Nm^3/kg (~이하 생략) 이 경우, 탄소 7%는 0.87로, 수소 10%는 0.1로 계산합니다 2. 그러나 % 계산에서 전체 값을 100으로 주어진 경우에는 % 값을 그대로 적용해야 합니다 예) 체적비로 메탄이 15%, 수소가 30%, 일산화탄소가 55%인 혼합기체가 있다. 각각의 폭발 상한계가 다음 표와 같을 때, 이 기체의 공기 중에서 폭발 상한계는 약 몇 vol%인가? 폭발상한계(vol%) 메탄 : 15% 수소 : 75% 일산화탄소 : 74 풀이) 폭발 상한계(L2)= 100/(15%/15)+(30%/75)+(55%/74) = 46.658 vol% 폭발상한계에서 메탄15%+수소30%+일산화탄소55%= 100%인데 분자는 전체값 100으로 계산했으므로 수소30%는 0.3으로 계산하지 않고 30으로 계산한 것입니다 (메탄도 마찬가지로 15, 일산화탄소는 55)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1094 | 에너지관리기사 24년 실기 2/4 회차 문제 | JUM**** | 2025-01-20 | 13 |
안녕하세요 24년에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교재 구입 후 수강중에 있습니다 24년도 2/4회차 실기 문제를 다운 받을 수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 교재에는 24년도 1회만 수록되어 있어서요... |
||||
51096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24년 실기 2/4 회차 문제 | las****** | 2025-01-20 | 16 |
안녕하세요. 에디스트입니다. 2회차, 4회차 메일로 전송완료 하였습니다.!~ PC홈페이지상에서는 강의실 상단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
51091 | 정리가 되질 않는것 같습니다. | bod***** | 2025-01-09 | 22 |
문제에는 이론이라고 나와있고 풀이에는 실제습연소가스량GW로 풀이 되어 있습니다. 어떻게 이해하면 되나요? 교제에 따라 단어들이 너무 헷갈립니다. 어떻게 정리하면 될까요? 이론이지만... 공기비가 있기 때문에 (m-1)실제습연소가스량으로 풀이 해야만 하는 것이 맞는지요? |
||||
51092 | [답변] 정리가 되질 않는것 같습니다. | 김계호 교수 | 2025-01-10 | 24 |
답변입니다) 1. 문제에는 이론이라고 나와있고 풀이에는 실제습연소가스량GW로 풀이 되어 있습니다. 어떻게 이해하면 되나요? : 문제에서의 이론은 이론연소온도를 의미하고, 전체연소량은 공기비가 주어진 경우 무조건 실제습연소가스량으로 풀면됩니다. 만약, 문제에서 수분을 제외한 가스량 또는 건연소가스량으로 구하라고 주어진 경우 건연소가스량으로 풀면 되고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습연소가스량(습배기가스량)으로 풀면 됩니다 2. 공기비가 있기 때문에 (m-1)실제습연소가스량으로 풀이 해야만 하는 것이 맞는지요? : 그렇습니다. 공기비가 주어지지 않으면 이론습연소가스량으로 풀면 되고, 공기비가 주어지면 무조건 실제습연소가스량으로 풀어야 합니다 3. 이론습연소가스량과 실제습연소가스량의 차이는 과잉공기량에 의한 구분이기 때문에 공기비가 주어지느냐, 그렇지 않느냐의 차입니다 4. 질의하신 자료 중 이론연소온도와 실제연소온도의 차이는 연소실에서 연소하는 전열량은 대부분이 연료의 연소열에 의한 저위발열량(Hl)입니다, 이것만 가지고 계산한 것이 이론연소온도입니다. 그런데, 엄밀히 말해서 연소실에서 연소하여 발생하는 열량은 연료에 의한 저위발열량 말고도 연료자체가 예열하여 가지고 들어오는 현열, 찬공기가 그대로 들어오는 것보다 예열해서 들어 오는 경우의 공기현열 등이 있는데 이는 연료의 저위발열량 보다 현저히 작지만 모두 고려하여 계산한 것이 실제연소온도 입니다 5. 처음 공부하시면 단어나 용어들이 헷갈리실겁니다. 몇 번씩 접하다보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꼭 합격하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1089 | 연소일반)2-3 연소가스 발생량 공식정리 영상참고에서 | akg***** | 2025-01-01 | 14 |
연소일반)2-3 연소가스 발생량 공식정리 동영상하고 책이 다르기는 한데 정리해주신 부분 혹시 결과값만 외워서 해도 될까요??너무 복잡해서.. p287~ 공기비(m) 영상(공식정리) |
||||
51090 | [답변] 연소일반)2-3 연소가스 발생량 공식정리 영상참고에서 | 김계호 교수 | 2025-01-02 | 14 |
답변입니다) 1. 연소가스 발생량 공식이 몇 가지로 나누어 져 있는데, 이는 어느 것으로 계산해도 값은 동일하게 나옵니다 2. 공기비에 관한 공식도 마찬가지 입니다 3. 외우시기에 편한 것을 정해서 외우시면 됩니다 4. 공식 유도과정은 굳이 몰라도 되겠습니다. 결과값만 외우셔도 됩니다 5. 연소공학이 화학적 반응에 의한 공식이다보니 좀 복잡합니다. 하지만 공식은 꼭 암기해야 합니다 자신에 맞는 공식을 외워서 문제를 다양하게 풀어 보시면 되겠습니다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1085 | 이론책 연소일반에서 버너의 종류와 특징중... | akg***** | 2024-12-28 | 11 |
