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50716 | [답변] 열역학 예제 1 단위 환산 | 김계호 교수 | 2023-11-09 | 27 |
답변입니다) 1. W= P(V2-V1) = 20N/cm^2 x (2-4)m^2 가 됩니다 2. 주어진 압력의 값에서 cm^2과 m^2를 곱하기 위해서는 cm^2 → m^2으로 환산해야 합니다 3. 압력 값을 단계별로 계산하면 20N/cm^2 = 20N /(1/100)^2 m^2 = 20N / 10^-4 m^2 = 20 x 10^4 N/m^2 4. W= P(V2-V1) = 20 x 10^4 (N/m^2) x (2-4)m^3 = -4x10^5 N*m = -400000N*m 가 됩니다 5. 이를 좀더 정리하면 -400000J = -400kJ로 바꿀 수 있습니다 6. 처음 이런 문제를 접하다보면 혼동을 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이 잘 구분해야 합니다 (cm가 1/100m 인데 1cm^2=1/(100)x(100)m^2 = 1/10000m^2 이 되면서 이 단위가 분모에 들어가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변하는 것입니다) 1) 20N*cm^2 = 20 x 10^-4 N*m^2 2) 20N/cm^2 = 20 x 10^4 N/m^2 천천히 읽어 보시고 그래도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열역학에서 이런 유형의 단위가 계속나옵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712 | 실기4차1번 유사문제 | dsh******* | 2023-11-08 | 22 |
11/5일 실기 1번문제(2011년제1회3번문제와 유사함) 단 폐열회수율이 70%에서 75%로 변경 된듯 합니다. |
||||
50714 | [답변] 실기4차1번 유사문제 | 김계호 교수 | 2023-11-08 | 27 |
답변입니다) 1. 2011년 1회 3번 문제와 유사하다면 단위가 kcal → kW로 바뀌었을 것 같습니다 2. 이 문제는 기억하고 있는 분들이 거의 없었는데 일단 단위를 위와같이 바꿔서 복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폐열회수율을 70% → 75%) |
||||
50709 | 실기4차 2번문제 | dsh******* | 2023-11-08 | 23 |
11월05일 에너지관리기사 실기2번 열매체이송시 주변온도 최고몇도 C*로 하는가? 답 40도 |
||||
50710 | [답변] 실기4차 2번문제 | 김계호 교수 | 2023-11-08 | 27 |
답변입니다) 1. 주변온도를 기준으로 하는지 또는 설비를 기준온도로 하는지에 따라 답이 달라집니다 2. 본교재 2018년 4회 12번 문제와 관련 연습문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18년 4회 12번 문제 문제) 열매체 이송 시 주변 온도는 최고 몇 ℃로 하는가? 참조) 1) 보일러 입·출구 온도차는 보일러 및 펌프의 용량에 비해 사용 열량이 크거나 열매 순환펌프의 용량이 적을 때 발생한다. 보일러 입·출구 온도 차가 40℃가 넘을 때 순환펌프의 이상여부를 체크해야 한다 2) 열수송시설 계획 시 설계상 주위 공기의 최고온도는 40℃로 하고 최저 -20℃로 한다 (KSD 31 90 25 국토교통부 지역난방설계) 답) 40℃ 연습문제1) 열수송 및 저장설비의 평균온도의 목표치는 주위온도에 몇 ℃ 를 더한 값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참고) 산업통상자원부고시 제2018-135호 열수송 및 저장설비의 평균온도의 목표치는 주위온도에 30℃ 를 더한 값 이하로 하여야 한다 답) 30℃ 연습문제2) 보일러 외벽의 온도는 주위온도보다 몇 ℃를 초과해서는 안되는가? 답) 30℃ 3. 따라서 이번에 출제된 내용이 어느 문제에 해당되는지 위 내용과 잘 비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꼭 시험에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711 | [답변] 실기4차 2번문제 | dsh******* | 2023-11-08 | 18 |
교수님 답변글을 보니 연습문제 1번이 정답 인듯합니다.(주변온도 기준으로 기억됩니다.) 답30도 |
||||
50713 | [답변] 실기4차 2번문제 | 김계호 교수 | 2023-11-08 | 19 |
답변입니다) 주변온도로 나왔다면 30도가 맞을 것 같습니다 |
||||
50691 | 4회차 에관기 실기보고 왔는데 내화물, 수관식보일러 장점 질문있습니다. | ksw****** | 2023-11-07 | 70 |
