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47800 |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95번 질의 | h11**** | 2021-04-18 | 1855 |
발생하는 열량 Q = G C dt 에서 G,C 수치를 포화증기의 값이 아닌 강관의 G,C로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
47806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95번 질의 | 김계호 교수 | 2021-04-18 | 1855 |
답변입니다) 질의 하신 내용이 원칙입니다. 그런데 증기가 오랜 시간동안 강관을 통해 흐른다면 결국 증기의 열량만큼 강관의 열량도 올라 가겠죠? 특히 강관의 중량이 무거울수록, 외기 온도와의 차가 클수록, 강관의 비열이 클수록 보유 열량이 커지게 되겠죠? 보유 열량이 클수록 응축수 생성량이 많아지는 이유입니다. * 재증발기 문제 처럼 압력이 저하되어 포화수의 엔탈피가 저하되는 문제일 경우에는 질의 하신 것 처럼 포화수 엔탈피의 차를 계산하여 증발잠열로 나누는 게 맞습니다만, 이 문제는 위의 방식대로 풀면 되겠습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799 |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020년 4회차 (11월29일 시행) 연소공학 17번 | h11**** | 2021-04-18 | 1856 |
2. 몰분율(%) 구하는 공식에서 (분자 부분) 3) O2 = (1.5 -1) X 12.5 4) N2 = 12.5 x 3.76 가 잘 이해가 안됩니다.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
||||
47805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2020년 4회차 (11월29일 시행) 연소공학 17번 | 김계호 교수 | 2021-04-18 | 1856 |
답변입니다) 1. 다른 원소는 연소후 남는 성분들입니다. O2는 연소시 이론상 연소에 필요한 부분을 뺀후 남는 성분을 계산하게 됩니다. 다시말해서 과잉 산소량이 되는 것입니다. 즉, 공기비가 1.5이므로 (1.5-1)*12.5가 연소후 남은 산소의 체적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산소를 계산할 때에는 공기비-1을 해 줘야 합니다 2. 질소는 대기중에 79%이고, 산소는 21%입니다 (체적식으로) 따라서 질소는 산소의 79/21 = 3.76배 입니다. 그래서 산소량*3.76배를 하는 것입니다 차분히 읽어 보면서 이해를 하시기 바랍니다 -지금처럼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798 |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83번 질의 | h11**** | 2021-04-18 | 1855 |
Gw 단위가 KJ/Nm3, Hl (저위발열량)단위도 KJ/Nm3, Cm(배기가스 평균비열) 단위도 KJ/Nm3 인데, 온도 구하는 공식 t = Hl / ( Gw x Cm) 에서 어떻게 t 단위가 K 가 도출되는지요? |
||||
47803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83번 질의 | 김계호 교수 | 2021-04-18 | 1855 |
답변입니다) 습연소가스량(Gw)의 단위가 Nm^3/Nm^3인데 열량으로 잘못 됐군요. 그렇게 단위를 정리하면 K가 나옵니다. 내일(4월19일) 재촬영 일정이 있습니다. 이 부분도 수정하여 재촬영토록 하겠습니다 풀이과정 및 답은 변함이 없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791 |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42번 질의 | h11**** | 2021-04-17 | 1855 |
V= C 루트 (2g P/r) 공식에서 P는 동압 (= 전압 - 정압)으로 알고 있습니다. 허나, 해설에서는 전압이 대기압보다 52mmH2O 높다고만 언급하였는 데 정확히 동압에 대해선 설명이 없습니다. 따라서, 질문의 요지는 대기압을 정압으로 봐서, 전압-대기압(정압) = 동압을 52mmH2O로 반영하였는지 문의 드립니다.. |
||||
47793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42번 질의 | 김계호 교수 | 2021-04-17 | 1855 |
답변입니다) 1mmH2O = 1kg/m^2입니다. 여기서 P는 압력을 의미하는데 52mmH2O를 52kg/m^2로 바꿔서 계산한 것입니다. 풀이 과정을 잘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779 |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24번 질의 | h11**** | 2021-04-15 | 1855 |
증기발생량을 구하는 공식을 간략히 설명해주셨는 데 이해하기가 다소 어려워서 좀 더 알기 쉽게 설명부탁드립니다^^ 특히, 공식의 분자가 775.1 kj/kg (1MPa에서 포화수 엔탈피) - 636.6 kg/kg (0.4MPa에서 포화수 엔탈피)로 되어 잇는데 이 부분이 특히 이해가 잘 안되어서요! |
||||
47780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24번 질의 | 김계호 교수 | 2021-04-16 | 1855 |
