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7432 | 질문드려요 | sni*** | 2021-02-01 | 1855 |
교제 p528 에 원통형보일러의 수면계부착위치 2번에 직립형 연관보일러: 연소실천장판 최고부위,연관길이1/3으로 되어있고 교제 p 585 에 2)안전저수위에 2)직립형 연관보일러:화실관판최고부위 연관길이 1/3 으로 되어있는데 p585 에 있는게 맞는 말인 가요? |
||||
47433 | [답변] 질문드려요 | 김계호 교수 | 2021-02-01 | 1855 |
답변입니다) 1. 둘 다 맞는 말입니다. 안전저수위와 수면계하단은 항상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2. 동영상 강의에 보면 전부 75mm로 외우고, 노통 윗면이 높은 것만 100mm로 외우면 됩니다. 3. 그 외 문제는 시험문제에 나온 적이 없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435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필답형 2010년3회차 1번 ,10번 | ebo**** | 2021-02-01 | 1855 |
감사합니다 | ||||
47429 |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필답형 2010년3회차 1번 ,10번 | ebo**** | 2021-02-01 | 1855 |
1.같은 이론 습배기가스량을 구하느데 공식이 다르네요 11.2H를 수식에 포함할때 , 안할때 구분이 안됩니다 2. 그리고 교재에서 배울때는 이론 습배기가스는 8.89C *37.87(H-O/8)+3.33S+0.8N+1.244W 인데 여기서 풀때는 (1-0.21)*이론공기량+1.867C+0.7S+0.8N2+1.244(9H+W) 의 공식을 사용하네요 물론.각각 답은 다르구요 교재에서 배운 실제 습배기가스량 공식=(m-0.21)*이론공기량+1.867C+0.7S+0.8N2+1.244(9H+W) =10.46이 나오구요 혼란이 옵니다.. 설명 부탁 드립니다 |
||||
47431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실기 필답형 2010년3회차 1번 ,10번 | 김계호 교수 | 2021-02-01 | 1855 |
답변입니다) 1.질의하신 두 식 중 8.89C+37.87(H-O/8)~식은 G0w = (1-0.21)A0+1.867C+0.7S+0.8N2+1.244(9H+W) 에서 A0 = 8.89C+26.67(H-O/8)+3.33S를 위 식에 대입하여 푼 결과식입니다. 따라서 이 교재에서는 습배기 가스량에 관한 계산문제는 전부 G0w = (1-0.21)A0+1.867C+0.7S+0.8N2+1.244(9H+W) 식으로 플었으니 이 공식으로 외우시면 되겠습니다. 2. 그리고 11.2H는 1.244(9H+W)에서 식을 전개하여 11.2H+1.244W로 만든 후 계산 한 것입니다. 3. 따라서 안내한 위 공식으로 외우셔서 문제를 풀면 이상이 없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367 | 교재 317p 4번 문제 | ebo**** | 2021-01-05 | 1855 |
교재 312p 경사관식 압력계 P1=P2+ rxsinθ 인데 교재 317p 4번문제에서는 P1+rh=P2, P1+rxsinθ =P2 로 풀이하는데 이해가 안되네요..설명 부탁 드립니다 |
||||
47368 | [답변] 교재 317p 4번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1-01-05 | 1855 |
답변입니다) P312에 대한 설명은 P1과 P2가 바뀌었습니다. 이 부분은 잘못되어 다시 촬영토록 하겠습니다. P317 4번 문제풀이는 맞습니다. 따라서 P317 의 4번 문제로 정리해 주십시오 P312부분은 빠른 시간 내 재촬영토록 하겠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361 | 질문 합니다 | sni*** | 2021-01-01 | 1857 |
문제집 p185 45번문제 2018년도1회 입니다, 축마력식에서 75가 뜻하는것과 60이 뜻하는게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 ||||
47362 | [답변] 질문 합니다 | 김계호 교수 | 2021-01-01 | 1857 |
답변입니다) 우선 풀이과정을 자세히 설명토록 하겠습니다. 풀이에서 850(m^3/min)*42(mmAq)에서 mmAq=kg/m^2 입니다 따라서 850(m^3/min)*42(kg/m^2) = 35700kg*m/min 이 됩니다 여기서 축마력(PS)를 구하려면 1PS=75kg*m/s입니다. 따라서 분자에 있는 단위는 분당(min)이므로 1분(min)=60초(s) 입니다. 그리고 하나 고려할 것은 송풍기 축동력은 송풍기 효율이 떨어질수록 용량이반대로 커져야 되겠죠? 따라서 효율 0.65를 분모에 놓고 나눠 줘야 합니다 이제 정리하면 축마력(ps) = 850(m^3/min)*42(kg/m^2) / 75(kg*m/s)*60(s/min)*0.65 = 12.2 PS 입니다 천천히 풀이 과정을 확인해보시고 이해가 안되면 다시 질의 해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357 | 질문드려요 교수님 | sni*** | 2020-12-31 | 1855 |