내화벽돌을 주원료에 따른 종류 6가지 쓰시오 1. 돌로마이트, 2. 크롬 마그네시아. 3. 마그네시아. 4.규석질. 5.샤모트. 6 산성알루미나 이렇게 6개 적었습니다. 근데 책을 보니까 끝에 항상 '질' 이라는 명칭이 붙더라구요. 근데 제가 질을 안붙이고 답안을 제출했는데 정답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가요? 그리고 산성알루미나라는 벽돌의 재질이 있나요? 실기 이론 강의 내용 중에 '산성 알루미나'라고 교수님께서 언급 하신거 기억나서 적었거든요 고알루미나질의 화학성분이 알루미나에 규소질이 혼합되어 '산성 알루미나'로 정답으로 인정 받을 수 있을까요? 2. 수관식 보일러의 장점 1. 고압대용량 적합 2. 보유수량이 적어 파열시 피해가 작음 3. 전열면적이 넓고 열효율이 높음 4. 외분식으로 연소실 개조가 용이 이렇게 적었습니다. 외분식으로 연소실개조가 용이하다 <- 이것도 수관식보일러의 장점인가 궁금합니다. 필기 공부할때 원통형 vs 수관식 비교하는 매트릭스에 그런 내용이 있었던 기억이 났는데.. 실기 교재엔 외분식으로 연소실 개조가 용이하다 라는 답안은 없어서요 ㅠ 답변 부탁드립니다 교수님!^ |
||||
50692 | [답변] 4회차 에관기 실기보고 왔는데 내화물, 수관식보일러 장점 질문있습니다. | 김계호 교수 | 2023-11-07 | 51 |
답변입니다) 1. 그동안 시험 준비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2. 내화벽돌 종류 6가지 1) ~질 이란 의미는 재질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답안지에 ~질을 안붙여도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2) 5개는 완벽하고 고알루미나를 산성알루미나로 썼네요. 고알루미나는 중성내화물이라 이것은 채점관의 재량에 따라야 할 것 같습니다(적어도 5/6는 배점 받겠습니다) 3. 수관식 보일러의 장점 중 외분식으로 연소실 개조가 용이하다는 가장 수준 높은 답이라고 판단합니다. (노통연관식 같은 내분식 보일러는 연소실 개조가 곤란하지만 수관식 같은 외분식 보일러는 전열면적 증대를 위한 연소실 개조 또는 위치변경 등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점이 됩니다) 나머지 수관식 보일러의 장점에 대해 쓰신 답안은 완벽합니다. 4. 현재 문제를 복원 중에 있습니다. 복원이 완료되는대로 신속히 up-load 하겠습니다 모쪼록 꼭 시험에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677 | 김계호 교수님게 | yb8*** | 2023-11-02 | 42 |
교수님 항상 감사드립니다 과년도 문제587페인지8번 풀이과장에서 왜 d로나누워는지 2파이길이 (T1-T2)곱해서나누기(열전도율분에1곱하고 Inr1분에r2) 산식으로 풀면 않되나요 |
||||
50678 | [답변] 김계호 교수님게 | 김계호 교수 | 2023-11-02 | 36 |
답변입니다) 1. 필답형 계산문제를 풀다보면 꼭 한 가지 방법이 아닌 다양한 방법으로 풀 수 있습니다 2. 이 문제도 교재에 나와있는 방법 말고 질의하신대로 풀어도 답은 동일하게 나오니 자신에게 편한 풀이법으로 풀면 되겠습니다 3. 남은 기간 건강관리 잘하셔서 시험에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675 | 김계호 교수님게 | yb8*** | 2023-11-02 | 21 |
교수님 과열기 재열기 절탄기 공기예열기 중 헌열과잠열 가능한 것은 잠열만 가능한것은 답변 부탁 합니다 감사 합니다 |
||||
50676 | [답변] 김계호 교수님게 | 김계호 교수 | 2023-11-02 | 21 |
답변입니다) 1. 폐열회수장치 중에서 1) 현열이용 : 과열기 재열기, 절탄기, 공기예열기 2) 현열+잠열 이용 : 과열기, 재열기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50672 | 11년 2회 5번에서 | ssl**** | 2023-11-01 | 21 |
총발열량이란 개념 고온측으로부터 빼앗긴 열량이란 말이 이해가 안됩니다 풀이와 답으로 미루어보면 총발열량이 입력열량 고온으로부터 빼았겼다는건 손실열인데 이해가 좀 어렵습니다 |
||||
50673 | [답변] 11년 2회 5번에서 | 김계호 교수 | 2023-11-01 | 21 |
답변입니다) 1. 카르노사이클은 등온팽창상태에서 열이 공급되고(고온: 300도씨), 등온압축상태로 열이 방출(저온: 20도씨)됩니다 2. 이 과정에서 공급열(고온)과 방출열(저온)사이에 형성된 T-S선도상의 사각형은 순수한 일량(Work)이 되는 것입니다. 이는, 순수일량= 공급열-방출열(손실열)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3. 여기서, 카르노사이클의 효율은 (교재에서) 49% 나왔습니다. 이는, 100kJ의 발생열 중 순수한 일을하는데 49kJ이 소요됐다는 의미이고, 나머지, 100-49 = 51kJ은 손실열이란 의미입니다 4. 따라서, 고온측으로부터 빼았겼다는 말은 질의하신 것처럼 공급열을 받아 순수한 일을 하고 나머지 방출된 손실열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천천히 읽어 보시고 이해가 안되시면 다시 질의하여 주십시오 -에너지관리 김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