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ID/PW찾기
실시간문자상담
* 연락처
게시판
공지사항
1:1 학습문의
일시정지 요청
합격후기 게시판
>
동영상 관련 문의
교육상담
02-812-5669
365일 운영 10:00 ~ 24:00
기술지원센터
02-812-4035
1:1원격지원
입금계좌
078-209658-04-010
기업은행 (예금주 : 최정원)
학습문의 전체게시판
홈 > 게시판 > 에너지관리기사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에너지취급기능사
과정안내 및 수강신청에 대한 궁금한 내용을 남겨 주세요. 학습질문 및 학습자료 요청은 수강중인 회원님께 제한됩니다.
교수님에게 직접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47793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42번 질의 김계호 교수 2021-04-17 1855
답변입니다)
1mmH2O = 1kg/m^2입니다.

여기서 P는 압력을 의미하는데 52mmH2O를 52kg/m^2로 바꿔서
계산한 것입니다.
풀이 과정을 잘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7779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24번 질의 h11**** 2021-04-15 1855
증기발생량을 구하는 공식을 간략히 설명해주셨는 데 이해하기가 다소 어려워서 좀 더 알기 쉽게 설명부탁드립니다^^
특히, 공식의 분자가 775.1 kj/kg (1MPa에서 포화수 엔탈피) - 636.6 kg/kg (0.4MPa에서 포화수 엔탈피)로 되어 잇는데
이 부분이 특히 이해가 잘 안되어서요! 
답글 수정 삭제
47780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24번 질의 김계호 교수 2021-04-16 1855
답변입니다)
이 문제는 에너지관리 실기 시험 중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입니다.

먼저, 재증발기란 고온의 응축수(포화수상태)는 고가, 양질의 처리수 입니다.
그래서 이를 재회수하여 사용하는 일종의 경제적 장치입니다.

고온의 포화수가 재증발기로 들어오면 포화수가 재증발이 일어나서 일부는 증기로 바뀌고 
응축수로 배출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재증발기로 들어오기 전 1MPa, 775.1kJ/kg의 포화수는 재증발기로 들어와서 0.4MPa, 636.6kJ/kg의
엔탈피가 떨어지게됩니다. 즉, 775.1-636.6= 138.5kJ/kg의 엔탈피차가 생기게 됩니다.
이를 증발잠열로 나누어 주게 되면 이것이 증기로 변하는 양이되는 겁니다

여기서 포화수는 포화수(현열)엔탈피 636.6kJ/kg+증발잠열= 포화증기엔탈피 2748.4kJ/kg이 되는 것입니다.
(포화수와 포화증기는 온도는 같지만 포화수는 액체이고 포화증기는 기체입니다.
즉, 같은 온도의 액체인 포화수를 기체인 포화증기로 변화시키려면 지속적인 열이 필요한데 이것이 
잠열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증발잠열=포화증기엔탈피-포화수엔탈피 = 2748.4-636.6= 2111.8kJ/kg이 되어
위의값 138.5/2111.8 = 0.06558kJ/kg이 나오고 여기에 100kg을 곱하면
전체의 재증발 증기량인 6.55kJ이 나오게 됩니다.

중요한 부분입니다. 차분히 읽고 이해해서 푸는 과정을 꼭 익혀 두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7753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04번 질의 h11**** 2021-04-11 1855
포화수의 양(x)을 구하는 공식을 간략히 설명해주셨는 데 이해하기가 다소 어려워서 좀 더 알기 쉽게 설명부탁드립니다^^
답글 수정 삭제
47754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04번 질의 김계호 교수 2021-04-11 1855
답변입니다)
과열증기와 포화수를 혼합하여 포화증기가 된다면
과열증기는 열량을 잃게 되고 포화수는 열량을 얻게 되는데
결국 이 두 양은 같게 된다는 기본적 원리에서 출발합니다.