p867 38번 풀이에서 3x1x(23.35-320) 인데 제 머릿속은 3X1x(320-23.35) 로 계산되는데 뭐 떄문인지 설명 부탁드려요 그리고 p872에 74번 LMTD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동영상에서는발음이제대로 들리지 않습니다 |
||||
47358 | [답변] 질문드려요 교수님 | 김계호 교수 | 2020-12-31 | 1855 |
답변입니다) 1. 주어진 문제 조건에서 초기온도(T1)=320도씨에서 최종온도(T2)= 23.35도씨로 계산이 나왔습니다. Q=G C dT에서 온도차는 큰것에서 작은 것을 빼는 것이 아니라 나중온도에서 처음온도를 빼야 합니다 그러므로 dT=T2-T1 = 23.35-320로 계산해야 합니다. 그 값이 -가 나오면 방출열량이 되고 +가 되면 흡열열량이 됩니다 2.LMTD는 Log Mean Temperature Difference로 대수평균온도차라 합니다 평균온도를 계산할 때 일반적으로 (처음온도+나중온도)/2 로 하지만 열교환기 또는 굴뚝처럼 열이 흐르는 상태에서의 평균온도는 구하기가 사실상 곤란하므로 LMTD 즉 대수평균온도차를 구하여 계산합니다. 공부하다가 이해가 안되는 내용이 있으면 언제든지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352 | 교수님 질문드려요 | sni*** | 2020-12-29 | 1855 |
p859 사진첨부해요, 70번 풀이에 보면 비동력식에 급수량조절 곤란이라고 되어 있는데 보기4번은 급수량조절이 용이 한데 답은 2번인게 이상합니다. | ||||
47354 | [답변] 교수님 질문드려요 | 김계호 교수 | 2020-12-29 | 1855 |
답변입니다) 인젝터의 질문 중 옳은 것을 찾는 것입니다. 문제를 읽고 순간적으로 착각한 건 아닌지요? 인젝터는 간략히 정리하면 정전 시 보일러에 남아있는 증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급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급수장치입니다. 증기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비동력식이고, 손바닥만한 장치이기 때문에 급수량을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급수온도가 55도씨 이상이면 사용이 곤란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2번이 정답입니다. 혹시 원하는 답변이 아니면 다시 질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347 | 2015년 9월19일 50번 문제 | ebo**** | 2020-12-25 | 1855 |
계측방법 종류에 대해서 교과서를 봐도 문제의 답을 찾을수가 없네요 다이얼게이지이용 하면 편위법 정확한기준과 비교 측정이면 영위법 그런데 정작 해답은 치환법 이네요 (치환법-분동을 대치) .. 혼동이 오는데 다시한번 문제 위주로 해설부탁드립니다 |
||||
47349 | [답변] 2015년 9월19일 50번 문제 | 김계호 교수 | 2020-12-26 | 1855 |
답변입니다) 아무래도 이 문제는 현장 경험이 없는 분들에게는 좀 어려울겁니다. 먼저 다이얼게이지는 길이를 측정하는 기기지만 비교측정기 입니다. 쉽게 얘기하자면 기준값에 대한 편차량을 측정하는 측정기입니다. 우리가 줄자로 길이를 측정하면 예를들어 5mm 이렇게 측정을 하지만 다이얼게이지는 5mm에서 +3마이크로미터를 벗어 난 경우 +3마이크로 미터를 읽는 것입니다. 즉, 다이얼 게이지는 길이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길이를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평면의 요철, 중심축의 흔들림 등을 검사하는데 사용하는 비교측정기입니다. 따라서 다이얼게이지가 하나의 기준이 돼서 이를 기준으로 비교측정하여 오차 또는 편차를 제거하는 방법은 치환법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다이얼게이지를 통하여 편차량을 직접 읽는 것은 편위법에 해당됩니다. 쉽게 정리하자면 산업현장에서 수많은 똑같은 제품을 가공할 때 다이얼게이지를 설치해놓고 생산해 낸 제품이 기준값 범위 내에 들어가는 지 합격 불합격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여 제품을 검수할 때 이는 치환법이 되는 것이며, 그값을 측정값으로 읽는다면 이는 편위법의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분동도 마찬가지입니다. 압력계를 오래 사용했을 때 변형이 되어 계속사용 가능한지 알기 위해서 압력계를 검사하는 표준압력계를 분동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분동과 비교하는 것은 당연히 치환법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영위법은 마이크로미터와 같이 아주 정밀한 곳에 적용하는 측정법입니다 -열심히 하셔서 꼭 합격하시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