유압분무식에서 유량조절 범위는 1:2정도로 가장 좁다라는데 영상에서는 1:3으로 적으셨습니다. 어떤게 맞는건가요?? 음성으로는 대략 2.5~3이 적당하는 말씀도 하셨습니다. | ||||
51086 | [답변] 이론책 연소일반에서 버너의 종류와 특징중... | 김계호 교수 | 2024-12-29 | 17 |
답변입니다) 1. 유압분무식은 버너 중 유량 조절범위가 가장 좁습니다. 보통 1:2.5 안팎입니다. 1:2 또는 1:3 어느 것이나 다 해당됩니다. 수치에 너무 연연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2. 반대로 고압류식 같은 경우는 1:10 정도로 가장 넓습니다. 3. 회전식 같은 경우는 1:5 정도 입니다. 4. 따라서 유압분무식이 보시는 것 처럼 버너 중 조절범위가 가장 좁으며 범위는 1:2 또는 1:2.5 정도(1:3 정도도 맞습니다)로 외우시면 무난합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1077 | 연소공학 분자식 질문드립니다. | ypk****** | 2024-12-11 | 15 |
교수님! 강의 도중에 이해가 잘 안되어 질문드립니다. 분자식 C8H18(옥탄) + 12.5 O2가 되는데 12.5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알려 주십시요?? 밤에 질문드려 죄송합니다. |
||||
51079 | [답변] 연소공학 분자식 질문드립니다. | 김계호 교수 | 2024-12-11 | 32 |
답변입니다) 1. 탄화수소계열(CmHn)은 주로 연료로 사용되는 것으로 완전 연소하면 산소와 결합한 후 C02와 H20을 발생하며 반드시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2. CmHn + (m+n)/402 = mC02 + (n/2)H20 로 됩니다 3. 질의하신 옥탄의 경우 위 공식에 대입하면 C8H18 + (8+18)/402 = 8CO2 + (18/2)H20 이므로 정리하면 C8H18 + 12.502 = 8C02 + 9H20 로 나옵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꼭 합격 하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1081 | [답변] 연소공학 분자식 질문드립니다. | ypk****** | 2024-12-12 | 13 |
교수님!!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
51067 | 에너지관리기사 이론 문제 계산기 절차 문의 | ypk****** | 2024-11-18 | 33 |
안녕하세요~!! 열관리 29번 문제) 200kpa, 500L 1KG의 공기를 일정온도 상승상태에서 압축하는데 120KJ이 소모되었다면 공기의 최종 압력은 몇 KPa인가? 강의 시간에 교수님께서 설명해 주셨는데 혼자 계산기 해보니 도저히 답이 나오질 않습니다. 계산기 입력절차를 자세히 알려 주세요?? 그리고 계산기에 INV버튼이 없는데 어느 것을 눌러야 하는지요?? |
||||
51068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이론 문제 계산기 절차 문의 | 김계호 교수 | 2024-11-18 | 42 |
답변입니다) 먼저, 교재 풀이 중에서 다음과 같이 식을 나열했습니다 -120 = 200 x 0.5 ln200/x 계산기 강의 내용은 CASIO fx-570ES PLUS를 기준으로 했습니다. 따라서, 위 계산기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120 = 200 x 0.5 ln200/x 을 계산기에 그대로 입력합니다 -120 → ALPHA → = (계산기 밑의 = 이 아니라 위 2번째의 붉은=입니다) → 200x0.5 → ln →ㅁ/ㅁ(위에서 3번째 좌측 분수버튼) → 200 → REPLAY ∇ → ALPHA → X(위에서5번째 붉은X 버튼) 2. 이렇게 되면 위식과 똑같이 됩니다(확인 후) 3. SHIFT (맨위 좌측 버튼) → SOLVE(위에서 2번째 좌측 버튼) → = (맨 아래 우측버튼) 4. 방정식을 풀 때에는 항상 식을 똑같이 만든 후 어떤 식이든 위처럼 SHIFT (맨위 좌측 버튼) → SOLVE(위에서 2번째 좌측 버튼) → = (맨 아래 우측버튼)을 누르면 조금 기다리면 답 664.02가 나옵니다 천천히 해보시고 안되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안되면 전화를 통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1069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이론 문제 계산기 절차 문의 | ypk****** | 2024-11-18 | 20 |
교수님!! 감사드립니다. 해 보고 안되면 다시 질문 드리겠습니다. 좋은 하루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