다시말해 
포화수는 과열증기열량을 받아 증발해서 포화증기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과열증기는 혼합후 생긴 포화증기의 열량 차 만큼 잃은 열량이 되는 것이고
반대로 포화수는 증발해서 생긴 열량 만큼 얻은 열량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1. 과열증기 잃은 열량(Q1) = 3257-(포화수열량+증발잠열) = 3257-(593+2361) = 303kJ/kg
2. 포화수가 얻은 열량 (Q2) = 포화수양* 증발잠열 = X*2361
Q1 = Q2
303 = X*2361
X = 303/2361 = 0.1283 kg 입니다.

이해되셨는지요?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으면 다시 질의 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7743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96번 질의 h11**** 2021-04-10 1855
이상기체 방정식  PV = GRT에서  기체상수 R 값을 8.314로 적용하셨는데
 8.314는 단위가 KJ/Kmol.K 로 알고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이상기체이므로 공기로 봐서 0.287 kJ/Kg.K 를 적용해야 하는게 아닌지요?
답글 수정 삭제
47746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96번 질의 김계호 교수 2021-04-10 1855
답변입니다)
공기의 기체상수가 아니라 완전가스에 대한 기체상수로 
취한 것입니다.
여기서는 P1V1=G1RT1,  P2V2=G2RT2에서
용기를 다루는 문제에서는 등적과정으로 취급하고
R값은 어느 일정값을 취하더라도 G2 값을 구하는데 지장이 없습니다.
질의하신 0.287로 계산하여도 등적과정이기 때문에 값은 똑같이 나옵니다

원래 기체상수를 먼저 구하는 순서대로 풀면 
P1V1=G1RT1
R= 850*V1/49*(273+52) = 0.0534V1 (kJ/kgk)
 (V1=V2 이므로)
P2V2=G2RT2
G2= P2V2/RT2 = P2V1/RT2 = 425*V1/0.0534V1*(273+27) = 25.91kg
그러므로 G1-G2 = 49-25.91kg = 23.09 kg  입니다
(이 풀이 과정으로 풀어도 값은 똑같이 나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7716 배관길이 문의 coc****** 2021-04-07 1855
1.5번 도면에 좌측 수기로 표시한 글자가 잘 안보입니다 정리해서 보내주시기 부탁드립니다
  2.두번째 도면에 플렌지 부분 치수(5mm)로 표시되어 있는데 7번째 도면에는 3mm로 표시되어 있읍니다 어느것이 맞는지요
  3.큐넷에서 실기시험시 플랜지의 패킹면과 용접면을 바꾸어 조립한 작품은 채점대상에서 제외 됩니다 플랜지 팽킹면과 용접면 구분은 
    어떻게 구분해야 하나요
  4.도면마다 배관길이 계산이 상이하여 혼돈이 옵니다
     예 엘보 -25A-23mm  20A-19mm
          이경엘보 20A *25A -19mm -23mm
          삼각형 모양.엘보45도.플렌지. 이경 붓싱.티20-25.CM아답타 등 세분하여 보내주시기 부탁드립니다.
답글 수정 삭제
47717 [답변] 배관길이 문의 김계호 교수 2021-04-07 1855
답변입니다)
1. 원래 에너지관리 산업기사 실기 시험은 동영상 부분만 강의를 합니다
2. 작업형 시험은 실제로 학원에 가서 몇 차례 작업을 해보면서 시험에
   대비합니다
3. 에디스트 관리자의 예외적인 부탁이 있어 특별히 보내 드린 것입니다.
4. 상세한 관련도면은 실기 작업 학원에서 제공을 해드리니 실기 학원에 문의해보시기 바랍니다.

* 1. 배관 절단 길이는 배관의 구경이 15A, 20A, 25A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들어 25A의 배관 중심길이가 170mm이고 한쪽에는 25A엘보, 다른 한 쪽에는
     25A유니온으로 조립될 때
     절단해야 하는 배관의 길이(L)= 170-(12+23) = 135mm입니다.
     만약 25A가 아니라 20A로 똑같은 조건으로 조립할 경우
     절단해야 하는 배관의 길이(L)= 170-(12+19)= 139mm입니다
     구경에 따른 여유치수가 각각 다르기 때문입니다.