답변입니다) 이 문제는 에너지관리 실기 시험 중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입니다. 먼저, 재증발기란 고온의 응축수(포화수상태)는 고가, 양질의 처리수 입니다. 그래서 이를 재회수하여 사용하는 일종의 경제적 장치입니다. 고온의 포화수가 재증발기로 들어오면 포화수가 재증발이 일어나서 일부는 증기로 바뀌고 응축수로 배출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재증발기로 들어오기 전 1MPa, 775.1kJ/kg의 포화수는 재증발기로 들어와서 0.4MPa, 636.6kJ/kg의 엔탈피가 떨어지게됩니다. 즉, 775.1-636.6= 138.5kJ/kg의 엔탈피차가 생기게 됩니다. 이를 증발잠열로 나누어 주게 되면 이것이 증기로 변하는 양이되는 겁니다 여기서 포화수는 포화수(현열)엔탈피 636.6kJ/kg+증발잠열= 포화증기엔탈피 2748.4kJ/kg이 되는 것입니다. (포화수와 포화증기는 온도는 같지만 포화수는 액체이고 포화증기는 기체입니다. 즉, 같은 온도의 액체인 포화수를 기체인 포화증기로 변화시키려면 지속적인 열이 필요한데 이것이 잠열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증발잠열=포화증기엔탈피-포화수엔탈피 = 2748.4-636.6= 2111.8kJ/kg이 되어 위의값 138.5/2111.8 = 0.06558kJ/kg이 나오고 여기에 100kg을 곱하면 전체의 재증발 증기량인 6.55kJ이 나오게 됩니다. 중요한 부분입니다. 차분히 읽고 이해해서 푸는 과정을 꼭 익혀 두시기 바랍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753 |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04번 질의 | h11**** | 2021-04-11 | 1855 |
포화수의 양(x)을 구하는 공식을 간략히 설명해주셨는 데 이해하기가 다소 어려워서 좀 더 알기 쉽게 설명부탁드립니다^^ |
||||
47754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104번 질의 | 김계호 교수 | 2021-04-11 | 1855 |
답변입니다) 과열증기와 포화수를 혼합하여 포화증기가 된다면 과열증기는 열량을 잃게 되고 포화수는 열량을 얻게 되는데 결국 이 두 양은 같게 된다는 기본적 원리에서 출발합니다. 다시말해 포화수는 과열증기열량을 받아 증발해서 포화증기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과열증기는 혼합후 생긴 포화증기의 열량 차 만큼 잃은 열량이 되는 것이고 반대로 포화수는 증발해서 생긴 열량 만큼 얻은 열량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1. 과열증기 잃은 열량(Q1) = 3257-(포화수열량+증발잠열) = 3257-(593+2361) = 303kJ/kg 2. 포화수가 얻은 열량 (Q2) = 포화수양* 증발잠열 = X*2361 Q1 = Q2 303 = X*2361 X = 303/2361 = 0.1283 kg 입니다. 이해되셨는지요?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으면 다시 질의 하여 주십시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743 |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96번 질의 | h11**** | 2021-04-10 | 1855 |
이상기체 방정식 PV = GRT에서 기체상수 R 값을 8.314로 적용하셨는데 8.314는 단위가 KJ/Kmol.K 로 알고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이상기체이므로 공기로 봐서 0.287 kJ/Kg.K 를 적용해야 하는게 아닌지요? |
||||
47746 | [답변] [에너지관리기사] 필답형 특강200문제 중 96번 질의 | 김계호 교수 | 2021-04-10 | 1855 |
답변입니다) 공기의 기체상수가 아니라 완전가스에 대한 기체상수로 취한 것입니다. 여기서는 P1V1=G1RT1, P2V2=G2RT2에서 용기를 다루는 문제에서는 등적과정으로 취급하고 R값은 어느 일정값을 취하더라도 G2 값을 구하는데 지장이 없습니다. 질의하신 0.287로 계산하여도 등적과정이기 때문에 값은 똑같이 나옵니다 원래 기체상수를 먼저 구하는 순서대로 풀면 P1V1=G1RT1 R= 850*V1/49*(273+52) = 0.0534V1 (kJ/kgk) (V1=V2 이므로) P2V2=G2RT2 G2= P2V2/RT2 = P2V1/RT2 = 425*V1/0.0534V1*(273+27) = 25.91kg 그러므로 G1-G2 = 49-25.91kg = 23.09 kg 입니다 (이 풀이 과정으로 풀어도 값은 똑같이 나옵니다) -열심히 하셔서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에너지관리 김계호 |
||||
47716 | 배관길이 문의 | coc****** | 2021-04-07 | 1855 |
1.5번 도면에 좌측 수기로 표시한 글자가 잘 안보입니다 정리해서 보내주시기 부탁드립니다 2.두번째 도면에 플렌지 부분 치수(5mm)로 표시되어 있는데 7번째 도면에는 3mm로 표시되어 있읍니다 어느것이 맞는지요 3.큐넷에서 실기시험시 플랜지의 패킹면과 용접면을 바꾸어 조립한 작품은 채점대상에서 제외 됩니다 플랜지 팽킹면과 용접면 구분은 어떻게 구분해야 하나요 4.도면마다 배관길이 계산이 상이하여 혼돈이 옵니다 예 엘보 -25A-23mm 20A-19mm 이경엘보 20A *25A -19mm -23mm 삼각형 모양.엘보45도.플렌지. 이경 붓싱.티20-25.CM아답타 등 세분하여 보내주시기 부탁드립니다. |