* 그리고 1~2mm 정도의 오차는 조립과정에서 조정해 가면서 맞춰야 합니다

* 작업에 관계되는 내용을 깊이있게 도움을 드리지 못하는 점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7707 [에너지관리기사] 특강200문제 중 58번 질의 h11**** 2021-04-05 1855
노즐 출구쪽 유속 구하는 공식을 W2 = √ ( 2 x (h1-h2) )   [ 여기서, h1(입구측 엔탈피), h2(출구측 엔탈피) ]
 로 적용하였는데, 

W2 = √ ( 2 x g x J x (h1-h2) )  [여기서, g (중력가속도), J (열의 일당량 427 kg m/kcal),  h1(입구측 엔탈피), h2(출구측 엔탈피) ]
상기의 공식으로 적용하는게 아닌지요?

g와 J를 생략하는 게 맞는지요?
답글 수정 삭제
47708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특강200문제 중 58번 질의 김계호 교수 2021-04-06 1855
답변입니다)
공부하다 보면 단위때문에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질문하신 것처럼 
루트 2(h1-h2),  루트 2gJ(h1-h2)  에서 어느 것을 적용하는가 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먼저 강의 내용에서도 구분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만,

결론적으로 말씀드려서
1. 이것은 엔탈피 h1, h2의 단위가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h1,h2의 단위가 kcal/kg이면 루트 2gJ(h1-h2)를 사용해야 하고
   h1, h2의 단위가 kJ/kg이면 루트 2(h1-h2)를 써야 합니다.

2. 몇년전 부터 우리가 많이 쓰던 kcal에서 SI 단위인 kJ로 바뀌어서 출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kJ/kg으로 주어진 경우 루트 2(h1-h2) 공식을 먼저 외워 두시는 게 좋습니다.

3. 지금 설명해 드리는 것은 왜 그렇게 적용되느냐에 대한 내용입니다.
   유속이라고 하는 것은 단위가 m/s입니다.
   이것은 SI단위와 우리가 쓰는 단위 모두 똑같습니다.
   그렇게 되려면 루트 안의 단위는 m^2/s^2 이 돼야 합니다.
   (그래야 루트를 벗겨 내면 m/s 가 됩니다)
   
4. h1, h2 의 단위가 Kcal/kg인 경우, 지금 외우고 계신 루트 안의 단위를 모두 곱하면
   루트 g(m/s^2) * J(kg m/kcal) *h1-h2(kcal/kg) =루트 m^2/s^2 = m/s 가 나옵니다

5. h1, h2의 단위가 SI 단위인 kJ/kg로 주어진 경우
   kJ=kN*m 에서 중력가속도 적용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그냥 루트 2(h1-h2)를 써야 합니다

따라서 설명 해드린 부분 중에서 2번을 잘 숙지하셔서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7691 [에너지관리기사] 특강200문제 중 42번 질의 h11**** 2021-04-04 1856
42번 문제에서 Gw(실제 습연소가스량) = (m-0.21)Ao + CO2 + H2O
공식에서 과잉공기량은 (m-0.21)Ao이 아닌 (m-1)Ao이 아닌지요?

19번 문제에서는 Gd(실제 건연소가스량) = (m-1)Ao + God(이론 건연가스량)
공식에서는 (m-1)로 되어 있음, 

즉, Gw와 Gd 둘 다  
과잉공기량은 (m-1)Ao이 아닌지요?
 
답글 수정 삭제
47693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특강200문제 중 42번 질의 김계호 교수 2021-04-04 1856
답변입니다)
1. 먼저 실제습연소량=이론습연소량+과잉공기량  입니다
   즉, Gw = Gow + (A-Ao) = Gow + (mAo - Ao) = Gow + (m-1)Ao 입니다
       Gd = God + (A-Ao) = God + (mAo - Ao) = God + (m-1)Ao 로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19번은 실제 건연소가스량과 이론 건연소가스량과의 관계를 묻는 문제이니
    Gd = God + (m-1)Ao 공식을 써야 합니다.

2. 42번 문제는 연소반응 후의 연소 가스량을 계산하는 문제로 이럴 경우
   공기비가 주어지지 않으면 이론습연소가스량(Gow)를 쓰고,
   공기비가 주어지면 실제 습연소(=습배기=습윤)가스량(Gw)를 써야 하는데
   여기서는 공기비가 1.2로 주어졌으므로 실제습연소가스량(Gw)를 써야합니다.
   이때 공식은 Gw=(m-0.21)Ao+CO2+H2O 공식을 써야합니다.
   
   여기서 (m-0.21)Ao = mAo-0.21Ao = A-0.21Ao = 실제공기량-이론산소량을 의미합니다.
   즉, 습배기가스량은 실제공기량에서 연소에 꼭 필요한 이론 산소량은 제외한 가스인
   질소, 과잉공기, CO2, H20등이 배기닥트를 통해 배출되는 양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3. 결론적으로, 설명해 드린것 처럼
   1) 실제습연소 가스량과 이론 습연소 가스량 중 어느 하나가 주어진 상태에서
      다른 하나를 계산할 때에는 맨 위 1번 공식을 쓰며,
   2) 단순히 연소반응식을 구하여 습연소 가스량을 계산할 때에는 2번 공식을 씁니다.
      
이 문제는 항상 출제되는 문제입니다.
중요한 문제이니 꼼꼼히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47665 에너지관리기사 실기준비 문의 件 won***** 2021-03-30 1855
 안녕하세요 ? 
 에너지관리기사 인강을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번에 필기를 합격하게되어 실기 준비를 하려는데
실기 동영상이 사라지고 필답형으로만 진행이 된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준비를 똑같이 하면되는지.. 난이도는 높아졌는지.. 여쭙고자 쪽지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수정 삭제
47666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실기준비 문의 件 김계호 교수 2021-03-30 1855
답변입니다)
작년 마지막 시험부터 에너지관리기사 시험 실기는
동영상이 없어지고 문항수가 늘어난 필답형만으로 치르게 됐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강의를 통하여 또는 질의에 대한 답변을 통해 실기시험을 
준비하는 방법등을 알려드린 바 있습니다.

다시한번 요약하자면,
현장 경험이 있는 수강생은 필답형 위주로 공부만 하셔도 되겠습니다.
하지만 현장 경험이 없는 수강생 같은 경우에는 틈을내서라도 동영상 편을 함께
공부하실 것을 적극 추천합니다.
왜냐하면 기계장치 또는 부속장치 등에 대해 본 적이 없는 수강생들은 이해하는데 힘든 부분이
있을 것입니다. 또한 동영상 문제 중에는 그림을 빼고서 보면 필답형 문제라고
볼 수 있는 부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그래서 제가 에디스트 측에도 동영상 부분을 
완전히 없애지 말고 따로 다른 한 부분으로 남겨 놓아 동영상편을 공부하려는 수강생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해달라고 부탁을 한 것입니다.

시간이 되면 필답형과 동영상 편을 함께 공부하길 추천하는 이유입니다.
다만 시간이 부족하다든지 현장 경험등을 통해 기계장치 설비 등에 대해 잘 아시는 수강생들은
필답형만 준비해도 충분히 합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답합니다.
새로 바뀐 필답형은 문항수가 기존 필답형보다 6문제 정도 더 늘어났고 계산문제가 60% 정도로
체감상 기존보다 어렵게 느껴질겁니다. 
하지만 본 강의를 통해 열심히 준비하시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답글 수정 삭제
제목 내용 작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